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한진해운 조건부 자금지원 검토”
입력 2016.09.04 (17:03)
수정 2016.09.04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이 불러온 물류 혼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조건부 자금지원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먼저 밀린 연체금 납부에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만 채권단이 추가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4일 "물류 혼란 사태의 해결을 위해 먼저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대주주 등이 행동에 나선다면 채권단도 필요한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준으로 한진해운 선박 총 68척(컨테이너선 61척·벌크선 7척)이 19개 국가 44개 항만에서 비정상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운항 차질이 이어지면서 한진해운이 제때 화물을 운송하지 못해 최대 140억 달러(약 15조 6천억 원) 규모의 줄소송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하역 거부 사태를 해결하려면 결국 한진해운이 해당 업체에 돈을 지급하는 것 외에는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에 자금이 고갈되고 채권단이 한진해운의 자금지원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에 채권단에 신규 자금지원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법정관리 이후에도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지만, 현 상황에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다만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먼저 밀린 연체금 납부에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만 채권단이 추가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4일 "물류 혼란 사태의 해결을 위해 먼저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대주주 등이 행동에 나선다면 채권단도 필요한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준으로 한진해운 선박 총 68척(컨테이너선 61척·벌크선 7척)이 19개 국가 44개 항만에서 비정상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운항 차질이 이어지면서 한진해운이 제때 화물을 운송하지 못해 최대 140억 달러(약 15조 6천억 원) 규모의 줄소송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하역 거부 사태를 해결하려면 결국 한진해운이 해당 업체에 돈을 지급하는 것 외에는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에 자금이 고갈되고 채권단이 한진해운의 자금지원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에 채권단에 신규 자금지원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법정관리 이후에도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지만, 현 상황에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당국 “한진해운 조건부 자금지원 검토”
-
- 입력 2016-09-04 17:03:48
- 수정2016-09-04 19:26:34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이 불러온 물류 혼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조건부 자금지원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먼저 밀린 연체금 납부에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만 채권단이 추가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4일 "물류 혼란 사태의 해결을 위해 먼저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대주주 등이 행동에 나선다면 채권단도 필요한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준으로 한진해운 선박 총 68척(컨테이너선 61척·벌크선 7척)이 19개 국가 44개 항만에서 비정상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운항 차질이 이어지면서 한진해운이 제때 화물을 운송하지 못해 최대 140억 달러(약 15조 6천억 원) 규모의 줄소송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하역 거부 사태를 해결하려면 결국 한진해운이 해당 업체에 돈을 지급하는 것 외에는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에 자금이 고갈되고 채권단이 한진해운의 자금지원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에 채권단에 신규 자금지원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법정관리 이후에도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지만, 현 상황에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다만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먼저 밀린 연체금 납부에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만 채권단이 추가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4일 "물류 혼란 사태의 해결을 위해 먼저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대주주 등이 행동에 나선다면 채권단도 필요한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준으로 한진해운 선박 총 68척(컨테이너선 61척·벌크선 7척)이 19개 국가 44개 항만에서 비정상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운항 차질이 이어지면서 한진해운이 제때 화물을 운송하지 못해 최대 140억 달러(약 15조 6천억 원) 규모의 줄소송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하역 거부 사태를 해결하려면 결국 한진해운이 해당 업체에 돈을 지급하는 것 외에는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에 자금이 고갈되고 채권단이 한진해운의 자금지원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에 채권단에 신규 자금지원을 기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법정관리 이후에도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지만, 현 상황에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