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타일 전도사’…한지로 꾸민 해외 공관
입력 2016.03.21 (09:54)
수정 2016.03.21 (10: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해외공관을 전통 한지로 꾸며 현지 외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한류 문화 확산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고 해외공관 한지 장식을 늘리고 있습니다.
중동 오만 현지에서 조경모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곧 문을 열 한국 대사관입니다.
격자 모양의 창살에 고풍스러운 전통 한지로 대사 집무실 창을 장식했습니다.
조명에도 한지를 이용해 푸근하고 은은한 빛을 발합니다.
옻칠 장 등 전통 가구들까지 더해 우리 멋을 한껏 살렸습니다.
<인터뷰> 디어드리 셀웨이(영국인) : "전통적인 창호와 조명, 가구 등 한국에서 온 많은 것들이 매우 아름답고 멋지네요."
집무실과 회의실 등을 한지를 이용해 장식한 해외 공관은 중국 광저우 영사관에 이어 오만 대사관이 두 번째입니다.
<인터뷰> 김대식(주 오만대사) : "이런 식의 한지 문 같은 것을 설치해서 직접 보여주면 그 사람들이 이런 것들이 한국을 나타내 거구나."
새로 짓는 해외 공관의 집무실을 전주 한지로 꾸미는 사업은 지난해부터 외교부와 전라북도가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안에 미국 시애틀과 프랑스 파리 등 3개 해외공관이 이런 한 스타일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지난 2천7년에는 유엔 반기문 사무총장의 관저를 장식해 많은 관심을 끌었던 전주 한지.
한지의 멋스러움을 한껏 살린 해외 공관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알리며 외교가에서 '한류 전도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만 무스카트에서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우리나라 해외공관을 전통 한지로 꾸며 현지 외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한류 문화 확산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고 해외공관 한지 장식을 늘리고 있습니다.
중동 오만 현지에서 조경모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곧 문을 열 한국 대사관입니다.
격자 모양의 창살에 고풍스러운 전통 한지로 대사 집무실 창을 장식했습니다.
조명에도 한지를 이용해 푸근하고 은은한 빛을 발합니다.
옻칠 장 등 전통 가구들까지 더해 우리 멋을 한껏 살렸습니다.
<인터뷰> 디어드리 셀웨이(영국인) : "전통적인 창호와 조명, 가구 등 한국에서 온 많은 것들이 매우 아름답고 멋지네요."
집무실과 회의실 등을 한지를 이용해 장식한 해외 공관은 중국 광저우 영사관에 이어 오만 대사관이 두 번째입니다.
<인터뷰> 김대식(주 오만대사) : "이런 식의 한지 문 같은 것을 설치해서 직접 보여주면 그 사람들이 이런 것들이 한국을 나타내 거구나."
새로 짓는 해외 공관의 집무실을 전주 한지로 꾸미는 사업은 지난해부터 외교부와 전라북도가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안에 미국 시애틀과 프랑스 파리 등 3개 해외공관이 이런 한 스타일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지난 2천7년에는 유엔 반기문 사무총장의 관저를 장식해 많은 관심을 끌었던 전주 한지.
한지의 멋스러움을 한껏 살린 해외 공관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알리며 외교가에서 '한류 전도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만 무스카트에서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스타일 전도사’…한지로 꾸민 해외 공관
-
- 입력 2016-03-21 10:14:48
- 수정2016-03-21 10:28:20

<앵커 멘트>
우리나라 해외공관을 전통 한지로 꾸며 현지 외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한류 문화 확산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고 해외공관 한지 장식을 늘리고 있습니다.
중동 오만 현지에서 조경모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곧 문을 열 한국 대사관입니다.
격자 모양의 창살에 고풍스러운 전통 한지로 대사 집무실 창을 장식했습니다.
조명에도 한지를 이용해 푸근하고 은은한 빛을 발합니다.
옻칠 장 등 전통 가구들까지 더해 우리 멋을 한껏 살렸습니다.
<인터뷰> 디어드리 셀웨이(영국인) : "전통적인 창호와 조명, 가구 등 한국에서 온 많은 것들이 매우 아름답고 멋지네요."
집무실과 회의실 등을 한지를 이용해 장식한 해외 공관은 중국 광저우 영사관에 이어 오만 대사관이 두 번째입니다.
<인터뷰> 김대식(주 오만대사) : "이런 식의 한지 문 같은 것을 설치해서 직접 보여주면 그 사람들이 이런 것들이 한국을 나타내 거구나."
새로 짓는 해외 공관의 집무실을 전주 한지로 꾸미는 사업은 지난해부터 외교부와 전라북도가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안에 미국 시애틀과 프랑스 파리 등 3개 해외공관이 이런 한 스타일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지난 2천7년에는 유엔 반기문 사무총장의 관저를 장식해 많은 관심을 끌었던 전주 한지.
한지의 멋스러움을 한껏 살린 해외 공관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알리며 외교가에서 '한류 전도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만 무스카트에서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우리나라 해외공관을 전통 한지로 꾸며 현지 외국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한류 문화 확산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고 해외공관 한지 장식을 늘리고 있습니다.
중동 오만 현지에서 조경모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곧 문을 열 한국 대사관입니다.
격자 모양의 창살에 고풍스러운 전통 한지로 대사 집무실 창을 장식했습니다.
조명에도 한지를 이용해 푸근하고 은은한 빛을 발합니다.
옻칠 장 등 전통 가구들까지 더해 우리 멋을 한껏 살렸습니다.
<인터뷰> 디어드리 셀웨이(영국인) : "전통적인 창호와 조명, 가구 등 한국에서 온 많은 것들이 매우 아름답고 멋지네요."
집무실과 회의실 등을 한지를 이용해 장식한 해외 공관은 중국 광저우 영사관에 이어 오만 대사관이 두 번째입니다.
<인터뷰> 김대식(주 오만대사) : "이런 식의 한지 문 같은 것을 설치해서 직접 보여주면 그 사람들이 이런 것들이 한국을 나타내 거구나."
새로 짓는 해외 공관의 집무실을 전주 한지로 꾸미는 사업은 지난해부터 외교부와 전라북도가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안에 미국 시애틀과 프랑스 파리 등 3개 해외공관이 이런 한 스타일을 접목할 예정입니다.
지난 2천7년에는 유엔 반기문 사무총장의 관저를 장식해 많은 관심을 끌었던 전주 한지.
한지의 멋스러움을 한껏 살린 해외 공관이 우리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알리며 외교가에서 '한류 전도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만 무스카트에서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