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현장] 골든타임 안에 구조하라!…수난구조대
입력 2016.09.20 (16:16)
수정 2016.09.20 (17: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발적 죽음을 선택한 자들을 만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난구조대 대원들인데요.
자살 명소라고 불리는 마포대교를 전담하며 투신자 신고 60% 이상을 소화하는 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의 24시를 <뉴스집중>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리 난간에 매달려 있던 남성이 아래로 떨어집니다.
물에 빠진 남성을 구하러 다가오는 배 한 척, 여의도 수난구조대 고속선입니다.
<녹취> "머리 보인다, 머리. 잠깐 대기. 오케이 입수."
투신자를 구하기 위해 물속에 몸을 던지는 구조대원들, 잠시 뒤, 구조에 성공합니다.
<녹취> "정신 차려봐요. 아저씨, 아저씨. 정신 차려!"
체온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한 응급 마사지를 시작하는데요.
<녹취> "좀만 기다려요. (구급차) 왔으니까."
가까스로 정신을 차린 남성을 구급대원에게 인계하고 나서야 한숨을 돌립니다.
<녹취> "동부이촌동 6-7 여의도 수난구조, 여의도 수난구조대."
휴식도 잠시, 출동 신호가 울리면 30초 안에 고속선으로 이동해야 하는데요.
투신 직전 다리 위에서 한 남성이 상담 전화인 '생명의 전화'를 걸었습니다.
<녹취> "현재 그 첫 번째 생명의 전화 옆에 전화기 옆에 있는 상태(에요.)"
혹여나 뛰어내릴까 온 신경을 집중하는데요. 그때,
<녹취> "잡았다. 잡았어요. (잡았습니다.) 상황 종료됐습니다."
다리 위에서 출동한 경찰에 인계되는 걸 보고 나서야 발길을 돌립니다.
<인터뷰> 허정옥(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저희가 영상을 보고 나가는 경우도 있고 생명의 전화로 상담사가 (투신자랑) 통화할 때119로 통보해서 저희가 출동을 나가는 거죠."
제때 도착해도 투신자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헤매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취> "천천히 가봐. 밑에도 잘 봐봐. 조금만 나가 보자."
<인터뷰> 강병식(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혹시나 뛰어서 (강물 따라) 흐를까봐. 저희가 수색을 또 양쪽으로 다 해야 하거든요."
투신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골든타임 안에 구조해야 생존율이 높아지는데요.
물에 빠진 직후 곧바로 구조한 이 남학생은 큰 부상 없이 직접 걸어가 구급차에 탔습니다.
<인터뷰> 이건태(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물에 떠 있는 시간과 가라앉는 그런 평균적으로 봤을 때 2~3분 안에 현장에 가야(구조할 수 있거든요.) 가장 빠르게 도착하는 게 제일 중요한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수난구조대의 활약으로 투신자 70%가 무사히 구조됐지만- 마음은 늘 무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신민철(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굉장히 안타깝고요. 어떻게 한편으로는 도움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죄송스럽기도 하고요. 마음이 좀 무겁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수난구조대원들.
오늘도 마지막 선택을 하려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24시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발적 죽음을 선택한 자들을 만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난구조대 대원들인데요.
자살 명소라고 불리는 마포대교를 전담하며 투신자 신고 60% 이상을 소화하는 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의 24시를 <뉴스집중>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리 난간에 매달려 있던 남성이 아래로 떨어집니다.
물에 빠진 남성을 구하러 다가오는 배 한 척, 여의도 수난구조대 고속선입니다.
<녹취> "머리 보인다, 머리. 잠깐 대기. 오케이 입수."
투신자를 구하기 위해 물속에 몸을 던지는 구조대원들, 잠시 뒤, 구조에 성공합니다.
<녹취> "정신 차려봐요. 아저씨, 아저씨. 정신 차려!"
체온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한 응급 마사지를 시작하는데요.
<녹취> "좀만 기다려요. (구급차) 왔으니까."
가까스로 정신을 차린 남성을 구급대원에게 인계하고 나서야 한숨을 돌립니다.
<녹취> "동부이촌동 6-7 여의도 수난구조, 여의도 수난구조대."
