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새 수원 도심 싱크홀 5개…“1km당 3곳 위험”
입력 2016.05.11 (07:38)
수정 2016.05.11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보름 사이 경기도 수원 도심에서만 땅 꺼짐 현상이 다섯 차례나 발생해 장마철 앞둔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낡은 상하수도관이 원인인데 문제는 이미 전국 곳곳에서 이 같은 위험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도로. 2차선 일부가 콘크리트로 덮여 있습니다.
갑자기 지반이 내려앉자 임시방편으로 메워 놓은 겁니다.
이 같은 땅꺼짐 현상이 최근 수원 도심에서만 무려 5군데.
지난달 22일 세 곳에 이어 사흘 뒤인 25일, 이달 8일까지 최대 너비 80cm에 이르는 구멍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정일(경기도 수원시 매탄동) : "요즘 주위에 자꾸 이런 현상(땅꺼짐)이 많이 생기니까 거기에 대해서 불안감을 많이 가지고 있고요."
원인은 일단 상하수도관 누수로 추정됩니다.
실제 땅 속 하수도 상황이 어떤지 cctv 카메라로 확인해 봤습니다.
연결 관이 튀어나와 있고... 표면이 아예 손상된 곳도 있습니다.
얼마전 땅거짐 현상이 발생했던 도로입니다.
장마철 같이 비가 오는 날이 잦아질수록 도로는 지반이 약해져 더 많은 곳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국 노후 하수관로 천6백 여km 가운데 땅꺼짐 위험이 있는 곳은 1km당 0.6곳 꼴.
특히 경기도는 1km당 무려 2.24곳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상덕(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장마철이 되면 아무래도 지하수 양이 많아지니까 물 흐름양이 많아지고, 공기방울이돼서 위로 솟아올라오는 그런 경향이 있어서 상당히 (지반이)취약해집니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들이 정밀 조사 용역에 나섰지만 당장 필요한 보행 안전 대책은 임시 방편에만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최근 보름 사이 경기도 수원 도심에서만 땅 꺼짐 현상이 다섯 차례나 발생해 장마철 앞둔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낡은 상하수도관이 원인인데 문제는 이미 전국 곳곳에서 이 같은 위험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도로. 2차선 일부가 콘크리트로 덮여 있습니다.
갑자기 지반이 내려앉자 임시방편으로 메워 놓은 겁니다.
이 같은 땅꺼짐 현상이 최근 수원 도심에서만 무려 5군데.
지난달 22일 세 곳에 이어 사흘 뒤인 25일, 이달 8일까지 최대 너비 80cm에 이르는 구멍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정일(경기도 수원시 매탄동) : "요즘 주위에 자꾸 이런 현상(땅꺼짐)이 많이 생기니까 거기에 대해서 불안감을 많이 가지고 있고요."
원인은 일단 상하수도관 누수로 추정됩니다.
실제 땅 속 하수도 상황이 어떤지 cctv 카메라로 확인해 봤습니다.
연결 관이 튀어나와 있고... 표면이 아예 손상된 곳도 있습니다.
얼마전 땅거짐 현상이 발생했던 도로입니다.
장마철 같이 비가 오는 날이 잦아질수록 도로는 지반이 약해져 더 많은 곳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국 노후 하수관로 천6백 여km 가운데 땅꺼짐 위험이 있는 곳은 1km당 0.6곳 꼴.
특히 경기도는 1km당 무려 2.24곳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상덕(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장마철이 되면 아무래도 지하수 양이 많아지니까 물 흐름양이 많아지고, 공기방울이돼서 위로 솟아올라오는 그런 경향이 있어서 상당히 (지반이)취약해집니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들이 정밀 조사 용역에 나섰지만 당장 필요한 보행 안전 대책은 임시 방편에만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름새 수원 도심 싱크홀 5개…“1km당 3곳 위험”
-
- 입력 2016-05-11 07:48:29
- 수정2016-05-11 08:15:34

<앵커 멘트>
최근 보름 사이 경기도 수원 도심에서만 땅 꺼짐 현상이 다섯 차례나 발생해 장마철 앞둔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낡은 상하수도관이 원인인데 문제는 이미 전국 곳곳에서 이 같은 위험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도로. 2차선 일부가 콘크리트로 덮여 있습니다.
갑자기 지반이 내려앉자 임시방편으로 메워 놓은 겁니다.
이 같은 땅꺼짐 현상이 최근 수원 도심에서만 무려 5군데.
지난달 22일 세 곳에 이어 사흘 뒤인 25일, 이달 8일까지 최대 너비 80cm에 이르는 구멍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정일(경기도 수원시 매탄동) : "요즘 주위에 자꾸 이런 현상(땅꺼짐)이 많이 생기니까 거기에 대해서 불안감을 많이 가지고 있고요."
원인은 일단 상하수도관 누수로 추정됩니다.
실제 땅 속 하수도 상황이 어떤지 cctv 카메라로 확인해 봤습니다.
연결 관이 튀어나와 있고... 표면이 아예 손상된 곳도 있습니다.
얼마전 땅거짐 현상이 발생했던 도로입니다.
장마철 같이 비가 오는 날이 잦아질수록 도로는 지반이 약해져 더 많은 곳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국 노후 하수관로 천6백 여km 가운데 땅꺼짐 위험이 있는 곳은 1km당 0.6곳 꼴.
특히 경기도는 1km당 무려 2.24곳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상덕(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장마철이 되면 아무래도 지하수 양이 많아지니까 물 흐름양이 많아지고, 공기방울이돼서 위로 솟아올라오는 그런 경향이 있어서 상당히 (지반이)취약해집니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들이 정밀 조사 용역에 나섰지만 당장 필요한 보행 안전 대책은 임시 방편에만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최근 보름 사이 경기도 수원 도심에서만 땅 꺼짐 현상이 다섯 차례나 발생해 장마철 앞둔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낡은 상하수도관이 원인인데 문제는 이미 전국 곳곳에서 이 같은 위험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도로. 2차선 일부가 콘크리트로 덮여 있습니다.
갑자기 지반이 내려앉자 임시방편으로 메워 놓은 겁니다.
이 같은 땅꺼짐 현상이 최근 수원 도심에서만 무려 5군데.
지난달 22일 세 곳에 이어 사흘 뒤인 25일, 이달 8일까지 최대 너비 80cm에 이르는 구멍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정일(경기도 수원시 매탄동) : "요즘 주위에 자꾸 이런 현상(땅꺼짐)이 많이 생기니까 거기에 대해서 불안감을 많이 가지고 있고요."
원인은 일단 상하수도관 누수로 추정됩니다.
실제 땅 속 하수도 상황이 어떤지 cctv 카메라로 확인해 봤습니다.
연결 관이 튀어나와 있고... 표면이 아예 손상된 곳도 있습니다.
얼마전 땅거짐 현상이 발생했던 도로입니다.
장마철 같이 비가 오는 날이 잦아질수록 도로는 지반이 약해져 더 많은 곳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국 노후 하수관로 천6백 여km 가운데 땅꺼짐 위험이 있는 곳은 1km당 0.6곳 꼴.
특히 경기도는 1km당 무려 2.24곳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상덕(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장마철이 되면 아무래도 지하수 양이 많아지니까 물 흐름양이 많아지고, 공기방울이돼서 위로 솟아올라오는 그런 경향이 있어서 상당히 (지반이)취약해집니다."
전국의 각 자치단체들이 정밀 조사 용역에 나섰지만 당장 필요한 보행 안전 대책은 임시 방편에만 그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이종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