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 환자 2주사이 74% 급증
입력 2016.05.28 (09:39)
수정 2016.05.28 (10: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중심의 전염병인 수족구병 환자가 최근 2주 사이 7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의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외래환자 1천명당 수족구병 환자 수는 올해 19주(1~7일) 7.7명에서 21주(15~21일) 13.4명으로 74.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수는 0~6세에 특히 많았다. 1천명당 환자수는 19주에 9.2명이었고 21주 15.6명으로 늘었다. 질본은 의료기관 99곳이 참여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영유아 등이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엉덩이에 비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으며 수건, 장난감, 집기 등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3~7일로, 발열, 식욕감소, 무력감 등 전신증상과 설사, 구토 등 위장증상도 동반한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증상이 심해지지만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한다. 피부나 입안의 병변이 좋아지는 데는 7~10일이 걸린다. 수족구병을 앓았더라도 다시 재발이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전염력이 강한 질병이어서 증상이 나타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집단 시설에서 타인과 접촉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씻기의 생활화가 가장 중요하고, 입안의 궤양 때문에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적절히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또 뜨거운 것보다는 차가운 물이나 음료수가 좋고 맵거나 신 음식은 입안을 자극해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질병관리본부의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외래환자 1천명당 수족구병 환자 수는 올해 19주(1~7일) 7.7명에서 21주(15~21일) 13.4명으로 74.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수는 0~6세에 특히 많았다. 1천명당 환자수는 19주에 9.2명이었고 21주 15.6명으로 늘었다. 질본은 의료기관 99곳이 참여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영유아 등이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엉덩이에 비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으며 수건, 장난감, 집기 등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3~7일로, 발열, 식욕감소, 무력감 등 전신증상과 설사, 구토 등 위장증상도 동반한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증상이 심해지지만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한다. 피부나 입안의 병변이 좋아지는 데는 7~10일이 걸린다. 수족구병을 앓았더라도 다시 재발이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전염력이 강한 질병이어서 증상이 나타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집단 시설에서 타인과 접촉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씻기의 생활화가 가장 중요하고, 입안의 궤양 때문에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적절히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또 뜨거운 것보다는 차가운 물이나 음료수가 좋고 맵거나 신 음식은 입안을 자극해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족구병 환자 2주사이 74% 급증
-
- 입력 2016-05-28 09:39:00
- 수정2016-05-28 10:24:14

영유아 중심의 전염병인 수족구병 환자가 최근 2주 사이 7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의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외래환자 1천명당 수족구병 환자 수는 올해 19주(1~7일) 7.7명에서 21주(15~21일) 13.4명으로 74.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수는 0~6세에 특히 많았다. 1천명당 환자수는 19주에 9.2명이었고 21주 15.6명으로 늘었다. 질본은 의료기관 99곳이 참여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영유아 등이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엉덩이에 비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으며 수건, 장난감, 집기 등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3~7일로, 발열, 식욕감소, 무력감 등 전신증상과 설사, 구토 등 위장증상도 동반한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증상이 심해지지만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한다. 피부나 입안의 병변이 좋아지는 데는 7~10일이 걸린다. 수족구병을 앓았더라도 다시 재발이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전염력이 강한 질병이어서 증상이 나타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집단 시설에서 타인과 접촉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씻기의 생활화가 가장 중요하고, 입안의 궤양 때문에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적절히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또 뜨거운 것보다는 차가운 물이나 음료수가 좋고 맵거나 신 음식은 입안을 자극해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질병관리본부의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외래환자 1천명당 수족구병 환자 수는 올해 19주(1~7일) 7.7명에서 21주(15~21일) 13.4명으로 74.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수는 0~6세에 특히 많았다. 1천명당 환자수는 19주에 9.2명이었고 21주 15.6명으로 늘었다. 질본은 의료기관 99곳이 참여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수족구병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영유아 등이 많이 걸리는 질환이다.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엉덩이에 비수포성 발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으며 수건, 장난감, 집기 등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3~7일로, 발열, 식욕감소, 무력감 등 전신증상과 설사, 구토 등 위장증상도 동반한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증상이 심해지지만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한다. 피부나 입안의 병변이 좋아지는 데는 7~10일이 걸린다. 수족구병을 앓았더라도 다시 재발이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전염력이 강한 질병이어서 증상이 나타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집단 시설에서 타인과 접촉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씻기의 생활화가 가장 중요하고, 입안의 궤양 때문에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적절히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또 뜨거운 것보다는 차가운 물이나 음료수가 좋고 맵거나 신 음식은 입안을 자극해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
박혜진 기자 root@kbs.co.kr
박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