휴식도 잠시, 출동 신호가 울리면 30초 안에 고속선으로 이동해야 하는데요.
투신 직전 다리 위에서 한 남성이 상담 전화인 '생명의 전화'를 걸었습니다.
<녹취> "현재 그 첫 번째 생명의 전화 옆에 전화기 옆에 있는 상태(에요.)"
혹여나 뛰어내릴까 온 신경을 집중하는데요. 그때,
<녹취> "잡았다. 잡았어요. (잡았습니다.) 상황 종료됐습니다."
다리 위에서 출동한 경찰에 인계되는 걸 보고 나서야 발길을 돌립니다.
<인터뷰> 허정옥(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저희가 영상을 보고 나가는 경우도 있고 생명의 전화로 상담사가 (투신자랑) 통화할 때119로 통보해서 저희가 출동을 나가는 거죠."
제때 도착해도 투신자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헤매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취> "천천히 가봐. 밑에도 잘 봐봐. 조금만 나가 보자."
<인터뷰> 강병식(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혹시나 뛰어서 (강물 따라) 흐를까봐. 저희가 수색을 또 양쪽으로 다 해야 하거든요."
투신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골든타임 안에 구조해야 생존율이 높아지는데요.
물에 빠진 직후 곧바로 구조한 이 남학생은 큰 부상 없이 직접 걸어가 구급차에 탔습니다.
<인터뷰> 이건태(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물에 떠 있는 시간과 가라앉는 그런 평균적으로 봤을 때 2~3분 안에 현장에 가야(구조할 수 있거든요.) 가장 빠르게 도착하는 게 제일 중요한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수난구조대의 활약으로 투신자 70%가 무사히 구조됐지만- 마음은 늘 무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신민철(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굉장히 안타깝고요. 어떻게 한편으로는 도움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죄송스럽기도 하고요. 마음이 좀 무겁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수난구조대원들.
오늘도 마지막 선택을 하려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24시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 현장] 골든타임 안에 구조하라!…수난구조대
-
- 입력 2016-09-20 16:20:48
- 수정2016-09-20 17:01:58

<앵커 멘트>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발적 죽음을 선택한 자들을 만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난구조대 대원들인데요.
자살 명소라고 불리는 마포대교를 전담하며 투신자 신고 60% 이상을 소화하는 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의 24시를 <뉴스집중>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리 난간에 매달려 있던 남성이 아래로 떨어집니다.
물에 빠진 남성을 구하러 다가오는 배 한 척, 여의도 수난구조대 고속선입니다.
<녹취> "머리 보인다, 머리. 잠깐 대기. 오케이 입수."
투신자를 구하기 위해 물속에 몸을 던지는 구조대원들, 잠시 뒤, 구조에 성공합니다.
<녹취> "정신 차려봐요. 아저씨, 아저씨. 정신 차려!"
체온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한 응급 마사지를 시작하는데요.
<녹취> "좀만 기다려요. (구급차) 왔으니까."
가까스로 정신을 차린 남성을 구급대원에게 인계하고 나서야 한숨을 돌립니다.
<녹취> "동부이촌동 6-7 여의도 수난구조, 여의도 수난구조대."
휴식도 잠시, 출동 신호가 울리면 30초 안에 고속선으로 이동해야 하는데요.
투신 직전 다리 위에서 한 남성이 상담 전화인 '생명의 전화'를 걸었습니다.
<녹취> "현재 그 첫 번째 생명의 전화 옆에 전화기 옆에 있는 상태(에요.)"
혹여나 뛰어내릴까 온 신경을 집중하는데요. 그때,
<녹취> "잡았다. 잡았어요. (잡았습니다.) 상황 종료됐습니다."
다리 위에서 출동한 경찰에 인계되는 걸 보고 나서야 발길을 돌립니다.
<인터뷰> 허정옥(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저희가 영상을 보고 나가는 경우도 있고 생명의 전화로 상담사가 (투신자랑) 통화할 때119로 통보해서 저희가 출동을 나가는 거죠."
제때 도착해도 투신자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헤매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취> "천천히 가봐. 밑에도 잘 봐봐. 조금만 나가 보자."
