‘안전수칙 위반’ 솜방망이 처벌 강화된다
입력 2016.02.27 (07:26)
수정 2016.02.27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안전 수칙만 잘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사고가 많습니다.
처벌 규정이 없거나 너무 약해서 잘 지켜지지 않았던 안전 수칙들이 대대적으로 정비됩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15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된 추자도 낚시 어선 사고.
승선객 대부분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아 피해가 컸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녹취> 박00(사고 돌고래호 생존자/지난해 9월) : "비가 많이 와서 다 축축해서 (구명조끼는) 옆에 놔 두고…거의 안 입었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낚싯배에 타는 승객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으면 앞으로는 백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또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할 경우 그동안은 시정 명령만 내려졌지만, 면허 취소나 6개월 이내 영업 정지 등으로 처벌이 세집니다.
해마다 5천 건 넘게 발생하는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도 새로 만들어집니다.
자전거 도로에서 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거나,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면 2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태권도장 등 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보호자가 동승하지 않으면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사업장 폐쇄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임상규(국민안전처 안전제도과장) : "안전수칙이 현장에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제재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등 위반 시 제재를 총 74건을 정비합니다."
건물 시공자가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벌금이 현행 5백만 원 이하에서 최고 5천만 원으로 10배 높아집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안전 수칙만 잘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사고가 많습니다.
처벌 규정이 없거나 너무 약해서 잘 지켜지지 않았던 안전 수칙들이 대대적으로 정비됩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15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된 추자도 낚시 어선 사고.
승선객 대부분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아 피해가 컸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녹취> 박00(사고 돌고래호 생존자/지난해 9월) : "비가 많이 와서 다 축축해서 (구명조끼는) 옆에 놔 두고…거의 안 입었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낚싯배에 타는 승객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으면 앞으로는 백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또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할 경우 그동안은 시정 명령만 내려졌지만, 면허 취소나 6개월 이내 영업 정지 등으로 처벌이 세집니다.
해마다 5천 건 넘게 발생하는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도 새로 만들어집니다.
자전거 도로에서 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거나,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면 2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태권도장 등 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보호자가 동승하지 않으면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사업장 폐쇄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임상규(국민안전처 안전제도과장) : "안전수칙이 현장에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제재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등 위반 시 제재를 총 74건을 정비합니다."
건물 시공자가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벌금이 현행 5백만 원 이하에서 최고 5천만 원으로 10배 높아집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수칙 위반’ 솜방망이 처벌 강화된다
-
- 입력 2016-02-27 07:27:42
- 수정2016-02-27 08:06:23

<앵커 멘트>
안전 수칙만 잘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사고가 많습니다.
처벌 규정이 없거나 너무 약해서 잘 지켜지지 않았던 안전 수칙들이 대대적으로 정비됩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15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된 추자도 낚시 어선 사고.
승선객 대부분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아 피해가 컸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녹취> 박00(사고 돌고래호 생존자/지난해 9월) : "비가 많이 와서 다 축축해서 (구명조끼는) 옆에 놔 두고…거의 안 입었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낚싯배에 타는 승객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으면 앞으로는 백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또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할 경우 그동안은 시정 명령만 내려졌지만, 면허 취소나 6개월 이내 영업 정지 등으로 처벌이 세집니다.
해마다 5천 건 넘게 발생하는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도 새로 만들어집니다.
자전거 도로에서 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거나,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면 2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태권도장 등 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보호자가 동승하지 않으면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사업장 폐쇄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임상규(국민안전처 안전제도과장) : "안전수칙이 현장에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제재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등 위반 시 제재를 총 74건을 정비합니다."
건물 시공자가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벌금이 현행 5백만 원 이하에서 최고 5천만 원으로 10배 높아집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안전 수칙만 잘 지켜도 막을 수 있는 사고가 많습니다.
처벌 규정이 없거나 너무 약해서 잘 지켜지지 않았던 안전 수칙들이 대대적으로 정비됩니다.
고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15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된 추자도 낚시 어선 사고.
승선객 대부분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아 피해가 컸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녹취> 박00(사고 돌고래호 생존자/지난해 9월) : "비가 많이 와서 다 축축해서 (구명조끼는) 옆에 놔 두고…거의 안 입었다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낚싯배에 타는 승객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으면 앞으로는 백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합니다.
또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할 경우 그동안은 시정 명령만 내려졌지만, 면허 취소나 6개월 이내 영업 정지 등으로 처벌이 세집니다.
해마다 5천 건 넘게 발생하는 자전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규정도 새로 만들어집니다.
자전거 도로에서 차를 운전하다가 적발되거나,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면 2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태권도장 등 체육시설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통학차량에 보호자가 동승하지 않으면 어린이집과 마찬가지로 사업장 폐쇄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임상규(국민안전처 안전제도과장) : "안전수칙이 현장에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제재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등 위반 시 제재를 총 74건을 정비합니다."
건물 시공자가 공사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벌금이 현행 5백만 원 이하에서 최고 5천만 원으로 10배 높아집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