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예보, 오염 심한 날에 더 부정확…왜?

입력 2016.05.20 (06:55) 수정 2016.05.20 (1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세먼지 예보가 틀려 올 봄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는데요.

오염이 심한 날엔 예보가 오히려 더 부정확해 개선 대책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과연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요.

김명섭 기자가 그 원인을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미세먼지 예보를 하는 대기질 예보센터입니다.

2년째 예보하는데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의 예보 정확도는 70%대, 다른 지역은 60%대를 밑돕니다.

대기오염 측정소들의 위치때문입니다.

인구 분포에 따라 측정소가 몇몇 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제대로 예보하기 위해선 측정소가 전국에 골고루 있어야 합니다.

<인터뷰> 이재범(대기질통합예보센터 연구원) : "측정망의 설계가 국민들한테 경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만들어진 거기때문에 예보 관점에서 보면은 등간격으로 조밀하게 있는 건 상당히 좋습니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오염물질 배출량을 제대로 계산 못하는 건 더 큰 문제입니다.

이 염색공장은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미세먼지 배출량 통계에 포함되지조차 않습니다.

경유차는 도로를 달릴 때 기준치의 10배까지 배출가스를 더 내뿜는데 배출량 계산은 기준치 중심의 제한적 방식을 씁니다.

타이어가 닳아 생기는 미세먼지도 배출원 통계에선 제외돼 있습니다.

<인터뷰> 안병옥(시민환경연구소 소장) : "이동하고 있는 자동차들은 사실상 장기간 데이터를 축적하지 않고는 어느정도 배출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투자가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

제대로 된 통계와 관측이 없다보니 미세먼지에 대한 예측과 대책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명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세먼지 예보, 오염 심한 날에 더 부정확…왜?
    • 입력 2016-05-20 07:01:00
    • 수정2016-05-20 10:09:22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미세먼지 예보가 틀려 올 봄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는데요. 오염이 심한 날엔 예보가 오히려 더 부정확해 개선 대책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과연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요. 김명섭 기자가 그 원인을 찾아봤습니다. <리포트> 미세먼지 예보를 하는 대기질 예보센터입니다. 2년째 예보하는데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의 예보 정확도는 70%대, 다른 지역은 60%대를 밑돕니다. 대기오염 측정소들의 위치때문입니다. 인구 분포에 따라 측정소가 몇몇 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제대로 예보하기 위해선 측정소가 전국에 골고루 있어야 합니다. <인터뷰> 이재범(대기질통합예보센터 연구원) : "측정망의 설계가 국민들한테 경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만들어진 거기때문에 예보 관점에서 보면은 등간격으로 조밀하게 있는 건 상당히 좋습니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오염물질 배출량을 제대로 계산 못하는 건 더 큰 문제입니다. 이 염색공장은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미세먼지 배출량 통계에 포함되지조차 않습니다. 경유차는 도로를 달릴 때 기준치의 10배까지 배출가스를 더 내뿜는데 배출량 계산은 기준치 중심의 제한적 방식을 씁니다. 타이어가 닳아 생기는 미세먼지도 배출원 통계에선 제외돼 있습니다. <인터뷰> 안병옥(시민환경연구소 소장) : "이동하고 있는 자동차들은 사실상 장기간 데이터를 축적하지 않고는 어느정도 배출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투자가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 제대로 된 통계와 관측이 없다보니 미세먼지에 대한 예측과 대책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KBS 뉴스 김명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