<인터뷰> 강병식(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혹시나 뛰어서 (강물 따라) 흐를까봐. 저희가 수색을 또 양쪽으로 다 해야 하거든요."
투신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골든타임 안에 구조해야 생존율이 높아지는데요.
물에 빠진 직후 곧바로 구조한 이 남학생은 큰 부상 없이 직접 걸어가 구급차에 탔습니다.
<인터뷰> 이건태(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물에 떠 있는 시간과 가라앉는 그런 평균적으로 봤을 때 2~3분 안에 현장에 가야(구조할 수 있거든요.) 가장 빠르게 도착하는 게 제일 중요한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수난구조대의 활약으로 투신자 70%가 무사히 구조됐지만- 마음은 늘 무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신민철(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굉장히 안타깝고요. 어떻게 한편으로는 도움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죄송스럽기도 하고요. 마음이 좀 무겁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수난구조대원들.
오늘도 마지막 선택을 하려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24시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발적 죽음을 선택한 자들을 만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수난구조대 대원들인데요.
자살 명소라고 불리는 마포대교를 전담하며 투신자 신고 60% 이상을 소화하는 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의 24시를 <뉴스집중>에서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리 난간에 매달려 있던 남성이 아래로 떨어집니다.
물에 빠진 남성을 구하러 다가오는 배 한 척, 여의도 수난구조대 고속선입니다.
<녹취> "머리 보인다, 머리. 잠깐 대기. 오케이 입수."
투신자를 구하기 위해 물속에 몸을 던지는 구조대원들, 잠시 뒤, 구조에 성공합니다.
<녹취> "정신 차려봐요. 아저씨, 아저씨. 정신 차려!"
체온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한 응급 마사지를 시작하는데요.
<녹취> "좀만 기다려요. (구급차) 왔으니까."
가까스로 정신을 차린 남성을 구급대원에게 인계하고 나서야 한숨을 돌립니다.
<녹취> "동부이촌동 6-7 여의도 수난구조, 여의도 수난구조대."
휴식도 잠시, 출동 신호가 울리면 30초 안에 고속선으로 이동해야 하는데요.
투신 직전 다리 위에서 한 남성이 상담 전화인 '생명의 전화'를 걸었습니다.
<녹취> "현재 그 첫 번째 생명의 전화 옆에 전화기 옆에 있는 상태(에요.)"
혹여나 뛰어내릴까 온 신경을 집중하는데요. 그때,
<녹취> "잡았다. 잡았어요. (잡았습니다.) 상황 종료됐습니다."
다리 위에서 출동한 경찰에 인계되는 걸 보고 나서야 발길을 돌립니다.
<인터뷰> 허정옥(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저희가 영상을 보고 나가는 경우도 있고 생명의 전화로 상담사가 (투신자랑) 통화할 때119로 통보해서 저희가 출동을 나가는 거죠."
제때 도착해도 투신자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헤매는 경우도 있습니다.
<녹취> "천천히 가봐. 밑에도 잘 봐봐. 조금만 나가 보자."
<인터뷰> 강병식(여의도수난구조대 팀장) : "혹시나 뛰어서 (강물 따라) 흐를까봐. 저희가 수색을 또 양쪽으로 다 해야 하거든요."
투신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골든타임 안에 구조해야 생존율이 높아지는데요.
물에 빠진 직후 곧바로 구조한 이 남학생은 큰 부상 없이 직접 걸어가 구급차에 탔습니다.
<인터뷰> 이건태(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물에 떠 있는 시간과 가라앉는 그런 평균적으로 봤을 때 2~3분 안에 현장에 가야(구조할 수 있거든요.) 가장 빠르게 도착하는 게 제일 중요한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수난구조대의 활약으로 투신자 70%가 무사히 구조됐지만- 마음은 늘 무겁기만 합니다.
<인터뷰> 신민철(여의도수난구조대 대원) : "굉장히 안타깝고요. 어떻게 한편으로는 도움을 못 드린 것 같아서 죄송스럽기도 하고요. 마음이 좀 무겁죠."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수난구조대원들.
오늘도 마지막 선택을 하려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24시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