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산업단지에 여의도 면적의 4분의 1(76㏊, 23만평) 규모에 달하는 스마트팜(smart farm) 단지가 세워진다.
LG CNS는 해외투자사와 함께 3천8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스마트 바이오파크'(Smart Biopark)라는 이름의 스마트팜 단지를 세우겠다는 사업 계획서를 지난 2월 새만금개발청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해 수확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첨단 농장이다.
LG CNS는 전체 부지 가운데 26㏊는 스마트팜 연구개발(R&D)에 쓰고, 나머지 부지에서는 토마토, 파프리카 등을 재배할 계획이다. 여기서 생산된 농산물은 전량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LG CNS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을 반대하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등 설득 작업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시설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LG CNS는 LG전자, LG이노텍, LG화학, LG MMA, LG하우시스 등 계열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스마트팜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LG CNS는 해외투자사와 함께 3천8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스마트 바이오파크'(Smart Biopark)라는 이름의 스마트팜 단지를 세우겠다는 사업 계획서를 지난 2월 새만금개발청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해 수확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첨단 농장이다.
LG CNS는 전체 부지 가운데 26㏊는 스마트팜 연구개발(R&D)에 쓰고, 나머지 부지에서는 토마토, 파프리카 등을 재배할 계획이다. 여기서 생산된 농산물은 전량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LG CNS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을 반대하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등 설득 작업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시설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LG CNS는 LG전자, LG이노텍, LG화학, LG MMA, LG하우시스 등 계열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스마트팜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만금에 3800억 투자” 스마트팜 짓는다
-
- 입력 2016-07-06 16:18:35
새만금 산업단지에 여의도 면적의 4분의 1(76㏊, 23만평) 규모에 달하는 스마트팜(smart farm) 단지가 세워진다.
LG CNS는 해외투자사와 함께 3천8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스마트 바이오파크'(Smart Biopark)라는 이름의 스마트팜 단지를 세우겠다는 사업 계획서를 지난 2월 새만금개발청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해 수확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첨단 농장이다.
LG CNS는 전체 부지 가운데 26㏊는 스마트팜 연구개발(R&D)에 쓰고, 나머지 부지에서는 토마토, 파프리카 등을 재배할 계획이다. 여기서 생산된 농산물은 전량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LG CNS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을 반대하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등 설득 작업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시설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LG CNS는 LG전자, LG이노텍, LG화학, LG MMA, LG하우시스 등 계열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스마트팜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LG CNS는 해외투자사와 함께 3천8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스마트 바이오파크'(Smart Biopark)라는 이름의 스마트팜 단지를 세우겠다는 사업 계획서를 지난 2월 새만금개발청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온도와 습도, 일조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해 수확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첨단 농장이다.
LG CNS는 전체 부지 가운데 26㏊는 스마트팜 연구개발(R&D)에 쓰고, 나머지 부지에서는 토마토, 파프리카 등을 재배할 계획이다. 여기서 생산된 농산물은 전량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LG CNS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을 반대하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등 설득 작업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시설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LG CNS는 LG전자, LG이노텍, LG화학, LG MMA, LG하우시스 등 계열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스마트팜을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변기성 기자 byun@kbs.co.kr
변기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