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단체 “인천지하철 2호선 안전 대책 보완해야”
입력 2016.08.02 (11:39)
수정 2016.08.02 (14: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장애인 차별철폐연대는 2일 오전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지하철 2호선 역사와 열차 내 시설이 장애인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호선 27개 역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역사는 엘리베이터 개폐시간이 10초에 불과해 탑승 과정에서 휠체어가 끼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또 전동차 정차 시간이 환승역은 30초, 일반역은 20초로 짧은데, 열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고 닫혀 끼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열차 내 휠체어 석에 장애인이 붙잡을 수 있는 안전 바가 설치돼 있지 않고, 열차 고장으로 정차 시 대피로의 폭이 30cm 가량에 불과해 휠체어 장애인은 대피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모든 역사에 휠체어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높이의 승차권 무인 발매기가 없고, 2호선 독정역과 시민공원역은 화장실로 유도하는 점자 블록이 잘못 설치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는 휠체어가 끼일 경우 전동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바로 열리도록 설계돼있고, 관제실에서도 CCTV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승강장마다 안전 관리요원이 배치돼 있어 만약의 안전 사고에 대처하도록 했다며, 장애인 안전시설 보강이 필요하다면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호선 27개 역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역사는 엘리베이터 개폐시간이 10초에 불과해 탑승 과정에서 휠체어가 끼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또 전동차 정차 시간이 환승역은 30초, 일반역은 20초로 짧은데, 열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고 닫혀 끼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열차 내 휠체어 석에 장애인이 붙잡을 수 있는 안전 바가 설치돼 있지 않고, 열차 고장으로 정차 시 대피로의 폭이 30cm 가량에 불과해 휠체어 장애인은 대피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모든 역사에 휠체어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높이의 승차권 무인 발매기가 없고, 2호선 독정역과 시민공원역은 화장실로 유도하는 점자 블록이 잘못 설치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는 휠체어가 끼일 경우 전동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바로 열리도록 설계돼있고, 관제실에서도 CCTV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승강장마다 안전 관리요원이 배치돼 있어 만약의 안전 사고에 대처하도록 했다며, 장애인 안전시설 보강이 필요하다면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인단체 “인천지하철 2호선 안전 대책 보완해야”
-
- 입력 2016-08-02 11:39:12
- 수정2016-08-02 14:23:35
인천장애인 차별철폐연대는 2일 오전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지하철 2호선 역사와 열차 내 시설이 장애인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호선 27개 역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역사는 엘리베이터 개폐시간이 10초에 불과해 탑승 과정에서 휠체어가 끼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또 전동차 정차 시간이 환승역은 30초, 일반역은 20초로 짧은데, 열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고 닫혀 끼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열차 내 휠체어 석에 장애인이 붙잡을 수 있는 안전 바가 설치돼 있지 않고, 열차 고장으로 정차 시 대피로의 폭이 30cm 가량에 불과해 휠체어 장애인은 대피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모든 역사에 휠체어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높이의 승차권 무인 발매기가 없고, 2호선 독정역과 시민공원역은 화장실로 유도하는 점자 블록이 잘못 설치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는 휠체어가 끼일 경우 전동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바로 열리도록 설계돼있고, 관제실에서도 CCTV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승강장마다 안전 관리요원이 배치돼 있어 만약의 안전 사고에 대처하도록 했다며, 장애인 안전시설 보강이 필요하다면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2호선 27개 역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역사는 엘리베이터 개폐시간이 10초에 불과해 탑승 과정에서 휠체어가 끼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또 전동차 정차 시간이 환승역은 30초, 일반역은 20초로 짧은데, 열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고 닫혀 끼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열차 내 휠체어 석에 장애인이 붙잡을 수 있는 안전 바가 설치돼 있지 않고, 열차 고장으로 정차 시 대피로의 폭이 30cm 가량에 불과해 휠체어 장애인은 대피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모든 역사에 휠체어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높이의 승차권 무인 발매기가 없고, 2호선 독정역과 시민공원역은 화장실로 유도하는 점자 블록이 잘못 설치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는 휠체어가 끼일 경우 전동차 출입문이 자동으로 바로 열리도록 설계돼있고, 관제실에서도 CCTV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승강장마다 안전 관리요원이 배치돼 있어 만약의 안전 사고에 대처하도록 했다며, 장애인 안전시설 보강이 필요하다면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