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분양권 불법 거래에 대한 단속에 나선 가운데 지난 5월 아파트 분양권 전매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의 분양권 거래는 크게 증가했지만, 집값이 하락한 일부 지방의 분양권 거래는 감소하는 등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5월 기준 지역별 분양권 거래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등기 검인 건수 제외) 건수는 총 1만3천655건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1천124건으로 4월(1천5건)에 비해 12%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의 분양권 전매는 3천227건이 신고돼 전월(2천614가구)보다 23.5%나 급증했다.
화성시의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많은 858건으로 기록되며 4월(685건)에 비해서도 25.3% 증가했다. 김포시(345건), 용인시(145건), 하남시(252건) 등에서도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전매 거래가 감소한 곳이 많았다. 최근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경북지역의 경우 5월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저치인 582건에 그쳤다. 4월(749건)에 비해 22.3%, 1월(1천451건)에 비해 60%가량 감소한 수치다.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진 거제시는 지난 5월 한 달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적은 24건에 그쳤다. 충남(484건), 전남(167건) 등지도 연중 최저치다.
지방이지만 청약시장이 여전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부산(1천124건)과 세종시(550건), 대전(321건) 등은 분양권 거래가 꾸준히 늘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
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5월 기준 지역별 분양권 거래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등기 검인 건수 제외) 건수는 총 1만3천655건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1천124건으로 4월(1천5건)에 비해 12%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의 분양권 전매는 3천227건이 신고돼 전월(2천614가구)보다 23.5%나 급증했다.
화성시의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많은 858건으로 기록되며 4월(685건)에 비해서도 25.3% 증가했다. 김포시(345건), 용인시(145건), 하남시(252건) 등에서도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전매 거래가 감소한 곳이 많았다. 최근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경북지역의 경우 5월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저치인 582건에 그쳤다. 4월(749건)에 비해 22.3%, 1월(1천451건)에 비해 60%가량 감소한 수치다.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진 거제시는 지난 5월 한 달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적은 24건에 그쳤다. 충남(484건), 전남(167건) 등지도 연중 최저치다.
지방이지만 청약시장이 여전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부산(1천124건)과 세종시(550건), 대전(321건) 등은 분양권 거래가 꾸준히 늘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분양권 전매 거래 연중 최대…수도권 급증
-
- 입력 2016-07-06 09:43:26
정부가 최근 분양권 불법 거래에 대한 단속에 나선 가운데 지난 5월 아파트 분양권 전매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의 분양권 거래는 크게 증가했지만, 집값이 하락한 일부 지방의 분양권 거래는 감소하는 등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5월 기준 지역별 분양권 거래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등기 검인 건수 제외) 건수는 총 1만3천655건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1천124건으로 4월(1천5건)에 비해 12%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의 분양권 전매는 3천227건이 신고돼 전월(2천614가구)보다 23.5%나 급증했다.
화성시의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많은 858건으로 기록되며 4월(685건)에 비해서도 25.3% 증가했다. 김포시(345건), 용인시(145건), 하남시(252건) 등에서도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전매 거래가 감소한 곳이 많았다. 최근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경북지역의 경우 5월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저치인 582건에 그쳤다. 4월(749건)에 비해 22.3%, 1월(1천451건)에 비해 60%가량 감소한 수치다.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진 거제시는 지난 5월 한 달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적은 24건에 그쳤다. 충남(484건), 전남(167건) 등지도 연중 최저치다.
지방이지만 청약시장이 여전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부산(1천124건)과 세종시(550건), 대전(321건) 등은 분양권 거래가 꾸준히 늘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
6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집계한 5월 기준 지역별 분양권 거래현황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분양권 전매(등기 검인 건수 제외) 건수는 총 1만3천655건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1천124건으로 4월(1천5건)에 비해 12%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의 분양권 전매는 3천227건이 신고돼 전월(2천614가구)보다 23.5%나 급증했다.
화성시의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많은 858건으로 기록되며 4월(685건)에 비해서도 25.3% 증가했다. 김포시(345건), 용인시(145건), 하남시(252건) 등에서도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전매 거래가 감소한 곳이 많았다. 최근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경북지역의 경우 5월 분양권 거래량이 연중 최저치인 582건에 그쳤다. 4월(749건)에 비해 22.3%, 1월(1천451건)에 비해 60%가량 감소한 수치다.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주택경기가 침체에 빠진 거제시는 지난 5월 한 달 분양권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적은 24건에 그쳤다. 충남(484건), 전남(167건) 등지도 연중 최저치다.
지방이지만 청약시장이 여전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부산(1천124건)과 세종시(550건), 대전(321건) 등은 분양권 거래가 꾸준히 늘고 있어 대조를 이뤘다.
-
-
변기성 기자 byun@kbs.co.kr
변기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