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방송을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145개 방송사들 가운데 97.2%인 141개사가 편성 의무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늘(15일) 장애인방송 의무제공 사업자인 145개 방송사들의 2015년도 장애인방송 제공실적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결과, 장애인방송 편성의무 기준을 이행하지 못한 방송사는 지역 지상파 2곳,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일반PP 각각 1곳 등 모두 4곳이다.
방통위는 이들 편성목표 미달성 사업자에 대해서는 행정지도를 하고 평가 결과를 2015년도 방송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 장애인방송 의무제도 위반사업자에 대한 제재방안 등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방송사들에 대해 자막이나 화면해설, 수화통역 등 장애인방송을 일정 비율 이상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매년 전년도 이행 실적을 평가해 공개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늘(15일) 장애인방송 의무제공 사업자인 145개 방송사들의 2015년도 장애인방송 제공실적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결과, 장애인방송 편성의무 기준을 이행하지 못한 방송사는 지역 지상파 2곳,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일반PP 각각 1곳 등 모두 4곳이다.
방통위는 이들 편성목표 미달성 사업자에 대해서는 행정지도를 하고 평가 결과를 2015년도 방송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 장애인방송 의무제도 위반사업자에 대한 제재방안 등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방송사들에 대해 자막이나 화면해설, 수화통역 등 장애인방송을 일정 비율 이상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매년 전년도 이행 실적을 평가해 공개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송사 97.2% 장애인방송 편성 의무 목표 달성
-
- 입력 2016-07-15 11:40:36
장애인방송을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145개 방송사들 가운데 97.2%인 141개사가 편성 의무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늘(15일) 장애인방송 의무제공 사업자인 145개 방송사들의 2015년도 장애인방송 제공실적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결과, 장애인방송 편성의무 기준을 이행하지 못한 방송사는 지역 지상파 2곳,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일반PP 각각 1곳 등 모두 4곳이다.
방통위는 이들 편성목표 미달성 사업자에 대해서는 행정지도를 하고 평가 결과를 2015년도 방송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 장애인방송 의무제도 위반사업자에 대한 제재방안 등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방송사들에 대해 자막이나 화면해설, 수화통역 등 장애인방송을 일정 비율 이상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매년 전년도 이행 실적을 평가해 공개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오늘(15일) 장애인방송 의무제공 사업자인 145개 방송사들의 2015년도 장애인방송 제공실적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 결과, 장애인방송 편성의무 기준을 이행하지 못한 방송사는 지역 지상파 2곳,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일반PP 각각 1곳 등 모두 4곳이다.
방통위는 이들 편성목표 미달성 사업자에 대해서는 행정지도를 하고 평가 결과를 2015년도 방송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 장애인방송 의무제도 위반사업자에 대한 제재방안 등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방송사들에 대해 자막이나 화면해설, 수화통역 등 장애인방송을 일정 비율 이상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매년 전년도 이행 실적을 평가해 공개하고 있다.
-
-
계현우 기자 kye@kbs.co.kr
계현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