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어기 완전 풀렸다…서해로 가나?
입력 2016.09.02 (07:21)
수정 2016.09.02 (07: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 어선들의 금어기가 어제부터 완전히 풀렸습니다.
동중국해는 물론 우리 서해.남해까지도 중국 어선들의 활동 반경인데요.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은 물론 불법 조업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해를 사이에 두고 우리 나라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입니다.
석 달 넘게 발이 묶여있던 어선 수백여 척들이 일제히 먼 바다로 나갑니다.
어제부터 금어기가 해제되면서 중국 동해안은 물론 산둥성과 보하이만의 어선들도 본격적인 조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스쉐신(어민) : "첫 그물부터 가득하길, 물고기가 창고에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그물이 가득하면 하나의 좋은 시작이죠."
인근 엔타이 항구도 출항 준비를 마친 수 천 척의 배들이 선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출항을 위해 어민들이 배를 손질하고 어망을 수선하는데 분주합니다.
<인터뷰> 왕리(어민) : "(배를 수리하고) 그물을 수선해서 되도록 준비를 잘해서 기분좋게 첫 그물부터 만선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들 어선들은 한국의 서해, 남해와 가까워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이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EEZ,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조업을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중국 어선들의 대규모 가을 출항이 본격화되면서 어족 자원을 둘러싼 바다 위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어민 보호를 위한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중국 어선들의 금어기가 어제부터 완전히 풀렸습니다.
동중국해는 물론 우리 서해.남해까지도 중국 어선들의 활동 반경인데요.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은 물론 불법 조업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해를 사이에 두고 우리 나라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입니다.
석 달 넘게 발이 묶여있던 어선 수백여 척들이 일제히 먼 바다로 나갑니다.
어제부터 금어기가 해제되면서 중국 동해안은 물론 산둥성과 보하이만의 어선들도 본격적인 조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스쉐신(어민) : "첫 그물부터 가득하길, 물고기가 창고에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그물이 가득하면 하나의 좋은 시작이죠."
인근 엔타이 항구도 출항 준비를 마친 수 천 척의 배들이 선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출항을 위해 어민들이 배를 손질하고 어망을 수선하는데 분주합니다.
<인터뷰> 왕리(어민) : "(배를 수리하고) 그물을 수선해서 되도록 준비를 잘해서 기분좋게 첫 그물부터 만선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들 어선들은 한국의 서해, 남해와 가까워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이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EEZ,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조업을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중국 어선들의 대규모 가을 출항이 본격화되면서 어족 자원을 둘러싼 바다 위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어민 보호를 위한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금어기 완전 풀렸다…서해로 가나?
-
- 입력 2016-09-02 07:22:48
- 수정2016-09-02 07:44:04

<앵커 멘트>
중국 어선들의 금어기가 어제부터 완전히 풀렸습니다.
동중국해는 물론 우리 서해.남해까지도 중국 어선들의 활동 반경인데요.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은 물론 불법 조업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해를 사이에 두고 우리 나라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입니다.
석 달 넘게 발이 묶여있던 어선 수백여 척들이 일제히 먼 바다로 나갑니다.
어제부터 금어기가 해제되면서 중국 동해안은 물론 산둥성과 보하이만의 어선들도 본격적인 조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스쉐신(어민) : "첫 그물부터 가득하길, 물고기가 창고에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그물이 가득하면 하나의 좋은 시작이죠."
인근 엔타이 항구도 출항 준비를 마친 수 천 척의 배들이 선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출항을 위해 어민들이 배를 손질하고 어망을 수선하는데 분주합니다.
<인터뷰> 왕리(어민) : "(배를 수리하고) 그물을 수선해서 되도록 준비를 잘해서 기분좋게 첫 그물부터 만선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들 어선들은 한국의 서해, 남해와 가까워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이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EEZ,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조업을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중국 어선들의 대규모 가을 출항이 본격화되면서 어족 자원을 둘러싼 바다 위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어민 보호를 위한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중국 어선들의 금어기가 어제부터 완전히 풀렸습니다.
동중국해는 물론 우리 서해.남해까지도 중국 어선들의 활동 반경인데요.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은 물론 불법 조업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해를 사이에 두고 우리 나라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입니다.
석 달 넘게 발이 묶여있던 어선 수백여 척들이 일제히 먼 바다로 나갑니다.
어제부터 금어기가 해제되면서 중국 동해안은 물론 산둥성과 보하이만의 어선들도 본격적인 조업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스쉐신(어민) : "첫 그물부터 가득하길, 물고기가 창고에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첫 그물이 가득하면 하나의 좋은 시작이죠."
인근 엔타이 항구도 출항 준비를 마친 수 천 척의 배들이 선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출항을 위해 어민들이 배를 손질하고 어망을 수선하는데 분주합니다.
<인터뷰> 왕리(어민) : "(배를 수리하고) 그물을 수선해서 되도록 준비를 잘해서 기분좋게 첫 그물부터 만선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들 어선들은 한국의 서해, 남해와 가까워 우리 어선들과의 치열한 조업 경쟁이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EEZ,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조업을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중국 어선들의 대규모 가을 출항이 본격화되면서 어족 자원을 둘러싼 바다 위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어민 보호를 위한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
-
오세균 기자 sko@kbs.co.kr
오세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