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中 자본-韓 기술 공존하려면?
입력 2016.04.03 (21:22)
수정 2016.04.03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판다쇼핑'이란 말이 있습니다.
세계 우량기업을 현금으로 쇼핑하듯 사들이는 중국의 투자행태를 빗댄 건데, 우리 기업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1년 새 우리 기업지분을 5% 이상 확보한 외국 투자사가 29곳 늘었는데, 이 중 25곳이 중국계입니다.
투자액만 4조 4천억 원 1년 전보다 3배 넘게 늘었고, 대상도 애니메이션, 드라마 제작사, 산업 로봇회사까지 다양합니다.
이를 두고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 오히려 중국 진출의 발판이 된다는 등 의견이 분분한데요.
중국 자본과 한국의 기술력이 공존할 순 없는 것인지 최대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미 시장에서 6천5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국산 애니메이션입니다.
아시아권 영화로는 최고 흥행을 거둔 이 애니메이션을 만든 건 우리 업체입니다.
<인터뷰> 오동욱('넛잡' 제작사 컨셉 디자이너) : "외국 관객들은 표정이 풍부하고 동작이 과장된 캐릭터를 좋아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습니다."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이 업체의 다음 목표는 중국 시장.
극장 개봉은 물론 극장 매출의 2.5배가 넘는 캐릭터 상품 시장을 노린 겁니다.
관건은 자금과 유통망 확보, 이 업체는 중국 기업으로부터 450억 원의 투자를 받는 대신 최대주주 지위를 넘겼습니다.
기술과 브랜드를 원하는 중국과 자본과 시장이 필요한 우리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김한철(넛잡 제작사 총괄부사장) : "우리가 투자를 해서라도 중국에 진출해야 하는데, 마침 중국이 우리에게 투자를 해서 우리가 중국 시장에 직접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이죠."
현재 중국계 투자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 기업은 18곳, 이 중 15곳이 2015년 이후에 투자됐습니다.
<인터뷰> 오일선(한국 2만기업 연구소장) :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던 중국 자본이 이제는 경영권 인수를 통해 기술과 인력 확보에 나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대주주 지위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우려도 여전한 만큼 해당업계의 특성 등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판다쇼핑'이란 말이 있습니다.
세계 우량기업을 현금으로 쇼핑하듯 사들이는 중국의 투자행태를 빗댄 건데, 우리 기업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1년 새 우리 기업지분을 5% 이상 확보한 외국 투자사가 29곳 늘었는데, 이 중 25곳이 중국계입니다.
투자액만 4조 4천억 원 1년 전보다 3배 넘게 늘었고, 대상도 애니메이션, 드라마 제작사, 산업 로봇회사까지 다양합니다.
이를 두고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 오히려 중국 진출의 발판이 된다는 등 의견이 분분한데요.
중국 자본과 한국의 기술력이 공존할 순 없는 것인지 최대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미 시장에서 6천5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국산 애니메이션입니다.
아시아권 영화로는 최고 흥행을 거둔 이 애니메이션을 만든 건 우리 업체입니다.
<인터뷰> 오동욱('넛잡' 제작사 컨셉 디자이너) : "외국 관객들은 표정이 풍부하고 동작이 과장된 캐릭터를 좋아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습니다."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이 업체의 다음 목표는 중국 시장.
극장 개봉은 물론 극장 매출의 2.5배가 넘는 캐릭터 상품 시장을 노린 겁니다.
관건은 자금과 유통망 확보, 이 업체는 중국 기업으로부터 450억 원의 투자를 받는 대신 최대주주 지위를 넘겼습니다.
기술과 브랜드를 원하는 중국과 자본과 시장이 필요한 우리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김한철(넛잡 제작사 총괄부사장) : "우리가 투자를 해서라도 중국에 진출해야 하는데, 마침 중국이 우리에게 투자를 해서 우리가 중국 시장에 직접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이죠."
현재 중국계 투자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 기업은 18곳, 이 중 15곳이 2015년 이후에 투자됐습니다.
<인터뷰> 오일선(한국 2만기업 연구소장) :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던 중국 자본이 이제는 경영권 인수를 통해 기술과 인력 확보에 나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대주주 지위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우려도 여전한 만큼 해당업계의 특성 등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中 자본-韓 기술 공존하려면?
