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오늘(21일) 통일부의 탈북민 정착지원 정책은 사회통합형으로 간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통일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이 어떻게 잘 정착해서 살 수 있게 만들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또 "'사회통합', '자립·자족' 얘기하지만, 지원에 너무 매몰돼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든다"며 "계속 사람들을 만나면서 개선방향을 생각했고, 이번에 대통령의 말씀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정책을 만들어서 준비되면 여러분께 말씀을 드릴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다음 달 중순 탈북민 3만 명 돌파를 계기로 탈북민 정착지원 개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비핵화라는 문제를 북한이 지금 거부한다고 얘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람은 없고, 인권문제도 북한이 당장 며칠 전에 반박 성명을 내고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우리가 남북관계를 고려해 회피하거나 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홍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통일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이 어떻게 잘 정착해서 살 수 있게 만들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또 "'사회통합', '자립·자족' 얘기하지만, 지원에 너무 매몰돼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든다"며 "계속 사람들을 만나면서 개선방향을 생각했고, 이번에 대통령의 말씀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정책을 만들어서 준비되면 여러분께 말씀을 드릴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다음 달 중순 탈북민 3만 명 돌파를 계기로 탈북민 정착지원 개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비핵화라는 문제를 북한이 지금 거부한다고 얘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람은 없고, 인권문제도 북한이 당장 며칠 전에 반박 성명을 내고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우리가 남북관계를 고려해 회피하거나 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용표 “탈북민 정착지원 정책 ‘사회통합형’으로”
-
- 입력 2016-10-21 17:49:34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오늘(21일) 통일부의 탈북민 정착지원 정책은 사회통합형으로 간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통일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이 어떻게 잘 정착해서 살 수 있게 만들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또 "'사회통합', '자립·자족' 얘기하지만, 지원에 너무 매몰돼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든다"며 "계속 사람들을 만나면서 개선방향을 생각했고, 이번에 대통령의 말씀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정책을 만들어서 준비되면 여러분께 말씀을 드릴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다음 달 중순 탈북민 3만 명 돌파를 계기로 탈북민 정착지원 개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비핵화라는 문제를 북한이 지금 거부한다고 얘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람은 없고, 인권문제도 북한이 당장 며칠 전에 반박 성명을 내고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우리가 남북관계를 고려해 회피하거나 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홍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통일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탈북민들이 어떻게 잘 정착해서 살 수 있게 만들 것인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또 "'사회통합', '자립·자족' 얘기하지만, 지원에 너무 매몰돼 있지 않았느냐는 생각이 든다"며 "계속 사람들을 만나면서 개선방향을 생각했고, 이번에 대통령의 말씀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정책을 만들어서 준비되면 여러분께 말씀을 드릴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다음 달 중순 탈북민 3만 명 돌파를 계기로 탈북민 정착지원 개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홍 장관은 그러면서 "비핵화라는 문제를 북한이 지금 거부한다고 얘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람은 없고, 인권문제도 북한이 당장 며칠 전에 반박 성명을 내고 하지만, 그런다고 해서 우리가 남북관계를 고려해 회피하거나 할 문제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