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이 소행성의 지구 충돌로 한순간에 멸종한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수십만 년에 걸쳐 서서히 멸종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때까지 널리 알려진대로 소행성의 충격이 공룡 멸종에 영향을 끼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자체를 유일한 원인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진은 이 같은 가설의 근거를 담은 논문을 5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남극에 있는 한 섬에서 사라진 공룡 24종 가운데 10종이 6천600만 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기 오래전, 이미 멸종한 사실을 발견했다. 나머지 14종은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을 통해 이런 대멸종은 두 시기에 걸친 기후변화에 의해 서서히 이뤄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도 데칸고원에서 발생한 초대형 화산 분출이 첫 기후변화의 원인이었고 소행성 충돌이 두 번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두 차례의 재난은 재와 먼지를 내뿜어 하늘을 가리면서 지구를 식혔을 수 있지만 대량의 온실가스를 내뿜어 장기적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됐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시에라 피터슨은 "백악기 말 공룡의 집단 멸종은 화산과 운석의 조합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피터슨은 이를 복싱에 빗대 지구가 '원투 펀치'로 타격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데칸고원에서 화산이 폭발한 뒤 수천 년간 유독 가스가 하늘로 뿜어져 나왔고, 이 때문에 바다의 온도가 섭씨 7.8도까지 치솟았다고 설명했다. 초대형 화산 분출이 끝나고 15만 년 정도가 지나 또 한 차례 바다 온도가 섭씨 1.1도 정도 올랐는데 그것은 소행성의 충돌 때문이었다.
피터슨은 "이번에 알아낸 기온 기록은 화산 분출, 운석 충돌, 공룡 멸종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며 "그 상관관계는 기후변화로 요약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을 두고 화산 분출설, 운석 충돌설, 둘의 조합설 등을 따로 얘기해왔다. 최근에는 운석 충돌 뒤에 화산 분출이 일어나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하는 과학자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생태계가 화산 분출로 인한 온난화로 스트레스가 높아졌기 때문에 운석 충돌의 파멸적 영향에 더 취약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진은 이 같은 가설의 근거를 담은 논문을 5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남극에 있는 한 섬에서 사라진 공룡 24종 가운데 10종이 6천600만 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기 오래전, 이미 멸종한 사실을 발견했다. 나머지 14종은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을 통해 이런 대멸종은 두 시기에 걸친 기후변화에 의해 서서히 이뤄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도 데칸고원에서 발생한 초대형 화산 분출이 첫 기후변화의 원인이었고 소행성 충돌이 두 번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두 차례의 재난은 재와 먼지를 내뿜어 하늘을 가리면서 지구를 식혔을 수 있지만 대량의 온실가스를 내뿜어 장기적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됐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시에라 피터슨은 "백악기 말 공룡의 집단 멸종은 화산과 운석의 조합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피터슨은 이를 복싱에 빗대 지구가 '원투 펀치'로 타격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데칸고원에서 화산이 폭발한 뒤 수천 년간 유독 가스가 하늘로 뿜어져 나왔고, 이 때문에 바다의 온도가 섭씨 7.8도까지 치솟았다고 설명했다. 초대형 화산 분출이 끝나고 15만 년 정도가 지나 또 한 차례 바다 온도가 섭씨 1.1도 정도 올랐는데 그것은 소행성의 충돌 때문이었다.