-
- 입력 2016-04-03 21:23:24
- 수정2016-04-03 22:30:23

<앵커 멘트>
'판다쇼핑'이란 말이 있습니다.
세계 우량기업을 현금으로 쇼핑하듯 사들이는 중국의 투자행태를 빗댄 건데, 우리 기업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1년 새 우리 기업지분을 5% 이상 확보한 외국 투자사가 29곳 늘었는데, 이 중 25곳이 중국계입니다.
투자액만 4조 4천억 원 1년 전보다 3배 넘게 늘었고, 대상도 애니메이션, 드라마 제작사, 산업 로봇회사까지 다양합니다.
이를 두고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 오히려 중국 진출의 발판이 된다는 등 의견이 분분한데요.
중국 자본과 한국의 기술력이 공존할 순 없는 것인지 최대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미 시장에서 6천5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국산 애니메이션입니다.
아시아권 영화로는 최고 흥행을 거둔 이 애니메이션을 만든 건 우리 업체입니다.
<인터뷰> 오동욱('넛잡' 제작사 컨셉 디자이너) : "외국 관객들은 표정이 풍부하고 동작이 과장된 캐릭터를 좋아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습니다."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이 업체의 다음 목표는 중국 시장.
극장 개봉은 물론 극장 매출의 2.5배가 넘는 캐릭터 상품 시장을 노린 겁니다.
관건은 자금과 유통망 확보, 이 업체는 중국 기업으로부터 450억 원의 투자를 받는 대신 최대주주 지위를 넘겼습니다.
기술과 브랜드를 원하는 중국과 자본과 시장이 필요한 우리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김한철(넛잡 제작사 총괄부사장) : "우리가 투자를 해서라도 중국에 진출해야 하는데, 마침 중국이 우리에게 투자를 해서 우리가 중국 시장에 직접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이죠."
현재 중국계 투자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 기업은 18곳, 이 중 15곳이 2015년 이후에 투자됐습니다.
<인터뷰> 오일선(한국 2만기업 연구소장) :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던 중국 자본이 이제는 경영권 인수를 통해 기술과 인력 확보에 나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대주주 지위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우려도 여전한 만큼 해당업계의 특성 등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판다쇼핑'이란 말이 있습니다.
세계 우량기업을 현금으로 쇼핑하듯 사들이는 중국의 투자행태를 빗댄 건데, 우리 기업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1년 새 우리 기업지분을 5% 이상 확보한 외국 투자사가 29곳 늘었는데, 이 중 25곳이 중국계입니다.
투자액만 4조 4천억 원 1년 전보다 3배 넘게 늘었고, 대상도 애니메이션, 드라마 제작사, 산업 로봇회사까지 다양합니다.
이를 두고 기술 유출이 우려된다, 오히려 중국 진출의 발판이 된다는 등 의견이 분분한데요.
중국 자본과 한국의 기술력이 공존할 순 없는 것인지 최대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북미 시장에서 6천5백만 달러를 벌어들인 국산 애니메이션입니다.
아시아권 영화로는 최고 흥행을 거둔 이 애니메이션을 만든 건 우리 업체입니다.
<인터뷰> 오동욱('넛잡' 제작사 컨셉 디자이너) : "외국 관객들은 표정이 풍부하고 동작이 과장된 캐릭터를 좋아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습니다."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이 업체의 다음 목표는 중국 시장.
극장 개봉은 물론 극장 매출의 2.5배가 넘는 캐릭터 상품 시장을 노린 겁니다.
관건은 자금과 유통망 확보, 이 업체는 중국 기업으로부터 450억 원의 투자를 받는 대신 최대주주 지위를 넘겼습니다.
기술과 브랜드를 원하는 중국과 자본과 시장이 필요한 우리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김한철(넛잡 제작사 총괄부사장) : "우리가 투자를 해서라도 중국에 진출해야 하는데, 마침 중국이 우리에게 투자를 해서 우리가 중국 시장에 직접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든 것이죠."
현재 중국계 투자사가 최대 주주인 우리 기업은 18곳, 이 중 15곳이 2015년 이후에 투자됐습니다.
<인터뷰> 오일선(한국 2만기업 연구소장) :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던 중국 자본이 이제는 경영권 인수를 통해 기술과 인력 확보에 나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대주주 지위를 이용한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우려도 여전한 만큼 해당업계의 특성 등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