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자원 병역특례 폐지”…이공계 등 반발

입력 2016.05.17 (14:49) 수정 2016.05.17 (1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에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 병역특례로 대체복무하는 제도가 2023년부터 전면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오늘(17일) "현역 자원을 병역 특례 요원으로 배정하는 제도는 2023년부터 중단하기로 하고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출생률 저하로 2022년까지 52만 명 규모로 병력 감축을 추진 중이지만, 그래도 한 해 2~3만 명의 병역 자원이 부족하다"며 병역 특례 폐지를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국방부는 "모든 제도를 일시에 폐지하면 그동안 지원 받아온 기관이나 연구소, 경찰 등의 충격이 크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공계 산업 기능 요원과 의경·해경·소방공무원 복무 등 현역 자원 병역 특례자는 연간 2만 8천여 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갖고 병무청이 선정한 기관에서 연구인력으로 일하며 병역을 대체하는 전문연구요원은 2천5백 명, 특정 분야 자격증을 따 중소기업에서 일정기간 근무해 병역을 이행하는 산업기능요원은 6천 명이라고 국방부는 밝혔다.

그간 국방부는 여러 차례 병역특례요원을 포함한 대체복무요원 감축·폐지 계획을 밝혀왔지만 관계부처의 반대로 실행하지는 못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병역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실에서 (대체복무요원 감축이나 폐지는) 불가피하다"며 "현역 자원 병역 특례는 군 인력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중소기업중앙회


하지만 이들을 고용해온 정부부처나 연구소, 중소기업 등의 반발이 예상된다. 병역특례요원 대신 인력을 고용하는데 추가 경비가 들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은 기술ㆍ기능인력 및 연구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한 상황으로, 병역특례제도가 폐지될 경우 글로벌 경기악화와 인력난의 이중고에 처해 절박한 생존기로에 놓일 것"이라며 "병역특례제도 폐지에 대한 전면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단절이 불가피한 이공계 박사과정의 전문 연구원 사이에서도 반발 움직임이 일고 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학부 총학생회와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총학생회 등이 전문연구요원 폐지에 공동대응하기로 했다.



중소기업계와 이공계의 반발에 대해 국방부는 "병역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실에서 (대체복무요원 감축이나 폐지는) 불가피하다"며 "현역 자원 병역 특례는 군 인력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전문연구요원의 경우 "연구소에서 일하는 인원은 60%에 불과하고, 나머지 1,000여 명은 개인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병역특례를 주는 등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역자원 병역특례 폐지”…이공계 등 반발
    • 입력 2016-05-17 14:49:09
    • 수정2016-05-17 18:08:32
    취재K
군에 현역으로 복무하는 대신 병역특례로 대체복무하는 제도가 2023년부터 전면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오늘(17일) "현역 자원을 병역 특례 요원으로 배정하는 제도는 2023년부터 중단하기로 하고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출생률 저하로 2022년까지 52만 명 규모로 병력 감축을 추진 중이지만, 그래도 한 해 2~3만 명의 병역 자원이 부족하다"며 병역 특례 폐지를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국방부는 "모든 제도를 일시에 폐지하면 그동안 지원 받아온 기관이나 연구소, 경찰 등의 충격이 크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공계 산업 기능 요원과 의경·해경·소방공무원 복무 등 현역 자원 병역 특례자는 연간 2만 8천여 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갖고 병무청이 선정한 기관에서 연구인력으로 일하며 병역을 대체하는 전문연구요원은 2천5백 명, 특정 분야 자격증을 따 중소기업에서 일정기간 근무해 병역을 이행하는 산업기능요원은 6천 명이라고 국방부는 밝혔다. 그간 국방부는 여러 차례 병역특례요원을 포함한 대체복무요원 감축·폐지 계획을 밝혀왔지만 관계부처의 반대로 실행하지는 못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병역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실에서 (대체복무요원 감축이나 폐지는) 불가피하다"며 "현역 자원 병역 특례는 군 인력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 하지만 이들을 고용해온 정부부처나 연구소, 중소기업 등의 반발이 예상된다. 병역특례요원 대신 인력을 고용하는데 추가 경비가 들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은 기술ㆍ기능인력 및 연구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한 상황으로, 병역특례제도가 폐지될 경우 글로벌 경기악화와 인력난의 이중고에 처해 절박한 생존기로에 놓일 것"이라며 "병역특례제도 폐지에 대한 전면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단절이 불가피한 이공계 박사과정의 전문 연구원 사이에서도 반발 움직임이 일고 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학부 총학생회와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총학생회 등이 전문연구요원 폐지에 공동대응하기로 했다. 중소기업계와 이공계의 반발에 대해 국방부는 "병역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실에서 (대체복무요원 감축이나 폐지는) 불가피하다"며 "현역 자원 병역 특례는 군 인력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전문연구요원의 경우 "연구소에서 일하는 인원은 60%에 불과하고, 나머지 1,000여 명은 개인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병역특례를 주는 등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