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받는 랜드마크…예산 낭비 논란
입력 2016.08.02 (23:24)
수정 2016.08.03 (04: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방자치단체가 큰돈을 들여 만든 랜드마크도 관리부실로 외면받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나 시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조혜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대로.
7년 전 10m 높이의 검은 기둥 22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기둥들은 IT 거리를 만든다며 광고와 사진 활영을 목적으로 세워졌지만 지금은 모두 꺼진 채 쓰레기통과 화분들로 둘러싸여 방치돼 있습니다.
앞에 서면 사진을 찍어 이메일 등으로 보낼 수 있는 장치인데 전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쓸모 없어진 이 시설에 세금 40억 원이 들어갔습니다.
<녹취> 서울 강남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골칫덩어리였어요...이제 조명시설로 핵심 포인트가 바뀔 거고..."
한강 바로 옆에 있는 흉물스런 조형물.
한강을 배경을 한 영화 '괴물'의 캐릭터를 본 따 만들었는데, 1억 2천만 원이 들어갔습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인터뷰> 박현애(서울 서초구 ) : "가족들이 많이 오는 이런 장소인데 처음에는 약간 좀 무섭다고 생각했어요."
'강남스타일'로 인기를 끈 가수 싸이의 춤동작을 본따 만든 '말춤 동상'
3억 7천만 원이 들어갔지만 행인들조차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인터뷰> 퍼니(독일 여행객) : "한류팬이라서 왔는데... 동상은 그냥 보며 지나치기만 했어요."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이석현(중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교수) : "흥밋거리 이런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깐 일정 부분(시간)이 지나게 되면 사람들이 쉽게 질려버리는(거죠.)"
한순간 반짝하고 마는 단발성 사업에 세금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지방자치단체가 큰돈을 들여 만든 랜드마크도 관리부실로 외면받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나 시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조혜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대로.
7년 전 10m 높이의 검은 기둥 22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기둥들은 IT 거리를 만든다며 광고와 사진 활영을 목적으로 세워졌지만 지금은 모두 꺼진 채 쓰레기통과 화분들로 둘러싸여 방치돼 있습니다.
앞에 서면 사진을 찍어 이메일 등으로 보낼 수 있는 장치인데 전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쓸모 없어진 이 시설에 세금 40억 원이 들어갔습니다.
<녹취> 서울 강남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골칫덩어리였어요...이제 조명시설로 핵심 포인트가 바뀔 거고..."
한강 바로 옆에 있는 흉물스런 조형물.
한강을 배경을 한 영화 '괴물'의 캐릭터를 본 따 만들었는데, 1억 2천만 원이 들어갔습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인터뷰> 박현애(서울 서초구 ) : "가족들이 많이 오는 이런 장소인데 처음에는 약간 좀 무섭다고 생각했어요."
'강남스타일'로 인기를 끈 가수 싸이의 춤동작을 본따 만든 '말춤 동상'
3억 7천만 원이 들어갔지만 행인들조차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인터뷰> 퍼니(독일 여행객) : "한류팬이라서 왔는데... 동상은 그냥 보며 지나치기만 했어요."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이석현(중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교수) : "흥밋거리 이런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깐 일정 부분(시간)이 지나게 되면 사람들이 쉽게 질려버리는(거죠.)"
한순간 반짝하고 마는 단발성 사업에 세금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면받는 랜드마크…예산 낭비 논란
-
- 입력 2016-08-02 23:27:54
- 수정2016-08-03 04:10:31
<앵커 멘트>
지방자치단체가 큰돈을 들여 만든 랜드마크도 관리부실로 외면받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나 시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조혜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대로.
7년 전 10m 높이의 검은 기둥 22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기둥들은 IT 거리를 만든다며 광고와 사진 활영을 목적으로 세워졌지만 지금은 모두 꺼진 채 쓰레기통과 화분들로 둘러싸여 방치돼 있습니다.
앞에 서면 사진을 찍어 이메일 등으로 보낼 수 있는 장치인데 전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쓸모 없어진 이 시설에 세금 40억 원이 들어갔습니다.
<녹취> 서울 강남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골칫덩어리였어요...이제 조명시설로 핵심 포인트가 바뀔 거고..."
한강 바로 옆에 있는 흉물스런 조형물.
한강을 배경을 한 영화 '괴물'의 캐릭터를 본 따 만들었는데, 1억 2천만 원이 들어갔습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인터뷰> 박현애(서울 서초구 ) : "가족들이 많이 오는 이런 장소인데 처음에는 약간 좀 무섭다고 생각했어요."
'강남스타일'로 인기를 끈 가수 싸이의 춤동작을 본따 만든 '말춤 동상'
3억 7천만 원이 들어갔지만 행인들조차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인터뷰> 퍼니(독일 여행객) : "한류팬이라서 왔는데... 동상은 그냥 보며 지나치기만 했어요."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이석현(중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교수) : "흥밋거리 이런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깐 일정 부분(시간)이 지나게 되면 사람들이 쉽게 질려버리는(거죠.)"
한순간 반짝하고 마는 단발성 사업에 세금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지방자치단체가 큰돈을 들여 만든 랜드마크도 관리부실로 외면받고 있습니다.
주변 환경이나 시민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조혜진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대로.
7년 전 10m 높이의 검은 기둥 22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기둥들은 IT 거리를 만든다며 광고와 사진 활영을 목적으로 세워졌지만 지금은 모두 꺼진 채 쓰레기통과 화분들로 둘러싸여 방치돼 있습니다.
앞에 서면 사진을 찍어 이메일 등으로 보낼 수 있는 장치인데 전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쓸모 없어진 이 시설에 세금 40억 원이 들어갔습니다.
<녹취> 서울 강남구청 관계자(음성변조) : "골칫덩어리였어요...이제 조명시설로 핵심 포인트가 바뀔 거고..."
한강 바로 옆에 있는 흉물스런 조형물.
한강을 배경을 한 영화 '괴물'의 캐릭터를 본 따 만들었는데, 1억 2천만 원이 들어갔습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인터뷰> 박현애(서울 서초구 ) : "가족들이 많이 오는 이런 장소인데 처음에는 약간 좀 무섭다고 생각했어요."
'강남스타일'로 인기를 끈 가수 싸이의 춤동작을 본따 만든 '말춤 동상'
3억 7천만 원이 들어갔지만 행인들조차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인터뷰> 퍼니(독일 여행객) : "한류팬이라서 왔는데... 동상은 그냥 보며 지나치기만 했어요."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이석현(중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교수) : "흥밋거리 이런 데 초점을 맞추다 보니깐 일정 부분(시간)이 지나게 되면 사람들이 쉽게 질려버리는(거죠.)"
한순간 반짝하고 마는 단발성 사업에 세금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