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인천상륙작전 ‘날조’…역사왜곡 심화
입력 2016.07.27 (23:05)
수정 2016.07.28 (0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7월 27일은 정전협정 체결일인데, 북한은 6.25 전쟁에서 승리한 날이라며 전승절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억지 주장의 구색을 맞추려고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유례없는 대승을 거뒀다고 거짓 선전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북한이 왜 이러는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북한 기록 영화입니다.
미군 전투기들이 폭탄 수 천발을 쏟아부어도 월미도 방위대가 끄떡없이 버텼다고 선전합니다.
심지어 단 4문의 해안포로 연합군 함정 13척을 격침시키며 사흘을 버텼다고 주장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적들의 상륙작전은 벌써 3일 동안이나 저지되고 있었습니다".
과연 그럴까?
실제 북한의 월미도 해안포 중대는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궤멸당했습니다.
연합군은 단 한 명의 사상자도 함선 피해도 없었습니다.
사흘 동안 함포사격으로 북한군을 초토화시킨 연합군은 15일 만조에 전격 상륙하고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조차 날조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맥아더 5성 장군은 1개 군단을 가지고 1개 중대 앞에 패전하는 장군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이런 적반하장은 김정은이 조작된 김일성의 업적에 편승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고영환(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 "조국 해방 전쟁(6.25)을 승리로 이끈 김일성 주석(을) 각인시킴으로써 자기 이미지가 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김정은의 가장 큰 목적이구요."
패한 침략전쟁을 승전로 둔갑시켜야 체제 유지가 가능한 북한의 왜곡 선전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오늘 7월 27일은 정전협정 체결일인데, 북한은 6.25 전쟁에서 승리한 날이라며 전승절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억지 주장의 구색을 맞추려고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유례없는 대승을 거뒀다고 거짓 선전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북한이 왜 이러는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북한 기록 영화입니다.
미군 전투기들이 폭탄 수 천발을 쏟아부어도 월미도 방위대가 끄떡없이 버텼다고 선전합니다.
심지어 단 4문의 해안포로 연합군 함정 13척을 격침시키며 사흘을 버텼다고 주장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적들의 상륙작전은 벌써 3일 동안이나 저지되고 있었습니다".
과연 그럴까?
실제 북한의 월미도 해안포 중대는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궤멸당했습니다.
연합군은 단 한 명의 사상자도 함선 피해도 없었습니다.
사흘 동안 함포사격으로 북한군을 초토화시킨 연합군은 15일 만조에 전격 상륙하고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조차 날조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맥아더 5성 장군은 1개 군단을 가지고 1개 중대 앞에 패전하는 장군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이런 적반하장은 김정은이 조작된 김일성의 업적에 편승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고영환(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 "조국 해방 전쟁(6.25)을 승리로 이끈 김일성 주석(을) 각인시킴으로써 자기 이미지가 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김정은의 가장 큰 목적이구요."
패한 침략전쟁을 승전로 둔갑시켜야 체제 유지가 가능한 북한의 왜곡 선전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인천상륙작전 ‘날조’…역사왜곡 심화
-
- 입력 2016-07-27 23:28:20
- 수정2016-07-28 02:05:45

<앵커 멘트>
오늘 7월 27일은 정전협정 체결일인데, 북한은 6.25 전쟁에서 승리한 날이라며 전승절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억지 주장의 구색을 맞추려고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유례없는 대승을 거뒀다고 거짓 선전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북한이 왜 이러는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북한 기록 영화입니다.
미군 전투기들이 폭탄 수 천발을 쏟아부어도 월미도 방위대가 끄떡없이 버텼다고 선전합니다.
심지어 단 4문의 해안포로 연합군 함정 13척을 격침시키며 사흘을 버텼다고 주장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적들의 상륙작전은 벌써 3일 동안이나 저지되고 있었습니다".
과연 그럴까?
실제 북한의 월미도 해안포 중대는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궤멸당했습니다.
연합군은 단 한 명의 사상자도 함선 피해도 없었습니다.
사흘 동안 함포사격으로 북한군을 초토화시킨 연합군은 15일 만조에 전격 상륙하고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조차 날조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맥아더 5성 장군은 1개 군단을 가지고 1개 중대 앞에 패전하는 장군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이런 적반하장은 김정은이 조작된 김일성의 업적에 편승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고영환(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 "조국 해방 전쟁(6.25)을 승리로 이끈 김일성 주석(을) 각인시킴으로써 자기 이미지가 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김정은의 가장 큰 목적이구요."
패한 침략전쟁을 승전로 둔갑시켜야 체제 유지가 가능한 북한의 왜곡 선전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오늘 7월 27일은 정전협정 체결일인데, 북한은 6.25 전쟁에서 승리한 날이라며 전승절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억지 주장의 구색을 맞추려고 인천상륙작전에서도 유례없는 대승을 거뒀다고 거짓 선전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북한이 왜 이러는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북한 기록 영화입니다.
미군 전투기들이 폭탄 수 천발을 쏟아부어도 월미도 방위대가 끄떡없이 버텼다고 선전합니다.
심지어 단 4문의 해안포로 연합군 함정 13척을 격침시키며 사흘을 버텼다고 주장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적들의 상륙작전은 벌써 3일 동안이나 저지되고 있었습니다".
과연 그럴까?
실제 북한의 월미도 해안포 중대는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궤멸당했습니다.
연합군은 단 한 명의 사상자도 함선 피해도 없었습니다.
사흘 동안 함포사격으로 북한군을 초토화시킨 연합군은 15일 만조에 전격 상륙하고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명백한 역사적 사실조차 날조합니다.
<녹취> 북한 기록영화 : "맥아더 5성 장군은 1개 군단을 가지고 1개 중대 앞에 패전하는 장군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이런 적반하장은 김정은이 조작된 김일성의 업적에 편승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고영환(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 "조국 해방 전쟁(6.25)을 승리로 이끈 김일성 주석(을) 각인시킴으로써 자기 이미지가 연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 김정은의 가장 큰 목적이구요."
패한 침략전쟁을 승전로 둔갑시켜야 체제 유지가 가능한 북한의 왜곡 선전은 갈수록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