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료 협상단 오늘 입국…이르면 오늘 협의체 회의
입력 2016.05.17 (07:19)
수정 2016.05.17 (08: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용선료 인하 협상 마감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내일로 예정된 현대상선 담판을 위해 오늘 용선사 5곳 협상단이 우리나라에 옵니다.
구조조정을 위한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 2차 회의도 이번 주 열릴 예정이어서 해운과 조선업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경진 기자!
<질문>
현대상선의 정상화는 배를 사용하는 비용, 이른바 '용선료' 협상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 협상을 하기 위해 해외 용선주들이 오늘 우리나라에 들어온다고요?
<답변>
네, 내일이 현대상선과 현대상선에 배를 빌려준 해외 용선주들의 최종 담판일인데요.
담판을 앞두고 용선주 5곳의 협상단이 오늘 방한합니다.
용선주 5곳 가운데 일부는 용선료를 내릴 수 없다고 버티고 있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용선주들은 협상에 앞서 일단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관계자부터 만나겠다는 입장입니다.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현대상선의 정상화에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겠다는 겁니다.
<질문>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현대상선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려면 산업은행의 자본 확충이 우선되어야 할텐데요.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한 협의체도 곧 열릴 예정이지요?
<답변>
이르면 오늘, 늦어도 이번 주 안엔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1차 회의에서 자본확충에 대한 큰 틀의 합의 이룬 만큼 2차 회의에선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현재 '자본확충펀드'가 유력하게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자본확충 펀드란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대출을 해주면 시중은행이 펀드를 조성하고, 이 펀드가 산은과 수은이 발행한 증권을 사들여서 자본을 늘려주는 방식입니다.
한국은행은 이 방안을 선호하고 있지만 정부는 직접 출자를 선호하고 있어서 협의체에서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용선료 인하 협상 마감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내일로 예정된 현대상선 담판을 위해 오늘 용선사 5곳 협상단이 우리나라에 옵니다.
구조조정을 위한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 2차 회의도 이번 주 열릴 예정이어서 해운과 조선업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경진 기자!
<질문>
현대상선의 정상화는 배를 사용하는 비용, 이른바 '용선료' 협상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 협상을 하기 위해 해외 용선주들이 오늘 우리나라에 들어온다고요?
<답변>
네, 내일이 현대상선과 현대상선에 배를 빌려준 해외 용선주들의 최종 담판일인데요.
담판을 앞두고 용선주 5곳의 협상단이 오늘 방한합니다.
용선주 5곳 가운데 일부는 용선료를 내릴 수 없다고 버티고 있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용선주들은 협상에 앞서 일단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관계자부터 만나겠다는 입장입니다.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현대상선의 정상화에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겠다는 겁니다.
<질문>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현대상선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려면 산업은행의 자본 확충이 우선되어야 할텐데요.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한 협의체도 곧 열릴 예정이지요?
<답변>
이르면 오늘, 늦어도 이번 주 안엔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1차 회의에서 자본확충에 대한 큰 틀의 합의 이룬 만큼 2차 회의에선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현재 '자본확충펀드'가 유력하게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자본확충 펀드란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대출을 해주면 시중은행이 펀드를 조성하고, 이 펀드가 산은과 수은이 발행한 증권을 사들여서 자본을 늘려주는 방식입니다.
한국은행은 이 방안을 선호하고 있지만 정부는 직접 출자를 선호하고 있어서 협의체에서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선료 협상단 오늘 입국…이르면 오늘 협의체 회의
-
- 입력 2016-05-17 07:21:29
- 수정2016-05-17 08:18:03

<앵커 멘트>
용선료 인하 협상 마감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내일로 예정된 현대상선 담판을 위해 오늘 용선사 5곳 협상단이 우리나라에 옵니다.
구조조정을 위한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 2차 회의도 이번 주 열릴 예정이어서 해운과 조선업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경진 기자!
<질문>
현대상선의 정상화는 배를 사용하는 비용, 이른바 '용선료' 협상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 협상을 하기 위해 해외 용선주들이 오늘 우리나라에 들어온다고요?
<답변>
네, 내일이 현대상선과 현대상선에 배를 빌려준 해외 용선주들의 최종 담판일인데요.
담판을 앞두고 용선주 5곳의 협상단이 오늘 방한합니다.
용선주 5곳 가운데 일부는 용선료를 내릴 수 없다고 버티고 있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용선주들은 협상에 앞서 일단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관계자부터 만나겠다는 입장입니다.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현대상선의 정상화에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겠다는 겁니다.
<질문>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현대상선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려면 산업은행의 자본 확충이 우선되어야 할텐데요.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한 협의체도 곧 열릴 예정이지요?
<답변>
이르면 오늘, 늦어도 이번 주 안엔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1차 회의에서 자본확충에 대한 큰 틀의 합의 이룬 만큼 2차 회의에선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현재 '자본확충펀드'가 유력하게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자본확충 펀드란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대출을 해주면 시중은행이 펀드를 조성하고, 이 펀드가 산은과 수은이 발행한 증권을 사들여서 자본을 늘려주는 방식입니다.
한국은행은 이 방안을 선호하고 있지만 정부는 직접 출자를 선호하고 있어서 협의체에서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용선료 인하 협상 마감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내일로 예정된 현대상선 담판을 위해 오늘 용선사 5곳 협상단이 우리나라에 옵니다.
구조조정을 위한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 2차 회의도 이번 주 열릴 예정이어서 해운과 조선업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김경진 기자!
<질문>
현대상선의 정상화는 배를 사용하는 비용, 이른바 '용선료' 협상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 협상을 하기 위해 해외 용선주들이 오늘 우리나라에 들어온다고요?
<답변>
네, 내일이 현대상선과 현대상선에 배를 빌려준 해외 용선주들의 최종 담판일인데요.
담판을 앞두고 용선주 5곳의 협상단이 오늘 방한합니다.
용선주 5곳 가운데 일부는 용선료를 내릴 수 없다고 버티고 있어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용선주들은 협상에 앞서 일단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관계자부터 만나겠다는 입장입니다.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현대상선의 정상화에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떤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겠다는 겁니다.
<질문>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현대상선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려면 산업은행의 자본 확충이 우선되어야 할텐데요.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한 협의체도 곧 열릴 예정이지요?
<답변>
이르면 오늘, 늦어도 이번 주 안엔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1차 회의에서 자본확충에 대한 큰 틀의 합의 이룬 만큼 2차 회의에선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현재 '자본확충펀드'가 유력하게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자본확충 펀드란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대출을 해주면 시중은행이 펀드를 조성하고, 이 펀드가 산은과 수은이 발행한 증권을 사들여서 자본을 늘려주는 방식입니다.
한국은행은 이 방안을 선호하고 있지만 정부는 직접 출자를 선호하고 있어서 협의체에서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