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지진·누수 붕괴’에 취약…5년 동안 방치
입력 2016.07.15 (21:33)
수정 2016.07.17 (11: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앞서 전해드렸듯 밤새 많은 비가 예고돼 있는데요.
상당수 댐에 비상방류 설비가 없을 뿐더러 댐에 누수현상이 생기면 붕괴위험까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런 문제는 5년 전부터 방치돼있었습니다.
홍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잦은 비로, 저수율 100% 상태인 울산 대암댐입니다.
또 큰 비가 오면 물을 급히 빼야 하는 상황인데 비상 방류 설비가 없어서 붕괴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댐 관계자 : "옛날(1969년)에 지어졌던 댐이고... (개선을) 뒤로 좀 미뤄놨던 거죠."
경남 남강댐은 흘러드는 물의 양은 소양강댐과 비슷한데, 저수용량은 소양강댐 1/10에 그쳐 역시 붕괴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최근 지진이 났던 울산 인근 선암댐의 취수탑은 지진에 안전한지 평가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설계도면이 없어서입니다.
<인터뷰> 이홍석(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 : "손으로 도면을 작성하다 보니까 아무래도 콘크리트 강도나 철근량에 대한 도면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현재 국토부가 관리중인 14개 용수댐 가운데 비상방류설비가 있는 곳은 단 한곳 지진에 취약한 댐도 안계댐 등 8곳입니다.
댐이 붕괴될 경우를 가정해 봤습니다.
가둬뒀던 물이 쓰나미처럼 쏟아져 500미터 가량 떨어진 인근 마을을 덮치는 데 2분 30초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김형수(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교수) : "댐 하류 지역이 도시 지역이 많고 집중 호우 발생이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비상시 고위험도에 속하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 지적이 있었는데도 5 년 동안 방치하는 사이 위험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앞서 전해드렸듯 밤새 많은 비가 예고돼 있는데요.
상당수 댐에 비상방류 설비가 없을 뿐더러 댐에 누수현상이 생기면 붕괴위험까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런 문제는 5년 전부터 방치돼있었습니다.
홍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잦은 비로, 저수율 100% 상태인 울산 대암댐입니다.
또 큰 비가 오면 물을 급히 빼야 하는 상황인데 비상 방류 설비가 없어서 붕괴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댐 관계자 : "옛날(1969년)에 지어졌던 댐이고... (개선을) 뒤로 좀 미뤄놨던 거죠."
경남 남강댐은 흘러드는 물의 양은 소양강댐과 비슷한데, 저수용량은 소양강댐 1/10에 그쳐 역시 붕괴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최근 지진이 났던 울산 인근 선암댐의 취수탑은 지진에 안전한지 평가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설계도면이 없어서입니다.
<인터뷰> 이홍석(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 : "손으로 도면을 작성하다 보니까 아무래도 콘크리트 강도나 철근량에 대한 도면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현재 국토부가 관리중인 14개 용수댐 가운데 비상방류설비가 있는 곳은 단 한곳 지진에 취약한 댐도 안계댐 등 8곳입니다.
댐이 붕괴될 경우를 가정해 봤습니다.
가둬뒀던 물이 쓰나미처럼 쏟아져 500미터 가량 떨어진 인근 마을을 덮치는 데 2분 30초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김형수(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교수) : "댐 하류 지역이 도시 지역이 많고 집중 호우 발생이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비상시 고위험도에 속하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 지적이 있었는데도 5 년 동안 방치하는 사이 위험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댐 ‘지진·누수 붕괴’에 취약…5년 동안 방치
-
- 입력 2016-07-15 21:50:08
- 수정2016-07-17 11:07:46

<앵커 멘트>
앞서 전해드렸듯 밤새 많은 비가 예고돼 있는데요.
상당수 댐에 비상방류 설비가 없을 뿐더러 댐에 누수현상이 생기면 붕괴위험까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런 문제는 5년 전부터 방치돼있었습니다.
홍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잦은 비로, 저수율 100% 상태인 울산 대암댐입니다.
또 큰 비가 오면 물을 급히 빼야 하는 상황인데 비상 방류 설비가 없어서 붕괴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인터뷰> 댐 관계자 : "옛날(1969년)에 지어졌던 댐이고... (개선을) 뒤로 좀 미뤄놨던 거죠."
경남 남강댐은 흘러드는 물의 양은 소양강댐과 비슷한데, 저수용량은 소양강댐 1/10에 그쳐 역시 붕괴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최근 지진이 났던 울산 인근 선암댐의 취수탑은 지진에 안전한지 평가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설계도면이 없어서입니다.
<인터뷰> 이홍석(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 : "손으로 도면을 작성하다 보니까 아무래도 콘크리트 강도나 철근량에 대한 도면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현재 국토부가 관리중인 14개 용수댐 가운데 비상방류설비가 있는 곳은 단 한곳 지진에 취약한 댐도 안계댐 등 8곳입니다.
댐이 붕괴될 경우를 가정해 봤습니다.
가둬뒀던 물이 쓰나미처럼 쏟아져 500미터 가량 떨어진 인근 마을을 덮치는 데 2분 30초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김형수(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교수) : "댐 하류 지역이 도시 지역이 많고 집중 호우 발생이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비상시 고위험도에 속하고 있습니다."
2011년부터 지적이 있었는데도 5 년 동안 방치하는 사이 위험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희정입니다.
-
-
홍희정 기자 hjhong@kbs.co.kr
홍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