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줄기세포 분화 억제해 소아비만 치료 가능성 제시
입력 2016.04.15 (02:14)
수정 2016.04.15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발현을 통해 지방세포가 늘어나는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성균관대 약대 한정환 교수팀은 체내 신호 전달물질로 알려진 특정 효소(S6K1)가 지방 줄기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해 지방세포 수를 늘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몸 속 지방세포에 존재하는 지방 줄기세포는 관련 유전자들의 신호에 따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구팀이 실제 비만 환자의 지방세포를 분석했더니 'S6K1'이 활성화됐는데, 'S6K1'은 음식물 섭취 등 세포 내 에너지 공급에 의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전적으로 'S6K1'를 제거한 실험용 쥐는 몸 속 지방의 양이 일반 쥐와 비교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소아비만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생성된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성인비만과 달리 소아비만은 지방세포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생긴다.
어릴 때 한번 만들어진 지방세포는 나이가 들어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만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고혈압과 지방간, 당뇨병 등 각종 합병증을 불러 온다.
이번에 발견된 지방 줄기세포 분화 원리를 이용해 'S6K1'을 억제할 수 있다면 소아비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한 교수는 전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 최신호(4월 14일자)에 실렸다.
성균관대 약대 한정환 교수팀은 체내 신호 전달물질로 알려진 특정 효소(S6K1)가 지방 줄기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해 지방세포 수를 늘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몸 속 지방세포에 존재하는 지방 줄기세포는 관련 유전자들의 신호에 따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구팀이 실제 비만 환자의 지방세포를 분석했더니 'S6K1'이 활성화됐는데, 'S6K1'은 음식물 섭취 등 세포 내 에너지 공급에 의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전적으로 'S6K1'를 제거한 실험용 쥐는 몸 속 지방의 양이 일반 쥐와 비교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소아비만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생성된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성인비만과 달리 소아비만은 지방세포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생긴다.
어릴 때 한번 만들어진 지방세포는 나이가 들어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만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고혈압과 지방간, 당뇨병 등 각종 합병증을 불러 온다.
이번에 발견된 지방 줄기세포 분화 원리를 이용해 'S6K1'을 억제할 수 있다면 소아비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한 교수는 전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 최신호(4월 14일자)에 실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방 줄기세포 분화 억제해 소아비만 치료 가능성 제시
-
- 입력 2016-04-15 02:14:09
- 수정2016-04-15 07:38:57

유전자 발현을 통해 지방세포가 늘어나는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성균관대 약대 한정환 교수팀은 체내 신호 전달물질로 알려진 특정 효소(S6K1)가 지방 줄기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해 지방세포 수를 늘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몸 속 지방세포에 존재하는 지방 줄기세포는 관련 유전자들의 신호에 따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구팀이 실제 비만 환자의 지방세포를 분석했더니 'S6K1'이 활성화됐는데, 'S6K1'은 음식물 섭취 등 세포 내 에너지 공급에 의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전적으로 'S6K1'를 제거한 실험용 쥐는 몸 속 지방의 양이 일반 쥐와 비교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소아비만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생성된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성인비만과 달리 소아비만은 지방세포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 생긴다.
어릴 때 한번 만들어진 지방세포는 나이가 들어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만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고혈압과 지방간, 당뇨병 등 각종 합병증을 불러 온다.
이번에 발견된 지방 줄기세포 분화 원리를 이용해 'S6K1'을 억제할 수 있다면 소아비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한 교수는 전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 최신호(4월 14일자)에 실렸다.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