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없는 해수욕장…안전 관리 ‘빨간불’
입력 2016.07.13 (21:29)
수정 2016.07.14 (0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경이 맡아오던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책임이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물놀이 안전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안전 요원이 준 데다 전문성도 떨어져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제대로 될 지 걱정들이 큽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밀려드는 파도에 위태로운 순간은 이어지고, 수상 안전 요원들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곳은 넘쳐납니다.
하지만, 수도권의 이 해수욕장은 개장 직전에야 20명의 요원을 겨우 채웠습니다.
<녹취> 자치단체 관계자(음성변조) : "홈페이지 다 뿌리고 관련된 주민 센터에 홍보도 다 했는데 이게 5월부터 해가지고 했는데 이게 안 되더라고요..."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업무가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전국 360여 해수욕장이 일제히 안전요원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력을 구하지 못한 해수욕장 13곳은 아예 문을 열지도 못했습니다.
해수욕장마다 안전선을 뜻하는 이 같은 부표가 있는데요, 해수욕장 관리법이 바뀌면서 지난해부터 이 안쪽은 지자체가 바깥쪽은 해경이 맡아서 안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전국 해수욕장에서 숨진 피서객은 34명, 물놀이 사고가 났을 때 안전 요원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조기에 시행하기 어려워 생존율은 절반으로 떨어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 사고가 났을 때 전문성이 부족한 안전 요원들이 제대로 대처할 수 있느냐입니다.
<녹취> 해수욕장 관리 담당(음성변조) : "야간에는 민간구조사 1명 저희 직원 한 명 그렇죠. 그(해경 관리)때는 4명이 한 걸로 알고 있어요."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자치단체는 해수욕장 안전 관리를 다시 해경이 맡아달라고 건의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해경이 맡아오던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책임이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물놀이 안전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안전 요원이 준 데다 전문성도 떨어져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제대로 될 지 걱정들이 큽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밀려드는 파도에 위태로운 순간은 이어지고, 수상 안전 요원들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곳은 넘쳐납니다.
하지만, 수도권의 이 해수욕장은 개장 직전에야 20명의 요원을 겨우 채웠습니다.
<녹취> 자치단체 관계자(음성변조) : "홈페이지 다 뿌리고 관련된 주민 센터에 홍보도 다 했는데 이게 5월부터 해가지고 했는데 이게 안 되더라고요..."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업무가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전국 360여 해수욕장이 일제히 안전요원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력을 구하지 못한 해수욕장 13곳은 아예 문을 열지도 못했습니다.
해수욕장마다 안전선을 뜻하는 이 같은 부표가 있는데요, 해수욕장 관리법이 바뀌면서 지난해부터 이 안쪽은 지자체가 바깥쪽은 해경이 맡아서 안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전국 해수욕장에서 숨진 피서객은 34명, 물놀이 사고가 났을 때 안전 요원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조기에 시행하기 어려워 생존율은 절반으로 떨어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 사고가 났을 때 전문성이 부족한 안전 요원들이 제대로 대처할 수 있느냐입니다.
<녹취> 해수욕장 관리 담당(음성변조) : "야간에는 민간구조사 1명 저희 직원 한 명 그렇죠. 그(해경 관리)때는 4명이 한 걸로 알고 있어요."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자치단체는 해수욕장 안전 관리를 다시 해경이 맡아달라고 건의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경 없는 해수욕장…안전 관리 ‘빨간불’
-
- 입력 2016-07-13 21:38:00
- 수정2016-07-14 09:55:28
<앵커 멘트>
해경이 맡아오던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책임이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물놀이 안전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안전 요원이 준 데다 전문성도 떨어져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가 제대로 될 지 걱정들이 큽니다.
임명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밀려드는 파도에 위태로운 순간은 이어지고, 수상 안전 요원들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곳은 넘쳐납니다.
하지만, 수도권의 이 해수욕장은 개장 직전에야 20명의 요원을 겨우 채웠습니다.
<녹취> 자치단체 관계자(음성변조) : "홈페이지 다 뿌리고 관련된 주민 센터에 홍보도 다 했는데 이게 5월부터 해가지고 했는데 이게 안 되더라고요..."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업무가 자치단체로 넘어가면서, 전국 360여 해수욕장이 일제히 안전요원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인력을 구하지 못한 해수욕장 13곳은 아예 문을 열지도 못했습니다.
해수욕장마다 안전선을 뜻하는 이 같은 부표가 있는데요, 해수욕장 관리법이 바뀌면서 지난해부터 이 안쪽은 지자체가 바깥쪽은 해경이 맡아서 안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전국 해수욕장에서 숨진 피서객은 34명, 물놀이 사고가 났을 때 안전 요원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조기에 시행하기 어려워 생존율은 절반으로 떨어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 사고가 났을 때 전문성이 부족한 안전 요원들이 제대로 대처할 수 있느냐입니다.
<녹취> 해수욕장 관리 담당(음성변조) : "야간에는 민간구조사 1명 저희 직원 한 명 그렇죠. 그(해경 관리)때는 4명이 한 걸로 알고 있어요."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자치단체는 해수욕장 안전 관리를 다시 해경이 맡아달라고 건의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