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는 삼국시대 문화유적인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일대 할미산성(경기도 기념물 제215호)에 대한 5차 발굴조사를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이 담당하며 산성 내 배수체계 파악을 위해 4차 조사에서 확인된 집수시설 주변 2천㎡를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용인시는 이번 조사가 마무리되면 1∼5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미산성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하고 역사교육 체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용인시는 지난 2009년 수립된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를 통해 할미산성이 6세기 중반 신라에 의해 축성된 뒤 7세기 중·후반까지 100여년간 운영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원형수혈유구는 신라에 의해 석축성곽이 축성되기 전 백제가 이곳을 점유했음을 보여줘 삼국시대 당시 용인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유물로 평가된다.
용인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5차 조사를 끝으로 더이상의 발굴은 진행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용인의 역사적·문화적 실체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이 담당하며 산성 내 배수체계 파악을 위해 4차 조사에서 확인된 집수시설 주변 2천㎡를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용인시는 이번 조사가 마무리되면 1∼5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미산성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하고 역사교육 체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용인시는 지난 2009년 수립된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를 통해 할미산성이 6세기 중반 신라에 의해 축성된 뒤 7세기 중·후반까지 100여년간 운영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원형수혈유구는 신라에 의해 석축성곽이 축성되기 전 백제가 이곳을 점유했음을 보여줘 삼국시대 당시 용인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유물로 평가된다.
용인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5차 조사를 끝으로 더이상의 발굴은 진행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용인의 역사적·문화적 실체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인시, 삼국시대 문화유적 할미산성 5차 발굴조사
-
- 입력 2016-03-23 17:04:43
경기 용인시는 삼국시대 문화유적인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일대 할미산성(경기도 기념물 제215호)에 대한 5차 발굴조사를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이 담당하며 산성 내 배수체계 파악을 위해 4차 조사에서 확인된 집수시설 주변 2천㎡를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용인시는 이번 조사가 마무리되면 1∼5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미산성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하고 역사교육 체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용인시는 지난 2009년 수립된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를 통해 할미산성이 6세기 중반 신라에 의해 축성된 뒤 7세기 중·후반까지 100여년간 운영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원형수혈유구는 신라에 의해 석축성곽이 축성되기 전 백제가 이곳을 점유했음을 보여줘 삼국시대 당시 용인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유물로 평가된다.
용인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5차 조사를 끝으로 더이상의 발굴은 진행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용인의 역사적·문화적 실체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이 담당하며 산성 내 배수체계 파악을 위해 4차 조사에서 확인된 집수시설 주변 2천㎡를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11월까지 진행된다. 용인시는 이번 조사가 마무리되면 1∼5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미산성의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하고 역사교육 체험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용인시는 지난 2009년 수립된 할미산성 종합정비계획에 따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를 통해 할미산성이 6세기 중반 신라에 의해 축성된 뒤 7세기 중·후반까지 100여년간 운영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원형수혈유구는 신라에 의해 석축성곽이 축성되기 전 백제가 이곳을 점유했음을 보여줘 삼국시대 당시 용인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유물로 평가된다.
용인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5차 조사를 끝으로 더이상의 발굴은 진행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용인의 역사적·문화적 실체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서재희 기자 seojh@kbs.co.kr
서재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