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시아, 미국 독자적 대북 제재 반대
입력 2016.03.18 (07:01)
수정 2016.03.18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 노동자 송출 제재를 골자로 하는 미국의 새 대북 제재가 발표되자마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김민철 특파원! 아무래도 북한 노동자 대다수가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이겠죠.
<리포트>
그렇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해외 송출에 대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는 빠졌었는데요.
이것이 미국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행정명령에 포함되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어제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독자 대북 제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은, 그 어떤 국가의 일방적인 제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반대하며, 그 어떤 국가의 독자 제재로 중국의 정상적 이익을 훼손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점을, 이미 수차례 표명했다며 미국을 직접 겨냥했습니다.
러시아도 국제사회의 집단적 결정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의 합법성만을 인정하고, 개별 국가의 일방적 제재엔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반대 입장은 많게는 10만 명 정도로 알려진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들 대부분이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미국의 이번 행정명령에는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개인이나 기업, 은행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조항도 포함돼, 북한 노동자를 고용해 사업을 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깃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이었습니다.
북한 노동자 송출 제재를 골자로 하는 미국의 새 대북 제재가 발표되자마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김민철 특파원! 아무래도 북한 노동자 대다수가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이겠죠.
<리포트>
그렇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해외 송출에 대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는 빠졌었는데요.
이것이 미국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행정명령에 포함되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어제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독자 대북 제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은, 그 어떤 국가의 일방적인 제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반대하며, 그 어떤 국가의 독자 제재로 중국의 정상적 이익을 훼손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점을, 이미 수차례 표명했다며 미국을 직접 겨냥했습니다.
러시아도 국제사회의 집단적 결정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의 합법성만을 인정하고, 개별 국가의 일방적 제재엔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반대 입장은 많게는 10만 명 정도로 알려진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들 대부분이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미국의 이번 행정명령에는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개인이나 기업, 은행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조항도 포함돼, 북한 노동자를 고용해 사업을 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깃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러시아, 미국 독자적 대북 제재 반대
-
- 입력 2016-03-18 07:04:47
- 수정2016-03-18 08:16:53

<앵커 멘트>
북한 노동자 송출 제재를 골자로 하는 미국의 새 대북 제재가 발표되자마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김민철 특파원! 아무래도 북한 노동자 대다수가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이겠죠.
<리포트>
그렇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해외 송출에 대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는 빠졌었는데요.
이것이 미국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행정명령에 포함되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어제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독자 대북 제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은, 그 어떤 국가의 일방적인 제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반대하며, 그 어떤 국가의 독자 제재로 중국의 정상적 이익을 훼손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점을, 이미 수차례 표명했다며 미국을 직접 겨냥했습니다.
러시아도 국제사회의 집단적 결정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의 합법성만을 인정하고, 개별 국가의 일방적 제재엔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반대 입장은 많게는 10만 명 정도로 알려진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들 대부분이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미국의 이번 행정명령에는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개인이나 기업, 은행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조항도 포함돼, 북한 노동자를 고용해 사업을 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깃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이었습니다.
북한 노동자 송출 제재를 골자로 하는 미국의 새 대북 제재가 발표되자마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이징 연결합니다.
김민철 특파원! 아무래도 북한 노동자 대다수가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이겠죠.
<리포트>
그렇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해외 송출에 대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는 빠졌었는데요.
이것이 미국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행정명령에 포함되자,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루캉 대변인은 어제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의 독자 대북 제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은, 그 어떤 국가의 일방적인 제재에 반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반대하며, 그 어떤 국가의 독자 제재로 중국의 정상적 이익을 훼손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점을, 이미 수차례 표명했다며 미국을 직접 겨냥했습니다.
러시아도 국제사회의 집단적 결정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의 합법성만을 인정하고, 개별 국가의 일방적 제재엔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반대 입장은 많게는 10만 명 정도로 알려진 해외 파견 북한 노동자들 대부분이 중국과 러시아에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미국의 이번 행정명령에는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개인이나 기업, 은행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조항도 포함돼, 북한 노동자를 고용해 사업을 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깃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이었습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