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에서 '차별'에 대한 문제는 줄곧 지적됐습니다. 미국의 아카데미 시상식은 백인 잔치라는 비난과 함께 '화이트 오스카'라는 오명을 얻었는데요, 미국의 대학 연구팀에서 할리우드 영화의 차별 요소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인기영화 100여 편을 선정해 배우와 감독 등이 분포 조사를 해온 연구팀은 올해 역시 지난해 개봉된 할리우드 인기영화 100편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영화에서 대사가 있는 배역은 총 4,370개였는데, 그중 남성이 68.6%를 차지했습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 10명 중 오직 3명만이 여성인 겁니다.
보고서는 성별뿐 아니라, 인종, 성 소수자에 대한 분석도 했는데요, 다수의 목소리처럼 백인에 편중된 배우 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계는 어떨까요? 할리우드 영화 환경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역시 여성 보다는 남성배우 비중이 높습니다. 영화계 뿌리 깊은 차별 논란, 말이 아닌 행동의 변화는 언제쯤 기대할 수 있을까요?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인기영화 100여 편을 선정해 배우와 감독 등이 분포 조사를 해온 연구팀은 올해 역시 지난해 개봉된 할리우드 인기영화 100편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영화에서 대사가 있는 배역은 총 4,370개였는데, 그중 남성이 68.6%를 차지했습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 10명 중 오직 3명만이 여성인 겁니다.
보고서는 성별뿐 아니라, 인종, 성 소수자에 대한 분석도 했는데요, 다수의 목소리처럼 백인에 편중된 배우 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계는 어떨까요? 할리우드 영화 환경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역시 여성 보다는 남성배우 비중이 높습니다. 영화계 뿌리 깊은 차별 논란, 말이 아닌 행동의 변화는 언제쯤 기대할 수 있을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픽] 여전히 ‘하얀’ 할리우드, 한국은?
-
- 입력 2016-09-17 10:01:26

영화계에서 '차별'에 대한 문제는 줄곧 지적됐습니다. 미국의 아카데미 시상식은 백인 잔치라는 비난과 함께 '화이트 오스카'라는 오명을 얻었는데요, 미국의 대학 연구팀에서 할리우드 영화의 차별 요소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인기영화 100여 편을 선정해 배우와 감독 등이 분포 조사를 해온 연구팀은 올해 역시 지난해 개봉된 할리우드 인기영화 100편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영화에서 대사가 있는 배역은 총 4,370개였는데, 그중 남성이 68.6%를 차지했습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 10명 중 오직 3명만이 여성인 겁니다.
보고서는 성별뿐 아니라, 인종, 성 소수자에 대한 분석도 했는데요, 다수의 목소리처럼 백인에 편중된 배우 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계는 어떨까요? 할리우드 영화 환경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역시 여성 보다는 남성배우 비중이 높습니다. 영화계 뿌리 깊은 차별 논란, 말이 아닌 행동의 변화는 언제쯤 기대할 수 있을까요?
지난 2007년부터 매년 인기영화 100여 편을 선정해 배우와 감독 등이 분포 조사를 해온 연구팀은 올해 역시 지난해 개봉된 할리우드 인기영화 100편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체 영화에서 대사가 있는 배역은 총 4,370개였는데, 그중 남성이 68.6%를 차지했습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 10명 중 오직 3명만이 여성인 겁니다.
보고서는 성별뿐 아니라, 인종, 성 소수자에 대한 분석도 했는데요, 다수의 목소리처럼 백인에 편중된 배우 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한국영화계는 어떨까요? 할리우드 영화 환경과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역시 여성 보다는 남성배우 비중이 높습니다. 영화계 뿌리 깊은 차별 논란, 말이 아닌 행동의 변화는 언제쯤 기대할 수 있을까요?
-
-
석혜원 기자 hey1@kbs.co.kr
석혜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