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간 7백 차례 헌혈…“헌혈하면 애국”
입력 2016.10.10 (12:45)
수정 2016.10.10 (1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헌혈자가 급감하면서 혈액 수급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특히 지난달부터는 적십자사의 혈액 보유량이 5일분 아래로 떨어져, 관심과 주의 단계를 오가는 상황이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41년간 무려 7백 차례 넘게 헌혈을 하신 분이 있어 화젭니다.
김진화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63살 황의선 씨가 헌혈의 집을 찾았습니다.
<녹취> "선생님 안녕하세요? 어서 오십시오~"
육군 중사로 근무하던 1975년, 우연히 발견한 헌혈 버스에서 첫 헌혈을 했습니다.
이후 한 달에 1, 2번씩은 꼬박꼬박 헌혈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0형 급구' 이렇게 적혀 있더라고요. 헌혈하면 그 분을 살릴 수 있는 모양이다..."
2009년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감하고 사회로 나온 황 씨, 황 씨는 헌혈을 하면서 더 건강해졌다고 말합니다.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것은 물론 헌혈을 위해 음식도 조심하게 됐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하면 되게 건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느낌을 받았거든요."
헌혈증은 소아암 협회 등에 기증하며 또 한 번의 나눔을 실천합니다.
41년 동안 모두 701번, 성인 남성 63명의 혈액량에 해당하는 피를 나눈 황의선 씨.
헌혈이 애국의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황 씨는 헌혈 정년인 70살까지 헌혈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을 하면 외화를 절약하는 길이 되니까 애국하는 길이 됩니다. 건강이 헌혈하는 데 문제가 없으면 계속 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헌혈자가 급감하면서 혈액 수급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특히 지난달부터는 적십자사의 혈액 보유량이 5일분 아래로 떨어져, 관심과 주의 단계를 오가는 상황이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41년간 무려 7백 차례 넘게 헌혈을 하신 분이 있어 화젭니다.
김진화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63살 황의선 씨가 헌혈의 집을 찾았습니다.
<녹취> "선생님 안녕하세요? 어서 오십시오~"
육군 중사로 근무하던 1975년, 우연히 발견한 헌혈 버스에서 첫 헌혈을 했습니다.
이후 한 달에 1, 2번씩은 꼬박꼬박 헌혈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0형 급구' 이렇게 적혀 있더라고요. 헌혈하면 그 분을 살릴 수 있는 모양이다..."
2009년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감하고 사회로 나온 황 씨, 황 씨는 헌혈을 하면서 더 건강해졌다고 말합니다.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것은 물론 헌혈을 위해 음식도 조심하게 됐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하면 되게 건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느낌을 받았거든요."
헌혈증은 소아암 협회 등에 기증하며 또 한 번의 나눔을 실천합니다.
41년 동안 모두 701번, 성인 남성 63명의 혈액량에 해당하는 피를 나눈 황의선 씨.
헌혈이 애국의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황 씨는 헌혈 정년인 70살까지 헌혈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을 하면 외화를 절약하는 길이 되니까 애국하는 길이 됩니다. 건강이 헌혈하는 데 문제가 없으면 계속 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1년간 7백 차례 헌혈…“헌혈하면 애국”
-
- 입력 2016-10-10 12:47:30
- 수정2016-10-10 13:52:39

<앵커 멘트>
헌혈자가 급감하면서 혈액 수급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특히 지난달부터는 적십자사의 혈액 보유량이 5일분 아래로 떨어져, 관심과 주의 단계를 오가는 상황이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41년간 무려 7백 차례 넘게 헌혈을 하신 분이 있어 화젭니다.
김진화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63살 황의선 씨가 헌혈의 집을 찾았습니다.
<녹취> "선생님 안녕하세요? 어서 오십시오~"
육군 중사로 근무하던 1975년, 우연히 발견한 헌혈 버스에서 첫 헌혈을 했습니다.
이후 한 달에 1, 2번씩은 꼬박꼬박 헌혈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0형 급구' 이렇게 적혀 있더라고요. 헌혈하면 그 분을 살릴 수 있는 모양이다..."
2009년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감하고 사회로 나온 황 씨, 황 씨는 헌혈을 하면서 더 건강해졌다고 말합니다.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것은 물론 헌혈을 위해 음식도 조심하게 됐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하면 되게 건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느낌을 받았거든요."
헌혈증은 소아암 협회 등에 기증하며 또 한 번의 나눔을 실천합니다.
41년 동안 모두 701번, 성인 남성 63명의 혈액량에 해당하는 피를 나눈 황의선 씨.
헌혈이 애국의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황 씨는 헌혈 정년인 70살까지 헌혈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을 하면 외화를 절약하는 길이 되니까 애국하는 길이 됩니다. 건강이 헌혈하는 데 문제가 없으면 계속 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헌혈자가 급감하면서 혈액 수급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특히 지난달부터는 적십자사의 혈액 보유량이 5일분 아래로 떨어져, 관심과 주의 단계를 오가는 상황이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41년간 무려 7백 차례 넘게 헌혈을 하신 분이 있어 화젭니다.
김진화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63살 황의선 씨가 헌혈의 집을 찾았습니다.
<녹취> "선생님 안녕하세요? 어서 오십시오~"
육군 중사로 근무하던 1975년, 우연히 발견한 헌혈 버스에서 첫 헌혈을 했습니다.
이후 한 달에 1, 2번씩은 꼬박꼬박 헌혈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0형 급구' 이렇게 적혀 있더라고요. 헌혈하면 그 분을 살릴 수 있는 모양이다..."
2009년 36년간의 군 생활을 마감하고 사회로 나온 황 씨, 황 씨는 헌혈을 하면서 더 건강해졌다고 말합니다.
술과 담배를 멀리하는 것은 물론 헌혈을 위해 음식도 조심하게 됐습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하면 되게 건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느낌을 받았거든요."
헌혈증은 소아암 협회 등에 기증하며 또 한 번의 나눔을 실천합니다.
41년 동안 모두 701번, 성인 남성 63명의 혈액량에 해당하는 피를 나눈 황의선 씨.
헌혈이 애국의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황 씨는 헌혈 정년인 70살까지 헌혈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녹취> 황의선(63세/701회 헌혈자) : "헌혈을 하면 외화를 절약하는 길이 되니까 애국하는 길이 됩니다. 건강이 헌혈하는 데 문제가 없으면 계속 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