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 한약재 ‘등칡’, “수유에 특효” 대량 둔갑
입력 2016.10.04 (07:20)
수정 2016.10.04 (08: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신장 손상과 발암 위험이 높아 10여 년 전부터 유통이 금지된 '등칡'이라는 한약재가 여전히 약재 시장에서 대량 유통되고 있습니다.
특히 모유 수유에 특효가 있다며 산모들에게 주로 팔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독성 한약재가 특효약으로 둔갑한 위험천만한 현장, 정다원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최대 약재 시장인 서울의 경동시장입니다.
한약방에 들어가 모유 수유가 잘 안 된다고 말하자 약재가 든 서랍을 가져옵니다.
<녹취> 한약방 직원(음성변조) : "통초는 그런 용도로 쓰는 약이에요, 젖 잘 돌게 하는 약.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은 하시잖아요. 1년 12달 드셔도 상관이 없는 약재예요."
하지만 직원이 내놓은 건 통초가 아닌 등칡 줄기.
2005년부터 유통과 사용이 전면 금지된 약재입니다.
인근의 또 다른 약재상에 들렀습니다.
역시 등칡을 통초라며 팔고 있습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통초 이런 게 젖 돌게 하는데, 보리차처럼 끓여 드셔도 돼요."
속이 하얀 통초와 달리 등칡은 일반 나무줄기 형태로 생김새부터 확연히 다르지만, 일부는 값이 싸다는 이유로 일부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통초로 둔갑돼 팔리는 겁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독한 건 아니에요. 독이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에요. 그런 거면 찾아도 안 드리죠."
식약처 수사팀과 함께 공급업체에 찾아가 봤습니다.
<녹취> "식약처에서 나왔습니다."
상자를 뜯어 보니, 통초로 둔갑된 등칡 제품 수십 개가 쏟아져 나옵니다.
<녹취> '등칡' 공급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감별하거나 그런 분 계세요?) 없죠. 수매상이 갖고 와서 통초라고 하면 통초라고 팔고, 당귀라고 하면 당귀로 팔고. 우리가 진짜, 가짜까지는 구분을 못 하죠."
국내에서 등칡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킨 사람은 확인된 경우만 16명.
이미 수차례 재판 결과까지 나와 유해성이 입증된 뒤에도 여전히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다원입니다.
신장 손상과 발암 위험이 높아 10여 년 전부터 유통이 금지된 '등칡'이라는 한약재가 여전히 약재 시장에서 대량 유통되고 있습니다.
특히 모유 수유에 특효가 있다며 산모들에게 주로 팔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독성 한약재가 특효약으로 둔갑한 위험천만한 현장, 정다원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최대 약재 시장인 서울의 경동시장입니다.
한약방에 들어가 모유 수유가 잘 안 된다고 말하자 약재가 든 서랍을 가져옵니다.
<녹취> 한약방 직원(음성변조) : "통초는 그런 용도로 쓰는 약이에요, 젖 잘 돌게 하는 약.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은 하시잖아요. 1년 12달 드셔도 상관이 없는 약재예요."
하지만 직원이 내놓은 건 통초가 아닌 등칡 줄기.
2005년부터 유통과 사용이 전면 금지된 약재입니다.
인근의 또 다른 약재상에 들렀습니다.
역시 등칡을 통초라며 팔고 있습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통초 이런 게 젖 돌게 하는데, 보리차처럼 끓여 드셔도 돼요."
속이 하얀 통초와 달리 등칡은 일반 나무줄기 형태로 생김새부터 확연히 다르지만, 일부는 값이 싸다는 이유로 일부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통초로 둔갑돼 팔리는 겁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독한 건 아니에요. 독이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에요. 그런 거면 찾아도 안 드리죠."
식약처 수사팀과 함께 공급업체에 찾아가 봤습니다.
<녹취> "식약처에서 나왔습니다."
상자를 뜯어 보니, 통초로 둔갑된 등칡 제품 수십 개가 쏟아져 나옵니다.
<녹취> '등칡' 공급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감별하거나 그런 분 계세요?) 없죠. 수매상이 갖고 와서 통초라고 하면 통초라고 팔고, 당귀라고 하면 당귀로 팔고. 우리가 진짜, 가짜까지는 구분을 못 하죠."
국내에서 등칡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킨 사람은 확인된 경우만 16명.
