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웃음 끊이지 않는 시골 학교의 기적
입력 2016.10.21 (21:40)
수정 2016.10.21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의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인데요.
자연 환경을 통해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 해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의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인데요.
자연 환경을 통해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 해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이 웃음 끊이지 않는 시골 학교의 기적
-
- 입력 2016-10-21 21:44:49
- 수정2016-10-21 21:59:20

<앵커 멘트>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의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인데요.
자연 환경을 통해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 해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의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인데요.
자연 환경을 통해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 해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