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기간에 자체 제작한 기사 작성 로봇 '헬리오그래프'를 가동해 실시간 속보를 자동으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미국의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리코드가 보도했다.
WP는 6일 오전(현지시간)부터 헬리오그래프가 제작한 속보 뉴스를 인간의 개입 없이 자체 웹사이트와 트위터 계정(@wpolympicsbot) 등 외부 채널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리코드가 전했다.
이 신문의 디지털 신규 프로젝트 책임자 제레미 길버트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스코어, 메달 집계 등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기사를 제작함으로써 기자들이 더 흥미롭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WP의 헬리오그래프 팀에서 일하는 사람은 엔지니어 3명이다. 또 제품 분석가 몇 명이 근무 시간의 절반가량을 이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있고 4~5명이 뉴스룸 직원들도 소프트웨어를 다듬는 데 시간을 쓰고 있다.
WP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통령·의회 선거에서도 헬리오그래프를 활용해 약 500곳의 선거 개표 실황을 최신 데이터가 입수되는 대로 시시각각 출고할 예정이다.
또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투표 패턴 등 흥미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인공지능이 찾아내 인간 기자들에게 알려 주도록 해 기사작성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줄 계획을 세웠다.
WP가 로봇 저널리즘을 도입한 첫 사례는 아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출신 연구자들이 차린 벤처기업 '내러티브 사이언스'는 자연언어 생성 플랫폼 '퀼'을 통해 야구 스코어와 기업 실적발표 전 프리뷰 등을 기사 형태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오토메이티드 인사이츠'라는 업체도 AP통신 등 고객들을 위해 비슷한 작업을 한다.
WP는 6일 오전(현지시간)부터 헬리오그래프가 제작한 속보 뉴스를 인간의 개입 없이 자체 웹사이트와 트위터 계정(@wpolympicsbot) 등 외부 채널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리코드가 전했다.
이 신문의 디지털 신규 프로젝트 책임자 제레미 길버트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스코어, 메달 집계 등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기사를 제작함으로써 기자들이 더 흥미롭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WP의 헬리오그래프 팀에서 일하는 사람은 엔지니어 3명이다. 또 제품 분석가 몇 명이 근무 시간의 절반가량을 이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있고 4~5명이 뉴스룸 직원들도 소프트웨어를 다듬는 데 시간을 쓰고 있다.
WP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통령·의회 선거에서도 헬리오그래프를 활용해 약 500곳의 선거 개표 실황을 최신 데이터가 입수되는 대로 시시각각 출고할 예정이다.
또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투표 패턴 등 흥미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인공지능이 찾아내 인간 기자들에게 알려 주도록 해 기사작성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줄 계획을 세웠다.
WP가 로봇 저널리즘을 도입한 첫 사례는 아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출신 연구자들이 차린 벤처기업 '내러티브 사이언스'는 자연언어 생성 플랫폼 '퀼'을 통해 야구 스코어와 기업 실적발표 전 프리뷰 등을 기사 형태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오토메이티드 인사이츠'라는 업체도 AP통신 등 고객들을 위해 비슷한 작업을 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워싱턴 포스트, 속보 작성에 로봇 투입
-
- 입력 2016-08-06 02:14:50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기간에 자체 제작한 기사 작성 로봇 '헬리오그래프'를 가동해 실시간 속보를 자동으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미국의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리코드가 보도했다.
WP는 6일 오전(현지시간)부터 헬리오그래프가 제작한 속보 뉴스를 인간의 개입 없이 자체 웹사이트와 트위터 계정(@wpolympicsbot) 등 외부 채널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리코드가 전했다.
이 신문의 디지털 신규 프로젝트 책임자 제레미 길버트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스코어, 메달 집계 등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기사를 제작함으로써 기자들이 더 흥미롭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WP의 헬리오그래프 팀에서 일하는 사람은 엔지니어 3명이다. 또 제품 분석가 몇 명이 근무 시간의 절반가량을 이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있고 4~5명이 뉴스룸 직원들도 소프트웨어를 다듬는 데 시간을 쓰고 있다.
WP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통령·의회 선거에서도 헬리오그래프를 활용해 약 500곳의 선거 개표 실황을 최신 데이터가 입수되는 대로 시시각각 출고할 예정이다.
또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투표 패턴 등 흥미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인공지능이 찾아내 인간 기자들에게 알려 주도록 해 기사작성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줄 계획을 세웠다.
WP가 로봇 저널리즘을 도입한 첫 사례는 아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출신 연구자들이 차린 벤처기업 '내러티브 사이언스'는 자연언어 생성 플랫폼 '퀼'을 통해 야구 스코어와 기업 실적발표 전 프리뷰 등을 기사 형태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오토메이티드 인사이츠'라는 업체도 AP통신 등 고객들을 위해 비슷한 작업을 한다.
WP는 6일 오전(현지시간)부터 헬리오그래프가 제작한 속보 뉴스를 인간의 개입 없이 자체 웹사이트와 트위터 계정(@wpolympicsbot) 등 외부 채널로 내보내기로 했다고 리코드가 전했다.
이 신문의 디지털 신규 프로젝트 책임자 제레미 길버트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스코어, 메달 집계 등 데이터 중심의 단순한 기사를 제작함으로써 기자들이 더 흥미롭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WP의 헬리오그래프 팀에서 일하는 사람은 엔지니어 3명이다. 또 제품 분석가 몇 명이 근무 시간의 절반가량을 이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있고 4~5명이 뉴스룸 직원들도 소프트웨어를 다듬는 데 시간을 쓰고 있다.
WP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통령·의회 선거에서도 헬리오그래프를 활용해 약 500곳의 선거 개표 실황을 최신 데이터가 입수되는 대로 시시각각 출고할 예정이다.
또 전국에 걸쳐 나타나는 투표 패턴 등 흥미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인공지능이 찾아내 인간 기자들에게 알려 주도록 해 기사작성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줄 계획을 세웠다.
WP가 로봇 저널리즘을 도입한 첫 사례는 아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출신 연구자들이 차린 벤처기업 '내러티브 사이언스'는 자연언어 생성 플랫폼 '퀼'을 통해 야구 스코어와 기업 실적발표 전 프리뷰 등을 기사 형태로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오토메이티드 인사이츠'라는 업체도 AP통신 등 고객들을 위해 비슷한 작업을 한다.
-
-
고은희 기자 ginger@kbs.co.kr
고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