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승패 가르는 정치인의 미소…진짜와 가짜 구분법

입력 2016.04.04 (07:07) 수정 2016.04.04 (0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느 나라든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은 유권자들 앞에서 미소를 많이 짓죠.

매력적인 미소는 정치인의 인상을 좌우해 당락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진짜 미소와 가짜 미소를 과학적으로 구분하는 방법 신방실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대선 과정에서 뜨겁게 맞붙은 공화당의 두 후보, 1위 도널드 트럼프를 테드 크루즈가 맹추격 중인데, 아직 역부족입니다.

최근엔 크루즈의 표정이 오싹할 정도로 기이하고 불편하다는 지적까지 나왔습니다.

'뒤센 미소'라고 불리는 활짝 웃는 웃음 대신 억지웃음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인터뷰> 리처드 사이토윅(미국조지워싱턴대 신경학과 교수) : "크루즈는 뒤센 미소(활짝 웃는 미소)를 짓지 않습니다. 입은 일자로 굳게 닫힌 모양이고 입가의 곡선도 아래로 향하고 있어 뒤센 미소와 정반대입니다."

과격한 듯해도 웃을 땐 천진난만한 트럼프와 대조를 이룹니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도 소탈한 미소로 인기몰이 중인데, 두 사람 표정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입꼬리만 올라간 가짜 웃음이 아니라 까치발 모양의 눈가 주름이 특징인 진짜 미소, 즉 '뒤센 미소'를 짓는다는 겁니다.

입을 끌어올리는 광대근과 함께 눈둘레근이 움직여야 가능합니다.

뒤센 미소는 19세기 프랑스 의사 뒤센이 눈둘레근은 전기자극 등 인위적으로 수축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진정한 미소를 뜻하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희진(연세대 구강생물학교실교수) : "(뒤센 미소는)입 주위 근육의 작용과 눈 주위 근육이 같이 작용해서 눈과 입이 동시에 움직이면서 아주 환하게 내 감정을 표현하는 웃음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이런 미소를 보면 보상에 관여하는 뇌 전두엽의 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돼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심을 잡으려는 정치인들의 미소 세례 속에서 얼마나 진정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유권자들의 몫입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선거 승패 가르는 정치인의 미소…진짜와 가짜 구분법
    • 입력 2016-04-04 07:14:10
    • 수정2016-04-04 08:13:38
    뉴스광장
<앵커 멘트>

어느 나라든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은 유권자들 앞에서 미소를 많이 짓죠.

매력적인 미소는 정치인의 인상을 좌우해 당락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진짜 미소와 가짜 미소를 과학적으로 구분하는 방법 신방실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대선 과정에서 뜨겁게 맞붙은 공화당의 두 후보, 1위 도널드 트럼프를 테드 크루즈가 맹추격 중인데, 아직 역부족입니다.

최근엔 크루즈의 표정이 오싹할 정도로 기이하고 불편하다는 지적까지 나왔습니다.

'뒤센 미소'라고 불리는 활짝 웃는 웃음 대신 억지웃음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인터뷰> 리처드 사이토윅(미국조지워싱턴대 신경학과 교수) : "크루즈는 뒤센 미소(활짝 웃는 미소)를 짓지 않습니다. 입은 일자로 굳게 닫힌 모양이고 입가의 곡선도 아래로 향하고 있어 뒤센 미소와 정반대입니다."

과격한 듯해도 웃을 땐 천진난만한 트럼프와 대조를 이룹니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도 소탈한 미소로 인기몰이 중인데, 두 사람 표정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입꼬리만 올라간 가짜 웃음이 아니라 까치발 모양의 눈가 주름이 특징인 진짜 미소, 즉 '뒤센 미소'를 짓는다는 겁니다.

입을 끌어올리는 광대근과 함께 눈둘레근이 움직여야 가능합니다.

뒤센 미소는 19세기 프랑스 의사 뒤센이 눈둘레근은 전기자극 등 인위적으로 수축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진정한 미소를 뜻하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희진(연세대 구강생물학교실교수) : "(뒤센 미소는)입 주위 근육의 작용과 눈 주위 근육이 같이 작용해서 눈과 입이 동시에 움직이면서 아주 환하게 내 감정을 표현하는 웃음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이런 미소를 보면 보상에 관여하는 뇌 전두엽의 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돼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심을 잡으려는 정치인들의 미소 세례 속에서 얼마나 진정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유권자들의 몫입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