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횡령·공갈…지역 언론 비리 ‘전방위 수사’

입력 2016.09.05 (19:19) 수정 2016.09.05 (19: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청주 검찰이 지역 언론사 비리에 대해 지자체 보조금 유용에 이르기까지 전례 없이 강도 높은 수사를 벌였는데요.

반 년간 수사 결과, 언론 관계자 22명이 보조금 횡령과 공갈 등의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김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부 지역 언론사의 문화.체육 행사들은 보조금 횡령의 수단으로 악용됐습니다.

A 일간지 대표 등은 행사를 위해 받은 지자체 보조금을 거래업체에 지급한 뒤 일부를 돌려받는 수법으로, 2011년부터 5년간 2억 8천여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충북 지역 5개 언론사 대표와 간부 16명이 이같이 챙긴 보조금은 8억 원 상당입니다.

일부 기자는 불리한 기사를 게재할 것처럼 업주들을 협박해, 많게는 천여 만 원의 금품을 갈취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녹취> 언론사 금품 갈취 피해자(음성 변조) : "악의적인 보도가 계속 반복해서 나오니까 '저희들이 도와드릴 부분이 뭐가 있겠느냐' (물으니) 광고나 좀 하나 내달라 이런 식으로..."

최저 임금조차 보장되지 않는 지역 언론의 기형적 구조가 비리를 조장하는 것으로 검찰은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모 일간지는 직원 17명의 급여 통장을 관리하면서, 지급한 임금을 신문 판매 대금 명목으로 전액 회수했습니다.

<인터뷰> 김석재(청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신문 같은 걸 판매한 수익은 언론사 전체 수익의 10% 정도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광고 수익이 80% 정도 차지하고 기타 수익이 10% 정도..."

검찰은 관계기관 등과 연계해 인터넷 언론사까지 포함한 지역 언론의 구조적인 병폐 해결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조금 횡령·공갈…지역 언론 비리 ‘전방위 수사’
    • 입력 2016-09-05 19:22:05
    • 수정2016-09-05 19:38:32
    뉴스 7
<앵커 멘트>

청주 검찰이 지역 언론사 비리에 대해 지자체 보조금 유용에 이르기까지 전례 없이 강도 높은 수사를 벌였는데요.

반 년간 수사 결과, 언론 관계자 22명이 보조금 횡령과 공갈 등의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김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부 지역 언론사의 문화.체육 행사들은 보조금 횡령의 수단으로 악용됐습니다.

A 일간지 대표 등은 행사를 위해 받은 지자체 보조금을 거래업체에 지급한 뒤 일부를 돌려받는 수법으로, 2011년부터 5년간 2억 8천여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충북 지역 5개 언론사 대표와 간부 16명이 이같이 챙긴 보조금은 8억 원 상당입니다.

일부 기자는 불리한 기사를 게재할 것처럼 업주들을 협박해, 많게는 천여 만 원의 금품을 갈취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녹취> 언론사 금품 갈취 피해자(음성 변조) : "악의적인 보도가 계속 반복해서 나오니까 '저희들이 도와드릴 부분이 뭐가 있겠느냐' (물으니) 광고나 좀 하나 내달라 이런 식으로..."

최저 임금조차 보장되지 않는 지역 언론의 기형적 구조가 비리를 조장하는 것으로 검찰은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모 일간지는 직원 17명의 급여 통장을 관리하면서, 지급한 임금을 신문 판매 대금 명목으로 전액 회수했습니다.

<인터뷰> 김석재(청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신문 같은 걸 판매한 수익은 언론사 전체 수익의 10% 정도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광고 수익이 80% 정도 차지하고 기타 수익이 10% 정도..."

검찰은 관계기관 등과 연계해 인터넷 언론사까지 포함한 지역 언론의 구조적인 병폐 해결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