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천루 즐비’ 부산 해운대 지진 공포
입력 2016.07.06 (23:05)
수정 2016.07.07 (0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7,8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밀집한 부산 해운대 지역의 주민들도 공포에 떨었습니다.
건물 대부분이 내진 설계돼 있다고 하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는 없었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고층 빌딩이 즐비한 부산의 해안가.
울산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CCTV에 미세한 진동이 포착됩니다.
같은 시각, 놀란 주민들의 신고도 쇄도하기 시작합니다.
<녹취> 119신고 녹음(음성변조) : "(내려가면 안 돼요? 엘리베이터로?) 지금 나가지 마십시오."
해운대 지역 주민들은 초고층빌딩에 사는 사람이 많은 데다 바다와 인접해 지진해일 공포까지 더했습니다.
<인터뷰> 김향란(부산시 해운대구) : "바로 앞에 바다이기 때문에 진짜 가까워서 이러나 싶어서 지하로 갈까, 주차장 지하로 갈까…."
해운대 고층건물들은 규모 7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돼 있습니다.
그러나 가스배관과 전기설비, 외벽 유리창 등의 '비구조제'에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지진이 나면 가스폭발과 화재 위험이 높고 정전이 될 경우 건물 밖으로 대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오상훈(부산대 건설융합학과 교수) : "가스배관이 만약에 잘못되면(파손되면) 바로 화재의 위험성까지 있을 수 있고, 특히 초고층 건물에서는 인명피해가 커질 수가 있다는 거죠."
이런 비구조제에 대한 내진 설계는 지난 5월부터야 의무화됐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7,8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밀집한 부산 해운대 지역의 주민들도 공포에 떨었습니다.
건물 대부분이 내진 설계돼 있다고 하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는 없었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고층 빌딩이 즐비한 부산의 해안가.
울산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CCTV에 미세한 진동이 포착됩니다.
같은 시각, 놀란 주민들의 신고도 쇄도하기 시작합니다.
<녹취> 119신고 녹음(음성변조) : "(내려가면 안 돼요? 엘리베이터로?) 지금 나가지 마십시오."
해운대 지역 주민들은 초고층빌딩에 사는 사람이 많은 데다 바다와 인접해 지진해일 공포까지 더했습니다.
<인터뷰> 김향란(부산시 해운대구) : "바로 앞에 바다이기 때문에 진짜 가까워서 이러나 싶어서 지하로 갈까, 주차장 지하로 갈까…."
해운대 고층건물들은 규모 7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돼 있습니다.
그러나 가스배관과 전기설비, 외벽 유리창 등의 '비구조제'에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지진이 나면 가스폭발과 화재 위험이 높고 정전이 될 경우 건물 밖으로 대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오상훈(부산대 건설융합학과 교수) : "가스배관이 만약에 잘못되면(파손되면) 바로 화재의 위험성까지 있을 수 있고, 특히 초고층 건물에서는 인명피해가 커질 수가 있다는 거죠."
이런 비구조제에 대한 내진 설계는 지난 5월부터야 의무화됐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천루 즐비’ 부산 해운대 지진 공포
-
- 입력 2016-07-06 23:08:52
- 수정2016-07-07 00:46:57

<앵커 멘트>
7,8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밀집한 부산 해운대 지역의 주민들도 공포에 떨었습니다.
건물 대부분이 내진 설계돼 있다고 하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는 없었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고층 빌딩이 즐비한 부산의 해안가.
울산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CCTV에 미세한 진동이 포착됩니다.
같은 시각, 놀란 주민들의 신고도 쇄도하기 시작합니다.
<녹취> 119신고 녹음(음성변조) : "(내려가면 안 돼요? 엘리베이터로?) 지금 나가지 마십시오."
해운대 지역 주민들은 초고층빌딩에 사는 사람이 많은 데다 바다와 인접해 지진해일 공포까지 더했습니다.
<인터뷰> 김향란(부산시 해운대구) : "바로 앞에 바다이기 때문에 진짜 가까워서 이러나 싶어서 지하로 갈까, 주차장 지하로 갈까…."
해운대 고층건물들은 규모 7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돼 있습니다.
그러나 가스배관과 전기설비, 외벽 유리창 등의 '비구조제'에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지진이 나면 가스폭발과 화재 위험이 높고 정전이 될 경우 건물 밖으로 대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오상훈(부산대 건설융합학과 교수) : "가스배관이 만약에 잘못되면(파손되면) 바로 화재의 위험성까지 있을 수 있고, 특히 초고층 건물에서는 인명피해가 커질 수가 있다는 거죠."
이런 비구조제에 대한 내진 설계는 지난 5월부터야 의무화됐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7,8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밀집한 부산 해운대 지역의 주민들도 공포에 떨었습니다.
건물 대부분이 내진 설계돼 있다고 하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는 없었습니다.
이준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고층 빌딩이 즐비한 부산의 해안가.
울산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CCTV에 미세한 진동이 포착됩니다.
같은 시각, 놀란 주민들의 신고도 쇄도하기 시작합니다.
<녹취> 119신고 녹음(음성변조) : "(내려가면 안 돼요? 엘리베이터로?) 지금 나가지 마십시오."
해운대 지역 주민들은 초고층빌딩에 사는 사람이 많은 데다 바다와 인접해 지진해일 공포까지 더했습니다.
<인터뷰> 김향란(부산시 해운대구) : "바로 앞에 바다이기 때문에 진짜 가까워서 이러나 싶어서 지하로 갈까, 주차장 지하로 갈까…."
해운대 고층건물들은 규모 7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돼 있습니다.
그러나 가스배관과 전기설비, 외벽 유리창 등의 '비구조제'에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지진이 나면 가스폭발과 화재 위험이 높고 정전이 될 경우 건물 밖으로 대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오상훈(부산대 건설융합학과 교수) : "가스배관이 만약에 잘못되면(파손되면) 바로 화재의 위험성까지 있을 수 있고, 특히 초고층 건물에서는 인명피해가 커질 수가 있다는 거죠."
이런 비구조제에 대한 내진 설계는 지난 5월부터야 의무화됐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
이준석 기자 alleylee@kbs.co.kr
이준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