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눈으로 본 나라경제는…中 ‘자신감’ 日 ‘비관론’

입력 2016.09.17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 규모가 세계 2, 3위를 각각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 국민의 자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조사결과를 보면 자국의 경제 상황이 어떤지에 대한 인식을 물었을 때 응답자들이 가장 낙관적인 태도를 보인 국가는 중국이었다.

중국 응답자의 87%는 자국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했으며, 나쁘다는 응답률은 11%에 불과했다.
최근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경착륙 우려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상황이지만, 자국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중국 응답자의 비율은 다른 국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경제 상황이 좋다는 낙관적 응답은 30%, 나쁘다는 답은 68%로, 비관적 인식을 내비친 국민이 두 배 이상 많았다.

일본은 1인당 GDP로 따지면 중국을 훌쩍 앞서지만, 경제 인식은 훨씬 비관적인 셈이다.

세계 경제 1위 국가인 미국의 경우에는 자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응답자가 전체의 54%,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44%였다.

양쪽이 비슷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독일, 영국 등 여타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자국 경제를 가장 비관적으로 보는 국가는 지난해 디폴트(국가부도) 위험에 내몰렸던 그리스였다.

그리스 응답자 가운데 단 2%만 현재 국가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스페인과 프랑스에서도 경제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는 응답이 각각 13%, 12%에 그쳤다.

퓨리서치는 지난 4월 4일부터 5월 29일까지 캐나다, 미국,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폴란드,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중국, 인도, 호주, 일본 등 16개국 2만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눈으로 본 나라경제는…中 ‘자신감’ 日 ‘비관론’
    • 입력 2016-09-17 08:15:08
    국제
경제 규모가 세계 2, 3위를 각각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 국민의 자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조사결과를 보면 자국의 경제 상황이 어떤지에 대한 인식을 물었을 때 응답자들이 가장 낙관적인 태도를 보인 국가는 중국이었다.

중국 응답자의 87%는 자국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했으며, 나쁘다는 응답률은 11%에 불과했다.
최근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경착륙 우려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상황이지만, 자국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중국 응답자의 비율은 다른 국가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경제 상황이 좋다는 낙관적 응답은 30%, 나쁘다는 답은 68%로, 비관적 인식을 내비친 국민이 두 배 이상 많았다.

일본은 1인당 GDP로 따지면 중국을 훌쩍 앞서지만, 경제 인식은 훨씬 비관적인 셈이다.

세계 경제 1위 국가인 미국의 경우에는 자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응답자가 전체의 54%,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44%였다.

양쪽이 비슷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독일, 영국 등 여타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자국 경제를 가장 비관적으로 보는 국가는 지난해 디폴트(국가부도) 위험에 내몰렸던 그리스였다.

그리스 응답자 가운데 단 2%만 현재 국가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스페인과 프랑스에서도 경제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는 응답이 각각 13%, 12%에 그쳤다.

퓨리서치는 지난 4월 4일부터 5월 29일까지 캐나다, 미국,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폴란드, 영국,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중국, 인도, 호주, 일본 등 16개국 2만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