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 해병대가 유사시 북한의 후방 해안으로 침투해 내륙 지역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해병대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경북 포항 해병대 훈련장에서 연대급 '한미 연합 공지(空地)전투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우리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병력 800여 명과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 해병대 500여 명이 참가했다.
무기체계로는 한국군의 K-55 자주포, K-1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UH-1H, UH-60 수송헬기 등 100여대와 미군의 AH-1W 슈퍼코브라 공격헬기, UH-1Y 헬기, M777 155㎜ 견인포 등 50여 대가 투입됐다.
이번 훈련에서 한미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한 다음, 공중과 지상의 통합 화력으로 적 내륙 깊숙이 파고들어가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연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특히 이번에 한미 해병대는 보병, 공병, 헌병 등 병과별로 연합훈련을 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모든 병과를 통합해 보병, 포병, 전차, 상륙장갑차 등이 함께 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실전적인 기술을 연마했다.
또 우리 군이 작전을 주도하도록 했고 한미 해병대 전력 운용의 통합성을 강화하고자 단일한 지휘체계를 갖는 한미 연합 보병중대를 편성했다.
한미 해병대는 지난 3월에도 포항 일대에서 유사시 북한 후방 지역에 침투해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상황을 가정한 최대 규모의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해병대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경북 포항 해병대 훈련장에서 연대급 '한미 연합 공지(空地)전투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우리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병력 800여 명과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 해병대 500여 명이 참가했다.
무기체계로는 한국군의 K-55 자주포, K-1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UH-1H, UH-60 수송헬기 등 100여대와 미군의 AH-1W 슈퍼코브라 공격헬기, UH-1Y 헬기, M777 155㎜ 견인포 등 50여 대가 투입됐다.
이번 훈련에서 한미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한 다음, 공중과 지상의 통합 화력으로 적 내륙 깊숙이 파고들어가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연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특히 이번에 한미 해병대는 보병, 공병, 헌병 등 병과별로 연합훈련을 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모든 병과를 통합해 보병, 포병, 전차, 상륙장갑차 등이 함께 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실전적인 기술을 연마했다.
또 우리 군이 작전을 주도하도록 했고 한미 해병대 전력 운용의 통합성을 강화하고자 단일한 지휘체계를 갖는 한미 연합 보병중대를 편성했다.
한미 해병대는 지난 3월에도 포항 일대에서 유사시 북한 후방 지역에 침투해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상황을 가정한 최대 규모의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해병대 1300여 명 ‘北 핵심시설 타격’ 훈련
-
- 입력 2016-07-06 11:14:51
한미 양국 해병대가 유사시 북한의 후방 해안으로 침투해 내륙 지역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해병대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경북 포항 해병대 훈련장에서 연대급 '한미 연합 공지(空地)전투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우리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병력 800여 명과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 해병대 500여 명이 참가했다.
무기체계로는 한국군의 K-55 자주포, K-1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UH-1H, UH-60 수송헬기 등 100여대와 미군의 AH-1W 슈퍼코브라 공격헬기, UH-1Y 헬기, M777 155㎜ 견인포 등 50여 대가 투입됐다.
이번 훈련에서 한미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한 다음, 공중과 지상의 통합 화력으로 적 내륙 깊숙이 파고들어가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연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특히 이번에 한미 해병대는 보병, 공병, 헌병 등 병과별로 연합훈련을 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모든 병과를 통합해 보병, 포병, 전차, 상륙장갑차 등이 함께 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실전적인 기술을 연마했다.
또 우리 군이 작전을 주도하도록 했고 한미 해병대 전력 운용의 통합성을 강화하고자 단일한 지휘체계를 갖는 한미 연합 보병중대를 편성했다.
한미 해병대는 지난 3월에도 포항 일대에서 유사시 북한 후방 지역에 침투해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상황을 가정한 최대 규모의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해병대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경북 포항 해병대 훈련장에서 연대급 '한미 연합 공지(空地)전투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우리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병력 800여 명과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 해병대 500여 명이 참가했다.
무기체계로는 한국군의 K-55 자주포, K-1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UH-1H, UH-60 수송헬기 등 100여대와 미군의 AH-1W 슈퍼코브라 공격헬기, UH-1Y 헬기, M777 155㎜ 견인포 등 50여 대가 투입됐다.
이번 훈련에서 한미 해병대는 상륙작전을 한 다음, 공중과 지상의 통합 화력으로 적 내륙 깊숙이 파고들어가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연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했다.
특히 이번에 한미 해병대는 보병, 공병, 헌병 등 병과별로 연합훈련을 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모든 병과를 통합해 보병, 포병, 전차, 상륙장갑차 등이 함께 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실전적인 기술을 연마했다.
또 우리 군이 작전을 주도하도록 했고 한미 해병대 전력 운용의 통합성을 강화하고자 단일한 지휘체계를 갖는 한미 연합 보병중대를 편성했다.
한미 해병대는 지난 3월에도 포항 일대에서 유사시 북한 후방 지역에 침투해 핵심시설을 파괴하는 상황을 가정한 최대 규모의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
-
장덕수 기자 joannes@kbs.co.kr
장덕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