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어린이집이 서울지역에 편중돼 있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국공립어린이집은 전국에 2천629곳이 있는데, 이 중에서 922곳(35.1%)이 서울에 몰려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3곳 중 1곳꼴로 서울에 있는 것이다.
이런 서울집중 현상은 2014년보다 더 심해진 것이다. 2014년에는 전국의 국공립어린이집 2천489곳 중에서 33.9%인 844곳이 서울에 있었다. 2015년에 국공립어린이집 150곳을 확충하면서 절반이 넘는 76곳을 서울에 설치했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 영유아 보육료를 지원받는 전체 아동 중 서울지역 아동이 16.2%에 그치는 점에 비춰볼 때, 서울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
그렇다 보니, 서울 이외 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은 아동수에 견줘 많이 부족하다. 2015년 지역별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보면, 대구 1.7%, 광주 1.2%, 대전 1.1%, 충남 2.7%, 전북 2.1% 등이다.
국회예산정책처 김성수 예산분석관은 "국공립어린이집 서울편중 현상을 해소하려면 재정여건이 열악하지만, 국공립어린이집 수요가 많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14%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해외의 경우 스웨덴 82.2%, 프랑스 66.0%, 일본 41.3% 등이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국공립어린이집은 전국에 2천629곳이 있는데, 이 중에서 922곳(35.1%)이 서울에 몰려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3곳 중 1곳꼴로 서울에 있는 것이다.
이런 서울집중 현상은 2014년보다 더 심해진 것이다. 2014년에는 전국의 국공립어린이집 2천489곳 중에서 33.9%인 844곳이 서울에 있었다. 2015년에 국공립어린이집 150곳을 확충하면서 절반이 넘는 76곳을 서울에 설치했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 영유아 보육료를 지원받는 전체 아동 중 서울지역 아동이 16.2%에 그치는 점에 비춰볼 때, 서울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
그렇다 보니, 서울 이외 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은 아동수에 견줘 많이 부족하다. 2015년 지역별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보면, 대구 1.7%, 광주 1.2%, 대전 1.1%, 충남 2.7%, 전북 2.1% 등이다.
국회예산정책처 김성수 예산분석관은 "국공립어린이집 서울편중 현상을 해소하려면 재정여건이 열악하지만, 국공립어린이집 수요가 많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14%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해외의 경우 스웨덴 82.2%, 프랑스 66.0%, 일본 41.3% 등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족한 국공립어린이집 서울에 편중…3곳 중 1곳
-
- 입력 2016-07-15 09:01:27
학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어린이집이 서울지역에 편중돼 있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국공립어린이집은 전국에 2천629곳이 있는데, 이 중에서 922곳(35.1%)이 서울에 몰려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3곳 중 1곳꼴로 서울에 있는 것이다.
이런 서울집중 현상은 2014년보다 더 심해진 것이다. 2014년에는 전국의 국공립어린이집 2천489곳 중에서 33.9%인 844곳이 서울에 있었다. 2015년에 국공립어린이집 150곳을 확충하면서 절반이 넘는 76곳을 서울에 설치했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 영유아 보육료를 지원받는 전체 아동 중 서울지역 아동이 16.2%에 그치는 점에 비춰볼 때, 서울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
그렇다 보니, 서울 이외 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은 아동수에 견줘 많이 부족하다. 2015년 지역별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보면, 대구 1.7%, 광주 1.2%, 대전 1.1%, 충남 2.7%, 전북 2.1% 등이다.
국회예산정책처 김성수 예산분석관은 "국공립어린이집 서울편중 현상을 해소하려면 재정여건이 열악하지만, 국공립어린이집 수요가 많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14%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해외의 경우 스웨덴 82.2%, 프랑스 66.0%, 일본 41.3% 등이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국공립어린이집은 전국에 2천629곳이 있는데, 이 중에서 922곳(35.1%)이 서울에 몰려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3곳 중 1곳꼴로 서울에 있는 것이다.
이런 서울집중 현상은 2014년보다 더 심해진 것이다. 2014년에는 전국의 국공립어린이집 2천489곳 중에서 33.9%인 844곳이 서울에 있었다. 2015년에 국공립어린이집 150곳을 확충하면서 절반이 넘는 76곳을 서울에 설치했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 영유아 보육료를 지원받는 전체 아동 중 서울지역 아동이 16.2%에 그치는 점에 비춰볼 때, 서울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이 다른 지역보다 많다.
그렇다 보니, 서울 이외 지역의 국공립어린이집은 아동수에 견줘 많이 부족하다. 2015년 지역별 국공립어린이집 비율을 보면, 대구 1.7%, 광주 1.2%, 대전 1.1%, 충남 2.7%, 전북 2.1% 등이다.
국회예산정책처 김성수 예산분석관은 "국공립어린이집 서울편중 현상을 해소하려면 재정여건이 열악하지만, 국공립어린이집 수요가 많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14%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해외의 경우 스웨덴 82.2%, 프랑스 66.0%, 일본 41.3% 등이다.
-
-
임종빈 기자 chef@kbs.co.kr
임종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