이미 수차례 재판 결과까지 나와 유해성이 입증된 뒤에도 여전히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다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발암 한약재 ‘등칡’, “수유에 특효” 대량 둔갑
-
- 입력 2016-10-04 07:23:30
- 수정2016-10-04 08:17:40
<앵커 멘트>
신장 손상과 발암 위험이 높아 10여 년 전부터 유통이 금지된 '등칡'이라는 한약재가 여전히 약재 시장에서 대량 유통되고 있습니다.
특히 모유 수유에 특효가 있다며 산모들에게 주로 팔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독성 한약재가 특효약으로 둔갑한 위험천만한 현장, 정다원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최대 약재 시장인 서울의 경동시장입니다.
한약방에 들어가 모유 수유가 잘 안 된다고 말하자 약재가 든 서랍을 가져옵니다.
<녹취> 한약방 직원(음성변조) : "통초는 그런 용도로 쓰는 약이에요, 젖 잘 돌게 하는 약.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은 하시잖아요. 1년 12달 드셔도 상관이 없는 약재예요."
하지만 직원이 내놓은 건 통초가 아닌 등칡 줄기.
2005년부터 유통과 사용이 전면 금지된 약재입니다.
인근의 또 다른 약재상에 들렀습니다.
역시 등칡을 통초라며 팔고 있습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통초 이런 게 젖 돌게 하는데, 보리차처럼 끓여 드셔도 돼요."
속이 하얀 통초와 달리 등칡은 일반 나무줄기 형태로 생김새부터 확연히 다르지만, 일부는 값이 싸다는 이유로 일부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통초로 둔갑돼 팔리는 겁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독한 건 아니에요. 독이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에요. 그런 거면 찾아도 안 드리죠."
식약처 수사팀과 함께 공급업체에 찾아가 봤습니다.
<녹취> "식약처에서 나왔습니다."
상자를 뜯어 보니, 통초로 둔갑된 등칡 제품 수십 개가 쏟아져 나옵니다.
<녹취> '등칡' 공급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감별하거나 그런 분 계세요?) 없죠. 수매상이 갖고 와서 통초라고 하면 통초라고 팔고, 당귀라고 하면 당귀로 팔고. 우리가 진짜, 가짜까지는 구분을 못 하죠."
국내에서 등칡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킨 사람은 확인된 경우만 16명.
이미 수차례 재판 결과까지 나와 유해성이 입증된 뒤에도 여전히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다원입니다.
신장 손상과 발암 위험이 높아 10여 년 전부터 유통이 금지된 '등칡'이라는 한약재가 여전히 약재 시장에서 대량 유통되고 있습니다.
특히 모유 수유에 특효가 있다며 산모들에게 주로 팔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독성 한약재가 특효약으로 둔갑한 위험천만한 현장, 정다원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최대 약재 시장인 서울의 경동시장입니다.
한약방에 들어가 모유 수유가 잘 안 된다고 말하자 약재가 든 서랍을 가져옵니다.
<녹취> 한약방 직원(음성변조) : "통초는 그런 용도로 쓰는 약이에요, 젖 잘 돌게 하는 약.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은 하시잖아요. 1년 12달 드셔도 상관이 없는 약재예요."
하지만 직원이 내놓은 건 통초가 아닌 등칡 줄기.
2005년부터 유통과 사용이 전면 금지된 약재입니다.
인근의 또 다른 약재상에 들렀습니다.
역시 등칡을 통초라며 팔고 있습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통초 이런 게 젖 돌게 하는데, 보리차처럼 끓여 드셔도 돼요."
속이 하얀 통초와 달리 등칡은 일반 나무줄기 형태로 생김새부터 확연히 다르지만, 일부는 값이 싸다는 이유로 일부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통초로 둔갑돼 팔리는 겁니다.
<녹취> 한약재 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독한 건 아니에요. 독이 있거나 그런 건 아니에요. 그런 거면 찾아도 안 드리죠."
식약처 수사팀과 함께 공급업체에 찾아가 봤습니다.
<녹취> "식약처에서 나왔습니다."
상자를 뜯어 보니, 통초로 둔갑된 등칡 제품 수십 개가 쏟아져 나옵니다.
<녹취> '등칡' 공급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따로 감별하거나 그런 분 계세요?) 없죠. 수매상이 갖고 와서 통초라고 하면 통초라고 팔고, 당귀라고 하면 당귀로 팔고. 우리가 진짜, 가짜까지는 구분을 못 하죠."
국내에서 등칡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킨 사람은 확인된 경우만 16명.
이미 수차례 재판 결과까지 나와 유해성이 입증된 뒤에도 여전히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다원입니다.
-
-
정다원 기자 mom@kbs.co.kr
정다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