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대형유통매장 농축수산물 안전을 위해 추진해온 안전성 검사제도가 실효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지역 148개 대형유통매장의 농축수산물 안전성 부적합률은 지난 2009년 0.45%에서 2015년 0.15%로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 10월 홈플러스와 킴스클럽, 이마트, 농협, 롯데마트 등과 ‘먹을거리 안전관리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8년 간 이들 매장에서 유통되는 농축수산물 6만3,415건을 검사했는데,지난 8년 간 부적합 농산물 건수는 136건이며, 품목별로는 농산물 106건, 축산물 29건, 수산물 1건 등으로 조사됐다.
올해에는 지난 5월까지 2,450건의 농축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으며, 축산물 1건, 수산물 3건의 부적합 축수산물을 회수, 폐기했다 적발된 부적합 농산물은 전량 폐기됐다.
검사는 다음날 판매될 농축수산물 시료를 야간에 수거해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에서 밤샘 안전성검사를 실시하고, 10시간 이내에 판정해 부적합 농산물은 오전 10시 개장 전에 전량 수거 · 폐기 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검사결과 성적서를 매장에 게시해 도민에게 안전한 먹을거리 정보도 제공했다.
경기도는 대형유통매장 안전성 검사와 더불어 농산물 출하단계부터 철저한 안전성 관리를 통해 이같은 성과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문제열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앞으로도 계절별, 시기별 다소비 품목과 부적합 비율이 높은 품목을 중점 검사해 먹을거리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지역 148개 대형유통매장의 농축수산물 안전성 부적합률은 지난 2009년 0.45%에서 2015년 0.15%로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 10월 홈플러스와 킴스클럽, 이마트, 농협, 롯데마트 등과 ‘먹을거리 안전관리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8년 간 이들 매장에서 유통되는 농축수산물 6만3,415건을 검사했는데,지난 8년 간 부적합 농산물 건수는 136건이며, 품목별로는 농산물 106건, 축산물 29건, 수산물 1건 등으로 조사됐다.
올해에는 지난 5월까지 2,450건의 농축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으며, 축산물 1건, 수산물 3건의 부적합 축수산물을 회수, 폐기했다 적발된 부적합 농산물은 전량 폐기됐다.
검사는 다음날 판매될 농축수산물 시료를 야간에 수거해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에서 밤샘 안전성검사를 실시하고, 10시간 이내에 판정해 부적합 농산물은 오전 10시 개장 전에 전량 수거 · 폐기 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검사결과 성적서를 매장에 게시해 도민에게 안전한 먹을거리 정보도 제공했다.
경기도는 대형유통매장 안전성 검사와 더불어 농산물 출하단계부터 철저한 안전성 관리를 통해 이같은 성과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문제열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앞으로도 계절별, 시기별 다소비 품목과 부적합 비율이 높은 품목을 중점 검사해 먹을거리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도, 농축수산물 안전성 검사제도 ‘정착’
-
- 입력 2016-07-06 09:37:05
경기도가 대형유통매장 농축수산물 안전을 위해 추진해온 안전성 검사제도가 실효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지역 148개 대형유통매장의 농축수산물 안전성 부적합률은 지난 2009년 0.45%에서 2015년 0.15%로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 10월 홈플러스와 킴스클럽, 이마트, 농협, 롯데마트 등과 ‘먹을거리 안전관리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8년 간 이들 매장에서 유통되는 농축수산물 6만3,415건을 검사했는데,지난 8년 간 부적합 농산물 건수는 136건이며, 품목별로는 농산물 106건, 축산물 29건, 수산물 1건 등으로 조사됐다.
올해에는 지난 5월까지 2,450건의 농축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으며, 축산물 1건, 수산물 3건의 부적합 축수산물을 회수, 폐기했다 적발된 부적합 농산물은 전량 폐기됐다.
검사는 다음날 판매될 농축수산물 시료를 야간에 수거해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에서 밤샘 안전성검사를 실시하고, 10시간 이내에 판정해 부적합 농산물은 오전 10시 개장 전에 전량 수거 · 폐기 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검사결과 성적서를 매장에 게시해 도민에게 안전한 먹을거리 정보도 제공했다.
경기도는 대형유통매장 안전성 검사와 더불어 농산물 출하단계부터 철저한 안전성 관리를 통해 이같은 성과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문제열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앞으로도 계절별, 시기별 다소비 품목과 부적합 비율이 높은 품목을 중점 검사해 먹을거리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지역 148개 대형유통매장의 농축수산물 안전성 부적합률은 지난 2009년 0.45%에서 2015년 0.15%로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난 2008년 10월 홈플러스와 킴스클럽, 이마트, 농협, 롯데마트 등과 ‘먹을거리 안전관리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8년 간 이들 매장에서 유통되는 농축수산물 6만3,415건을 검사했는데,지난 8년 간 부적합 농산물 건수는 136건이며, 품목별로는 농산물 106건, 축산물 29건, 수산물 1건 등으로 조사됐다.
올해에는 지난 5월까지 2,450건의 농축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으며, 축산물 1건, 수산물 3건의 부적합 축수산물을 회수, 폐기했다 적발된 부적합 농산물은 전량 폐기됐다.
검사는 다음날 판매될 농축수산물 시료를 야간에 수거해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에서 밤샘 안전성검사를 실시하고, 10시간 이내에 판정해 부적합 농산물은 오전 10시 개장 전에 전량 수거 · 폐기 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검사결과 성적서를 매장에 게시해 도민에게 안전한 먹을거리 정보도 제공했다.
경기도는 대형유통매장 안전성 검사와 더불어 농산물 출하단계부터 철저한 안전성 관리를 통해 이같은 성과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문제열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앞으로도 계절별, 시기별 다소비 품목과 부적합 비율이 높은 품목을 중점 검사해 먹을거리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
-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이종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