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피해가 가장 컸던 경기 안산지역 추모사업의 추진을 지원할 민·관 협의기구인 '4·16세월호 참사 안산시 추모사업 협의회'가 발족했다.
안산시는 6일 시청 회의실에서 4·16가족협의회 대표, 시장, 국무조정실 추모사업지원과장 등 24명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하고 협의회 발족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공원 조성, 추모기념관 건립, 추모비 건립 등 안산지역 추모시설에 관한 피해가족과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시민적 합의안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민·관 협의 기구 필요성은 지난해 9월부터 논의됐지만 위원 구성원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 입장차로 늦어지다 10개월 만에 발족했다.
위원은 시장, 가족협의회 대표, 시 담당 국장 등 당연직 3명과 관계 중앙부처 공무원 1명, 시의원 2명, 피해극복대책협의회 5명, 가족대표 4명, 주민대표 3명, 사회단체 임원 3명, 전문가 3명 등 위촉직 21명으로 구성했다.
협의회 위원장은 제종길 안산시장이, 부위원장은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대표가 맡았다.
협의회는 앞으로 안산지역에 들어설 추모시설 입지, 내용, 규모, 설계, 사업비 등 추모사업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한다.
시민적 합의안이 도출되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사업을 진행 중인 국무조정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전달된 안산지역 합의안은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착수한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 기본용역에 참고 자료로 쓰인다. 용역 결과는 내년 3월 나올 예정이다.
협의회는 월 1회 회의를 열고 사안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탑승객 456명 가운데 304명이 희생됐다.
2년여가 지난 지금도 세월호는 여전히 바닷물 속에 가라앉아 있고, 미수습자 9명(단원고 학생 4명, 교사 2명, 일반인 3명)은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안산시는 6일 시청 회의실에서 4·16가족협의회 대표, 시장, 국무조정실 추모사업지원과장 등 24명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하고 협의회 발족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공원 조성, 추모기념관 건립, 추모비 건립 등 안산지역 추모시설에 관한 피해가족과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시민적 합의안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민·관 협의 기구 필요성은 지난해 9월부터 논의됐지만 위원 구성원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 입장차로 늦어지다 10개월 만에 발족했다.
위원은 시장, 가족협의회 대표, 시 담당 국장 등 당연직 3명과 관계 중앙부처 공무원 1명, 시의원 2명, 피해극복대책협의회 5명, 가족대표 4명, 주민대표 3명, 사회단체 임원 3명, 전문가 3명 등 위촉직 21명으로 구성했다.
협의회 위원장은 제종길 안산시장이, 부위원장은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대표가 맡았다.
협의회는 앞으로 안산지역에 들어설 추모시설 입지, 내용, 규모, 설계, 사업비 등 추모사업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한다.
시민적 합의안이 도출되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사업을 진행 중인 국무조정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전달된 안산지역 합의안은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착수한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 기본용역에 참고 자료로 쓰인다. 용역 결과는 내년 3월 나올 예정이다.
협의회는 월 1회 회의를 열고 사안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탑승객 456명 가운데 304명이 희생됐다.
2년여가 지난 지금도 세월호는 여전히 바닷물 속에 가라앉아 있고, 미수습자 9명(단원고 학생 4명, 교사 2명, 일반인 3명)은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산시 ‘세월호 참사 추모사업’ 첫걸음…협의회 발족
-
- 입력 2016-07-06 11:14:51
세월호 피해가 가장 컸던 경기 안산지역 추모사업의 추진을 지원할 민·관 협의기구인 '4·16세월호 참사 안산시 추모사업 협의회'가 발족했다.
안산시는 6일 시청 회의실에서 4·16가족협의회 대표, 시장, 국무조정실 추모사업지원과장 등 24명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하고 협의회 발족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공원 조성, 추모기념관 건립, 추모비 건립 등 안산지역 추모시설에 관한 피해가족과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시민적 합의안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민·관 협의 기구 필요성은 지난해 9월부터 논의됐지만 위원 구성원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 입장차로 늦어지다 10개월 만에 발족했다.
위원은 시장, 가족협의회 대표, 시 담당 국장 등 당연직 3명과 관계 중앙부처 공무원 1명, 시의원 2명, 피해극복대책협의회 5명, 가족대표 4명, 주민대표 3명, 사회단체 임원 3명, 전문가 3명 등 위촉직 21명으로 구성했다.
협의회 위원장은 제종길 안산시장이, 부위원장은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대표가 맡았다.
협의회는 앞으로 안산지역에 들어설 추모시설 입지, 내용, 규모, 설계, 사업비 등 추모사업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한다.
시민적 합의안이 도출되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사업을 진행 중인 국무조정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전달된 안산지역 합의안은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착수한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 기본용역에 참고 자료로 쓰인다. 용역 결과는 내년 3월 나올 예정이다.
협의회는 월 1회 회의를 열고 사안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탑승객 456명 가운데 304명이 희생됐다.
2년여가 지난 지금도 세월호는 여전히 바닷물 속에 가라앉아 있고, 미수습자 9명(단원고 학생 4명, 교사 2명, 일반인 3명)은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안산시는 6일 시청 회의실에서 4·16가족협의회 대표, 시장, 국무조정실 추모사업지원과장 등 24명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하고 협의회 발족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공원 조성, 추모기념관 건립, 추모비 건립 등 안산지역 추모시설에 관한 피해가족과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시민적 합의안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민·관 협의 기구 필요성은 지난해 9월부터 논의됐지만 위원 구성원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 입장차로 늦어지다 10개월 만에 발족했다.
위원은 시장, 가족협의회 대표, 시 담당 국장 등 당연직 3명과 관계 중앙부처 공무원 1명, 시의원 2명, 피해극복대책협의회 5명, 가족대표 4명, 주민대표 3명, 사회단체 임원 3명, 전문가 3명 등 위촉직 21명으로 구성했다.
협의회 위원장은 제종길 안산시장이, 부위원장은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대표가 맡았다.
협의회는 앞으로 안산지역에 들어설 추모시설 입지, 내용, 규모, 설계, 사업비 등 추모사업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한다.
시민적 합의안이 도출되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사업을 진행 중인 국무조정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전달된 안산지역 합의안은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착수한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 기본용역에 참고 자료로 쓰인다. 용역 결과는 내년 3월 나올 예정이다.
협의회는 월 1회 회의를 열고 사안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탑승객 456명 가운데 304명이 희생됐다.
2년여가 지난 지금도 세월호는 여전히 바닷물 속에 가라앉아 있고, 미수습자 9명(단원고 학생 4명, 교사 2명, 일반인 3명)은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