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환시장 규모 세계 14위…3년 전보다 1단계↑
입력 2016.09.02 (13:26)
수정 2016.09.02 (16: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외환시장의 규모가 세계 14위로 3년 전보다 1단계 올랐다. 장외 금리파생상품시장은 세계 17위로 2단계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제결제은행(BIS) 주관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시장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4월 중 한국의 외환시장 거래규모는 하루 평균 478억1천만 달러였다.
이는 3년 전 조사 때 475억2천만 달러보다 0.6% 늘어난 것이다.
반면 세계 외환시장의 거래규모는 4월 하루 평균 5조1천만 달러로 3년 전(5조4천억 달러)보다 5.0% 줄었다. 세계 외환시장 거래규모가 감소한 것은 이 조사가 시작된 1986년 이후 처음이다. 1조7천억 달러 규모의 현물환 거래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국이 세계 외환시장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로 2013년과 같았다.
하지만 전체 시장 규모가 줄어들면서 한국의 국가별 순위는 조사대상국 중 14위로 1단계 상승했다. 2010년 조사 때의 13위보다는 아직 1단계 낮은 수준이다.
외환시장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영국(37.1%)이었고 이어 미국(19.4%), 싱가포르(7.9%), 홍콩(6.7%), 일본(6.1%) 등의 순이었다.
거래 통화별(비중합계 200%)로는 단연 미국 달러가 87.6%를 차지해 1위였고 유로가 31.3%, 엔화 21.6% 등이다.
한국 원화는 거래비중이 1.6%로 2013년 1.2%보다 0.4%포인트 커지며 15위를 차지했다. 원화의 순위도 17위에서 2계단 올랐다.
한국의 장외 금리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월 하루평균 66억2천만 달러로 2013년 78억4천만 달러보다 15.6% 감소했다.
전 세계 장외 금리파생상품 시장은 하루평균 2조7천억 달러로 3년 전보다 15.4% 증가했다.
한국의 세계시장 비중은 0.2%, 순위는 17위로 3년 전(19위)보다 2단계 올랐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제결제은행(BIS) 주관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시장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4월 중 한국의 외환시장 거래규모는 하루 평균 478억1천만 달러였다.
이는 3년 전 조사 때 475억2천만 달러보다 0.6% 늘어난 것이다.
반면 세계 외환시장의 거래규모는 4월 하루 평균 5조1천만 달러로 3년 전(5조4천억 달러)보다 5.0% 줄었다. 세계 외환시장 거래규모가 감소한 것은 이 조사가 시작된 1986년 이후 처음이다. 1조7천억 달러 규모의 현물환 거래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국이 세계 외환시장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로 2013년과 같았다.
하지만 전체 시장 규모가 줄어들면서 한국의 국가별 순위는 조사대상국 중 14위로 1단계 상승했다. 2010년 조사 때의 13위보다는 아직 1단계 낮은 수준이다.
외환시장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영국(37.1%)이었고 이어 미국(19.4%), 싱가포르(7.9%), 홍콩(6.7%), 일본(6.1%) 등의 순이었다.
거래 통화별(비중합계 200%)로는 단연 미국 달러가 87.6%를 차지해 1위였고 유로가 31.3%, 엔화 21.6% 등이다.
한국 원화는 거래비중이 1.6%로 2013년 1.2%보다 0.4%포인트 커지며 15위를 차지했다. 원화의 순위도 17위에서 2계단 올랐다.
한국의 장외 금리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월 하루평균 66억2천만 달러로 2013년 78억4천만 달러보다 15.6% 감소했다.
전 세계 장외 금리파생상품 시장은 하루평균 2조7천억 달러로 3년 전보다 15.4% 증가했다.
한국의 세계시장 비중은 0.2%, 순위는 17위로 3년 전(19위)보다 2단계 올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외환시장 규모 세계 14위…3년 전보다 1단계↑
-
- 입력 2016-09-02 13:26:38
- 수정2016-09-02 16:43:51

한국 외환시장의 규모가 세계 14위로 3년 전보다 1단계 올랐다. 장외 금리파생상품시장은 세계 17위로 2단계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제결제은행(BIS) 주관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시장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4월 중 한국의 외환시장 거래규모는 하루 평균 478억1천만 달러였다.
이는 3년 전 조사 때 475억2천만 달러보다 0.6% 늘어난 것이다.
반면 세계 외환시장의 거래규모는 4월 하루 평균 5조1천만 달러로 3년 전(5조4천억 달러)보다 5.0% 줄었다. 세계 외환시장 거래규모가 감소한 것은 이 조사가 시작된 1986년 이후 처음이다. 1조7천억 달러 규모의 현물환 거래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국이 세계 외환시장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로 2013년과 같았다.
하지만 전체 시장 규모가 줄어들면서 한국의 국가별 순위는 조사대상국 중 14위로 1단계 상승했다. 2010년 조사 때의 13위보다는 아직 1단계 낮은 수준이다.
외환시장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영국(37.1%)이었고 이어 미국(19.4%), 싱가포르(7.9%), 홍콩(6.7%), 일본(6.1%) 등의 순이었다.
거래 통화별(비중합계 200%)로는 단연 미국 달러가 87.6%를 차지해 1위였고 유로가 31.3%, 엔화 21.6% 등이다.
한국 원화는 거래비중이 1.6%로 2013년 1.2%보다 0.4%포인트 커지며 15위를 차지했다. 원화의 순위도 17위에서 2계단 올랐다.
한국의 장외 금리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월 하루평균 66억2천만 달러로 2013년 78억4천만 달러보다 15.6% 감소했다.
전 세계 장외 금리파생상품 시장은 하루평균 2조7천억 달러로 3년 전보다 15.4% 증가했다.
한국의 세계시장 비중은 0.2%, 순위는 17위로 3년 전(19위)보다 2단계 올랐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제결제은행(BIS) 주관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시장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4월 중 한국의 외환시장 거래규모는 하루 평균 478억1천만 달러였다.
이는 3년 전 조사 때 475억2천만 달러보다 0.6% 늘어난 것이다.
반면 세계 외환시장의 거래규모는 4월 하루 평균 5조1천만 달러로 3년 전(5조4천억 달러)보다 5.0% 줄었다. 세계 외환시장 거래규모가 감소한 것은 이 조사가 시작된 1986년 이후 처음이다. 1조7천억 달러 규모의 현물환 거래가 감소한 영향이 컸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국이 세계 외환시장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로 2013년과 같았다.
하지만 전체 시장 규모가 줄어들면서 한국의 국가별 순위는 조사대상국 중 14위로 1단계 상승했다. 2010년 조사 때의 13위보다는 아직 1단계 낮은 수준이다.
외환시장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영국(37.1%)이었고 이어 미국(19.4%), 싱가포르(7.9%), 홍콩(6.7%), 일본(6.1%) 등의 순이었다.
거래 통화별(비중합계 200%)로는 단연 미국 달러가 87.6%를 차지해 1위였고 유로가 31.3%, 엔화 21.6% 등이다.
한국 원화는 거래비중이 1.6%로 2013년 1.2%보다 0.4%포인트 커지며 15위를 차지했다. 원화의 순위도 17위에서 2계단 올랐다.
한국의 장외 금리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월 하루평균 66억2천만 달러로 2013년 78억4천만 달러보다 15.6% 감소했다.
전 세계 장외 금리파생상품 시장은 하루평균 2조7천억 달러로 3년 전보다 15.4% 증가했다.
한국의 세계시장 비중은 0.2%, 순위는 17위로 3년 전(19위)보다 2단계 올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