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다 비싼 종자’…품종 국산화 시급
입력 2016.05.06 (06:39)
수정 2016.05.06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종자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파프리카 종자 가격은 같은 무게의 금보다 두 배 더 비싸다고 합니다.
그만큼 경제성이 있다는 얘기이고, 그래서 국산 품종 개발이 시급하기도 합니다.
이어서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파를 재배하는 농부 윤부한씨.
국산 품종 양파 재배에 도전했다 한 해 농사를 망치고선 예전의 일본산 양파 재배로 되돌아왔습니다.
<인터뷰> 윤부한(경남 합천 양파 재배농가) : "한 번 그렇게 실패를 보니까 이 지역에 종자가 안 맞는가보다 싶어가지고..."
양파는 물론 사과와 배, 파프리카와 포도 등은 우리 땅에서 길러도 80% 넘게, 종자는 외국산입니다.
인천항 보세 창고를 찾아가 봤습니다.
검역을 기다리는 해외 종자들이 한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해 양배추 종자는 148톤, 양파 55톤 등 2061톤 어치가 수입됐습니다.
수입액이 790억 원, 우리가 수출한 것보다 270억 원이나 많습니다.
특히 2014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해외 종자를 제조업에 활용하면 그때마다 로열티를 내야합니다.
<인터뷰> 소은희(국립종자원 종자검정연구센터장) : "약품이나 화장품으로 활용해 이익이 발생하였을 경우 최대 5%까지 이익 공유를 해야 하는..."
이렇게 종자가 돈이라 중국 국유기업이 세계 3대 종자기업을 사들이는 등 세계는 치열한 종자 전쟁 중입니다.
정부도 2021년까지 5천억 원 가까이를 종자 산업에 투입하겠다고 했지만, 종자 주권의 뿌리는 아직 땅 속 깊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종자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파프리카 종자 가격은 같은 무게의 금보다 두 배 더 비싸다고 합니다.
그만큼 경제성이 있다는 얘기이고, 그래서 국산 품종 개발이 시급하기도 합니다.
이어서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파를 재배하는 농부 윤부한씨.
국산 품종 양파 재배에 도전했다 한 해 농사를 망치고선 예전의 일본산 양파 재배로 되돌아왔습니다.
<인터뷰> 윤부한(경남 합천 양파 재배농가) : "한 번 그렇게 실패를 보니까 이 지역에 종자가 안 맞는가보다 싶어가지고..."
양파는 물론 사과와 배, 파프리카와 포도 등은 우리 땅에서 길러도 80% 넘게, 종자는 외국산입니다.
인천항 보세 창고를 찾아가 봤습니다.
검역을 기다리는 해외 종자들이 한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해 양배추 종자는 148톤, 양파 55톤 등 2061톤 어치가 수입됐습니다.
수입액이 790억 원, 우리가 수출한 것보다 270억 원이나 많습니다.
특히 2014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해외 종자를 제조업에 활용하면 그때마다 로열티를 내야합니다.
<인터뷰> 소은희(국립종자원 종자검정연구센터장) : "약품이나 화장품으로 활용해 이익이 발생하였을 경우 최대 5%까지 이익 공유를 해야 하는..."
이렇게 종자가 돈이라 중국 국유기업이 세계 3대 종자기업을 사들이는 등 세계는 치열한 종자 전쟁 중입니다.
정부도 2021년까지 5천억 원 가까이를 종자 산업에 투입하겠다고 했지만, 종자 주권의 뿌리는 아직 땅 속 깊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보다 비싼 종자’…품종 국산화 시급
-
- 입력 2016-05-06 06:49:39
- 수정2016-05-06 07:38:58
<앵커 멘트>
종자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파프리카 종자 가격은 같은 무게의 금보다 두 배 더 비싸다고 합니다.
그만큼 경제성이 있다는 얘기이고, 그래서 국산 품종 개발이 시급하기도 합니다.
이어서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파를 재배하는 농부 윤부한씨.
국산 품종 양파 재배에 도전했다 한 해 농사를 망치고선 예전의 일본산 양파 재배로 되돌아왔습니다.
<인터뷰> 윤부한(경남 합천 양파 재배농가) : "한 번 그렇게 실패를 보니까 이 지역에 종자가 안 맞는가보다 싶어가지고..."
양파는 물론 사과와 배, 파프리카와 포도 등은 우리 땅에서 길러도 80% 넘게, 종자는 외국산입니다.
인천항 보세 창고를 찾아가 봤습니다.
검역을 기다리는 해외 종자들이 한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해 양배추 종자는 148톤, 양파 55톤 등 2061톤 어치가 수입됐습니다.
수입액이 790억 원, 우리가 수출한 것보다 270억 원이나 많습니다.
특히 2014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해외 종자를 제조업에 활용하면 그때마다 로열티를 내야합니다.
<인터뷰> 소은희(국립종자원 종자검정연구센터장) : "약품이나 화장품으로 활용해 이익이 발생하였을 경우 최대 5%까지 이익 공유를 해야 하는..."
이렇게 종자가 돈이라 중국 국유기업이 세계 3대 종자기업을 사들이는 등 세계는 치열한 종자 전쟁 중입니다.
정부도 2021년까지 5천억 원 가까이를 종자 산업에 투입하겠다고 했지만, 종자 주권의 뿌리는 아직 땅 속 깊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종자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파프리카 종자 가격은 같은 무게의 금보다 두 배 더 비싸다고 합니다.
그만큼 경제성이 있다는 얘기이고, 그래서 국산 품종 개발이 시급하기도 합니다.
이어서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파를 재배하는 농부 윤부한씨.
국산 품종 양파 재배에 도전했다 한 해 농사를 망치고선 예전의 일본산 양파 재배로 되돌아왔습니다.
<인터뷰> 윤부한(경남 합천 양파 재배농가) : "한 번 그렇게 실패를 보니까 이 지역에 종자가 안 맞는가보다 싶어가지고..."
양파는 물론 사과와 배, 파프리카와 포도 등은 우리 땅에서 길러도 80% 넘게, 종자는 외국산입니다.
인천항 보세 창고를 찾아가 봤습니다.
검역을 기다리는 해외 종자들이 한가득 쌓여 있습니다.
지난해 양배추 종자는 148톤, 양파 55톤 등 2061톤 어치가 수입됐습니다.
수입액이 790억 원, 우리가 수출한 것보다 270억 원이나 많습니다.
특히 2014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해외 종자를 제조업에 활용하면 그때마다 로열티를 내야합니다.
<인터뷰> 소은희(국립종자원 종자검정연구센터장) : "약품이나 화장품으로 활용해 이익이 발생하였을 경우 최대 5%까지 이익 공유를 해야 하는..."
이렇게 종자가 돈이라 중국 국유기업이 세계 3대 종자기업을 사들이는 등 세계는 치열한 종자 전쟁 중입니다.
정부도 2021년까지 5천억 원 가까이를 종자 산업에 투입하겠다고 했지만, 종자 주권의 뿌리는 아직 땅 속 깊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