피터슨은 "이번에 알아낸 기온 기록은 화산 분출, 운석 충돌, 공룡 멸종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며 "그 상관관계는 기후변화로 요약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을 두고 화산 분출설, 운석 충돌설, 둘의 조합설 등을 따로 얘기해왔다. 최근에는 운석 충돌 뒤에 화산 분출이 일어나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하는 과학자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생태계가 화산 분출로 인한 온난화로 스트레스가 높아졌기 때문에 운석 충돌의 파멸적 영향에 더 취약했다"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룡 운석 충돌로 한 번에 멸종되지 않아…서서히 멸종”
-
- 입력 2016-07-06 16:18:35
공룡이 소행성의 지구 충돌로 한순간에 멸종한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수십만 년에 걸쳐 서서히 멸종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때까지 널리 알려진대로 소행성의 충격이 공룡 멸종에 영향을 끼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자체를 유일한 원인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진은 이 같은 가설의 근거를 담은 논문을 5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남극에 있는 한 섬에서 사라진 공룡 24종 가운데 10종이 6천600만 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기 오래전, 이미 멸종한 사실을 발견했다. 나머지 14종은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을 통해 이런 대멸종은 두 시기에 걸친 기후변화에 의해 서서히 이뤄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도 데칸고원에서 발생한 초대형 화산 분출이 첫 기후변화의 원인이었고 소행성 충돌이 두 번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두 차례의 재난은 재와 먼지를 내뿜어 하늘을 가리면서 지구를 식혔을 수 있지만 대량의 온실가스를 내뿜어 장기적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됐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시에라 피터슨은 "백악기 말 공룡의 집단 멸종은 화산과 운석의 조합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피터슨은 이를 복싱에 빗대 지구가 '원투 펀치'로 타격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데칸고원에서 화산이 폭발한 뒤 수천 년간 유독 가스가 하늘로 뿜어져 나왔고, 이 때문에 바다의 온도가 섭씨 7.8도까지 치솟았다고 설명했다. 초대형 화산 분출이 끝나고 15만 년 정도가 지나 또 한 차례 바다 온도가 섭씨 1.1도 정도 올랐는데 그것은 소행성의 충돌 때문이었다.
피터슨은 "이번에 알아낸 기온 기록은 화산 분출, 운석 충돌, 공룡 멸종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며 "그 상관관계는 기후변화로 요약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을 두고 화산 분출설, 운석 충돌설, 둘의 조합설 등을 따로 얘기해왔다. 최근에는 운석 충돌 뒤에 화산 분출이 일어나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하는 과학자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생태계가 화산 분출로 인한 온난화로 스트레스가 높아졌기 때문에 운석 충돌의 파멸적 영향에 더 취약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미시간 대학 연구진은 이 같은 가설의 근거를 담은 논문을 5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남극에 있는 한 섬에서 사라진 공룡 24종 가운데 10종이 6천600만 년 전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기 오래전, 이미 멸종한 사실을 발견했다. 나머지 14종은 소행성 충돌의 여파로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을 통해 이런 대멸종은 두 시기에 걸친 기후변화에 의해 서서히 이뤄졌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도 데칸고원에서 발생한 초대형 화산 분출이 첫 기후변화의 원인이었고 소행성 충돌이 두 번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두 차례의 재난은 재와 먼지를 내뿜어 하늘을 가리면서 지구를 식혔을 수 있지만 대량의 온실가스를 내뿜어 장기적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촉진한 것으로 추정됐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시에라 피터슨은 "백악기 말 공룡의 집단 멸종은 화산과 운석의 조합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피터슨은 이를 복싱에 빗대 지구가 '원투 펀치'로 타격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데칸고원에서 화산이 폭발한 뒤 수천 년간 유독 가스가 하늘로 뿜어져 나왔고, 이 때문에 바다의 온도가 섭씨 7.8도까지 치솟았다고 설명했다. 초대형 화산 분출이 끝나고 15만 년 정도가 지나 또 한 차례 바다 온도가 섭씨 1.1도 정도 올랐는데 그것은 소행성의 충돌 때문이었다.
피터슨은 "이번에 알아낸 기온 기록은 화산 분출, 운석 충돌, 공룡 멸종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며 "그 상관관계는 기후변화로 요약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을 두고 화산 분출설, 운석 충돌설, 둘의 조합설 등을 따로 얘기해왔다. 최근에는 운석 충돌 뒤에 화산 분출이 일어나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하는 과학자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진은 이번 논문에서 "생태계가 화산 분출로 인한 온난화로 스트레스가 높아졌기 때문에 운석 충돌의 파멸적 영향에 더 취약했다"고 설명했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