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1년’ 전국 곳곳 태극기 물결·만세 함성
입력 2016.08.15 (19:02)
수정 2016.08.15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광복 71주년을 맞아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습니다.
전국 곳곳에선 태극기 물결과 만세 함성이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71년 전 광복의 함성이 종소리로 다시 울려 퍼집니다.
분홍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아흔한 살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아직도 생생한 해방의 기쁨을 떠올리며 종을 두드립니다.
<인터뷰> 노주영(서울시 광진구) : "종 울릴 때 감동적인 것도 있는 것 같고 학교에서만 배웠던 역사를 실제로 경험하니까 뜻깊은 것 같아요."
보신각 주위엔 태극기들이 넘실대고, 만세 삼창이 종로 거리를 가득 메웁니다.
한강 공원을 가득 메운 자전거들, 출발에 앞서 정성스레 태극기를 꽂습니다.
2천 장의 태극기가 바람결에 흩날리며 강변을 수놓습니다.
<인터뷰> 김완구(경기도 성남시) : "이 더운 날씨에도 광복을 위해 고생하셨을 분들을 위해 또 생각하면서 가족끼리 나와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서 즐겁고요."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됐던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애국선열들의 고초를 체험해보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도로 한가운데서 광복절 당시를 재현하는 행사가 열리는 등 서울 곳곳에서는 광복 71주년을 경축하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광복 71주년을 맞아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습니다.
전국 곳곳에선 태극기 물결과 만세 함성이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71년 전 광복의 함성이 종소리로 다시 울려 퍼집니다.
분홍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아흔한 살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아직도 생생한 해방의 기쁨을 떠올리며 종을 두드립니다.
<인터뷰> 노주영(서울시 광진구) : "종 울릴 때 감동적인 것도 있는 것 같고 학교에서만 배웠던 역사를 실제로 경험하니까 뜻깊은 것 같아요."
보신각 주위엔 태극기들이 넘실대고, 만세 삼창이 종로 거리를 가득 메웁니다.
한강 공원을 가득 메운 자전거들, 출발에 앞서 정성스레 태극기를 꽂습니다.
2천 장의 태극기가 바람결에 흩날리며 강변을 수놓습니다.
<인터뷰> 김완구(경기도 성남시) : "이 더운 날씨에도 광복을 위해 고생하셨을 분들을 위해 또 생각하면서 가족끼리 나와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서 즐겁고요."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됐던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애국선열들의 고초를 체험해보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도로 한가운데서 광복절 당시를 재현하는 행사가 열리는 등 서울 곳곳에서는 광복 71주년을 경축하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복 71년’ 전국 곳곳 태극기 물결·만세 함성
-
- 입력 2016-08-15 19:04:56
- 수정2016-08-15 19:59:01

<앵커 멘트>
광복 71주년을 맞아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습니다.
전국 곳곳에선 태극기 물결과 만세 함성이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71년 전 광복의 함성이 종소리로 다시 울려 퍼집니다.
분홍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아흔한 살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아직도 생생한 해방의 기쁨을 떠올리며 종을 두드립니다.
<인터뷰> 노주영(서울시 광진구) : "종 울릴 때 감동적인 것도 있는 것 같고 학교에서만 배웠던 역사를 실제로 경험하니까 뜻깊은 것 같아요."
보신각 주위엔 태극기들이 넘실대고, 만세 삼창이 종로 거리를 가득 메웁니다.
한강 공원을 가득 메운 자전거들, 출발에 앞서 정성스레 태극기를 꽂습니다.
2천 장의 태극기가 바람결에 흩날리며 강변을 수놓습니다.
<인터뷰> 김완구(경기도 성남시) : "이 더운 날씨에도 광복을 위해 고생하셨을 분들을 위해 또 생각하면서 가족끼리 나와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서 즐겁고요."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됐던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애국선열들의 고초를 체험해보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도로 한가운데서 광복절 당시를 재현하는 행사가 열리는 등 서울 곳곳에서는 광복 71주년을 경축하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광복 71주년을 맞아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습니다.
전국 곳곳에선 태극기 물결과 만세 함성이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71년 전 광복의 함성이 종소리로 다시 울려 퍼집니다.
분홍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아흔한 살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아직도 생생한 해방의 기쁨을 떠올리며 종을 두드립니다.
<인터뷰> 노주영(서울시 광진구) : "종 울릴 때 감동적인 것도 있는 것 같고 학교에서만 배웠던 역사를 실제로 경험하니까 뜻깊은 것 같아요."
보신각 주위엔 태극기들이 넘실대고, 만세 삼창이 종로 거리를 가득 메웁니다.
한강 공원을 가득 메운 자전거들, 출발에 앞서 정성스레 태극기를 꽂습니다.
2천 장의 태극기가 바람결에 흩날리며 강변을 수놓습니다.
<인터뷰> 김완구(경기도 성남시) : "이 더운 날씨에도 광복을 위해 고생하셨을 분들을 위해 또 생각하면서 가족끼리 나와서 자전거를 탈 수 있어서 즐겁고요."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됐던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애국선열들의 고초를 체험해보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도로 한가운데서 광복절 당시를 재현하는 행사가 열리는 등 서울 곳곳에서는 광복 71주년을 경축하고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