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만 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멸균 처리도 하지 않고 사료로 만들어 수년간 양계농장에 공급한 업체 5곳이 경찰에 적발됐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임 모 씨(54)등 음식물 재활용처리업체 대표 2명과 강 모 씨(53)등 농장주 3명을 구속하고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지자체 공무원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적발된 업체들은 수도권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탁받아 멸균 처리 없이 파쇄작업만 한 뒤 경기 양주·포천과 강원 철원 등의 양계농장 4곳에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료로 공급도니 폐기물에는 기준치 3∼4배의 카드뮴 중금속과 식중독균, 대장균, 이질균 등 유해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폐기물은 가축 분뇨나 섬유판 톱밥과 혼합해 인근 농지에 퇴비인 것처럼 불법매립했고 음식물 폐수와 분뇨도 인근 하천에 무단 방류하는 등 2014년 1월부터 3년 동안 음식쓰레기 20여 만 톤이 불법 처리됐다.
이 업체들이 3년간 음식물폐기물 처리 위탁비용으로 지자체로부터 받은 돈은 200억 원 규모에 달했다.
경찰은 이들 업체가 정상 처리절차를 모두 지킬 경우 처리비용이 t당 13만 원가량 들자, 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관할 지자체 공무원들은 허위문서를 작성해 문제점을 감추려 하거나 경찰로부터 불법 행위 사실을 통보받고도 과태료 처분만 한 사실도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음식물 폐기물을 사료로 먹은 폐 닭과 폐 닭이 생산한 계란 등의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공무원들이 업체로부터 대가를 받았는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임 모 씨(54)등 음식물 재활용처리업체 대표 2명과 강 모 씨(53)등 농장주 3명을 구속하고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지자체 공무원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적발된 업체들은 수도권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탁받아 멸균 처리 없이 파쇄작업만 한 뒤 경기 양주·포천과 강원 철원 등의 양계농장 4곳에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료로 공급도니 폐기물에는 기준치 3∼4배의 카드뮴 중금속과 식중독균, 대장균, 이질균 등 유해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폐기물은 가축 분뇨나 섬유판 톱밥과 혼합해 인근 농지에 퇴비인 것처럼 불법매립했고 음식물 폐수와 분뇨도 인근 하천에 무단 방류하는 등 2014년 1월부터 3년 동안 음식쓰레기 20여 만 톤이 불법 처리됐다.
이 업체들이 3년간 음식물폐기물 처리 위탁비용으로 지자체로부터 받은 돈은 200억 원 규모에 달했다.
경찰은 이들 업체가 정상 처리절차를 모두 지킬 경우 처리비용이 t당 13만 원가량 들자, 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관할 지자체 공무원들은 허위문서를 작성해 문제점을 감추려 하거나 경찰로부터 불법 행위 사실을 통보받고도 과태료 처분만 한 사실도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음식물 폐기물을 사료로 먹은 폐 닭과 폐 닭이 생산한 계란 등의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공무원들이 업체로부터 대가를 받았는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금속·균 득실 닭 사료’ 음식 쓰레기로 사료 만든 업체 적발
-
- 입력 2016-07-15 11:05:42
수십만 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멸균 처리도 하지 않고 사료로 만들어 수년간 양계농장에 공급한 업체 5곳이 경찰에 적발됐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임 모 씨(54)등 음식물 재활용처리업체 대표 2명과 강 모 씨(53)등 농장주 3명을 구속하고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지자체 공무원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적발된 업체들은 수도권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탁받아 멸균 처리 없이 파쇄작업만 한 뒤 경기 양주·포천과 강원 철원 등의 양계농장 4곳에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료로 공급도니 폐기물에는 기준치 3∼4배의 카드뮴 중금속과 식중독균, 대장균, 이질균 등 유해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폐기물은 가축 분뇨나 섬유판 톱밥과 혼합해 인근 농지에 퇴비인 것처럼 불법매립했고 음식물 폐수와 분뇨도 인근 하천에 무단 방류하는 등 2014년 1월부터 3년 동안 음식쓰레기 20여 만 톤이 불법 처리됐다.
이 업체들이 3년간 음식물폐기물 처리 위탁비용으로 지자체로부터 받은 돈은 200억 원 규모에 달했다.
경찰은 이들 업체가 정상 처리절차를 모두 지킬 경우 처리비용이 t당 13만 원가량 들자, 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관할 지자체 공무원들은 허위문서를 작성해 문제점을 감추려 하거나 경찰로부터 불법 행위 사실을 통보받고도 과태료 처분만 한 사실도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음식물 폐기물을 사료로 먹은 폐 닭과 폐 닭이 생산한 계란 등의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공무원들이 업체로부터 대가를 받았는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폐기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임 모 씨(54)등 음식물 재활용처리업체 대표 2명과 강 모 씨(53)등 농장주 3명을 구속하고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지자체 공무원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적발된 업체들은 수도권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탁받아 멸균 처리 없이 파쇄작업만 한 뒤 경기 양주·포천과 강원 철원 등의 양계농장 4곳에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사료로 공급도니 폐기물에는 기준치 3∼4배의 카드뮴 중금속과 식중독균, 대장균, 이질균 등 유해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폐기물은 가축 분뇨나 섬유판 톱밥과 혼합해 인근 농지에 퇴비인 것처럼 불법매립했고 음식물 폐수와 분뇨도 인근 하천에 무단 방류하는 등 2014년 1월부터 3년 동안 음식쓰레기 20여 만 톤이 불법 처리됐다.
이 업체들이 3년간 음식물폐기물 처리 위탁비용으로 지자체로부터 받은 돈은 200억 원 규모에 달했다.
경찰은 이들 업체가 정상 처리절차를 모두 지킬 경우 처리비용이 t당 13만 원가량 들자, 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관할 지자체 공무원들은 허위문서를 작성해 문제점을 감추려 하거나 경찰로부터 불법 행위 사실을 통보받고도 과태료 처분만 한 사실도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음식물 폐기물을 사료로 먹은 폐 닭과 폐 닭이 생산한 계란 등의 유통경로를 추적하고 공무원들이 업체로부터 대가를 받았는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
김용덕 기자 kospirit@kbs.co.kr
김용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