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게 더 짧게’…1년미만 정기예금 잔액 사상 최대

입력 2016.06.27 (09:50) 수정 2016.06.27 (0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금리의 장기화로 마땅히 갈 곳을 찾지 못한 시중 여유자금이 안전하면서도 만기가 짧은 금융상품에 몰리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만기 1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말잔 기준)은 4월 말 현재 199조 4830억원으로 3월보다 0.4% 증가했다. 이 금액은 역대 최대이자 200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1년 새 21.3%나 늘었다.

만기 1년 미만의 정기예금 잔액은 2009년 11월 100조원을 넘어선 이래 2010년 10월 150조원, 작년 3월 160조원, 6월 170조원, 8월 180조원, 10월 190조원을 각각 돌파하는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만기가 상대적으로 긴 1년∼2년 미만이나 2년∼3년 미만 정기예금의 잔액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1년 이상 2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은 4월 말 현재 342조7천50억원으로 3월보다 0.1%, 작년 같은 달보다는 5.9%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 작년 1월부터 16개월째 줄고 있다.

2년 이상 3년 미만 정기예금의 잔액도 17조2천170억원으로 전월대비 0.3%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3.0%의 감소율을 기록했고 작년 9월 이후 8개월째 줄었다.

이런 현상은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25%로 떨어지는 등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마땅한 투자대상을 찾지 못한 시중 자금이 만기가 짧아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상품에 몰리기 때문이다. 최근 증시에도 투자자금이 몰리면서 고객예탁금이 26조원을 넘어서는 등 시중 단기부동자금이 945조2천215억원에 달해 사상 최대 규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업구조조정 여파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충격 등으로 자금시장에도 불안감이 커지면서 시중 자금의 단기화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런 단기자금들은 최근 강남 일부 지역 재건축 등 특정 부문에 쏠리는 경우가 많아 자금시장의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짧게 더 짧게’…1년미만 정기예금 잔액 사상 최대
    • 입력 2016-06-27 09:50:53
    • 수정2016-06-27 09:59:37
    경제
저금리의 장기화로 마땅히 갈 곳을 찾지 못한 시중 여유자금이 안전하면서도 만기가 짧은 금융상품에 몰리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만기 1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말잔 기준)은 4월 말 현재 199조 4830억원으로 3월보다 0.4% 증가했다. 이 금액은 역대 최대이자 200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1년 새 21.3%나 늘었다.

만기 1년 미만의 정기예금 잔액은 2009년 11월 100조원을 넘어선 이래 2010년 10월 150조원, 작년 3월 160조원, 6월 170조원, 8월 180조원, 10월 190조원을 각각 돌파하는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만기가 상대적으로 긴 1년∼2년 미만이나 2년∼3년 미만 정기예금의 잔액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1년 이상 2년 미만 정기예금 잔액은 4월 말 현재 342조7천50억원으로 3월보다 0.1%, 작년 같은 달보다는 5.9%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 작년 1월부터 16개월째 줄고 있다.

2년 이상 3년 미만 정기예금의 잔액도 17조2천170억원으로 전월대비 0.3% 감소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3.0%의 감소율을 기록했고 작년 9월 이후 8개월째 줄었다.

이런 현상은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25%로 떨어지는 등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마땅한 투자대상을 찾지 못한 시중 자금이 만기가 짧아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상품에 몰리기 때문이다. 최근 증시에도 투자자금이 몰리면서 고객예탁금이 26조원을 넘어서는 등 시중 단기부동자금이 945조2천215억원에 달해 사상 최대 규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기업구조조정 여파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충격 등으로 자금시장에도 불안감이 커지면서 시중 자금의 단기화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런 단기자금들은 최근 강남 일부 지역 재건축 등 특정 부문에 쏠리는 경우가 많아 자금시장의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