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화재 갈수록 증가…소화기 갖춰야

입력 2016.10.23 (07:19) 수정 2016.10.23 (09: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안녕하세요?

KBS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열흘 전 많은 사상자를 낸 울산 관광버스 화재 사고 때 소화기를 제대로 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차량 화재 사고는 갈수록 늘고 있지만 차량에 소화기가 없거나 사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중앙분리대에 부딪쳐 불이 난 고속버스,

승객들은 창문을 깨고 탈출했지만 소화기가 없어 큰 인명 피해가 날 뻔했습니다.

지난해 경우 차량 화재로 인한 사상자는 모두 138명, 2011년보다 40% 가량 늘었습니다.

절반 이상이 승용차 화재였습니다.

하지만 승용차 안에 차량용 소화기를 가지고 다니는 운전자는 많지 않습니다.

<인터뷰> 승용차 운전자 : "소화기가 필요한지도 잘 몰랐거든요. 있는 줄 알았는데 확인해보니 없네요."

지난 13일 경부고속도로에서의 관광버스 화재 사고,

이번엔 버스 안에 소화기가 있었지만 불을 끄는데 쓰진 못했습니다.

<인터뷰> 최익수(울주경찰서장) : "유리창을 깨고 그쪽으로 사람들도 나가고 자기도 나갔다... 소화기를 들고 유리창을 깼다고..."

안전핀을 뽑고 호스를 잡은 뒤 손잡이를 움켜쥐는 간단한 순서지만 불이 나 당황하게 되면 단순한 작동법도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용성(부산소방본부 안전교관) :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 절대 안전핀이 뽑히지 않습니다. 항상 소화기를 바닥에 놓고 몸통을 잡은 뒤 안전핀을 강하게 잡아당기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차량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해선 반드시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평소에 사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차량 화재 갈수록 증가…소화기 갖춰야
    • 입력 2016-10-23 07:21:15
    • 수정2016-10-23 09:24:10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멘트>

안녕하세요?

KBS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열흘 전 많은 사상자를 낸 울산 관광버스 화재 사고 때 소화기를 제대로 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차량 화재 사고는 갈수록 늘고 있지만 차량에 소화기가 없거나 사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정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중앙분리대에 부딪쳐 불이 난 고속버스,

승객들은 창문을 깨고 탈출했지만 소화기가 없어 큰 인명 피해가 날 뻔했습니다.

지난해 경우 차량 화재로 인한 사상자는 모두 138명, 2011년보다 40% 가량 늘었습니다.

절반 이상이 승용차 화재였습니다.

하지만 승용차 안에 차량용 소화기를 가지고 다니는 운전자는 많지 않습니다.

<인터뷰> 승용차 운전자 : "소화기가 필요한지도 잘 몰랐거든요. 있는 줄 알았는데 확인해보니 없네요."

지난 13일 경부고속도로에서의 관광버스 화재 사고,

이번엔 버스 안에 소화기가 있었지만 불을 끄는데 쓰진 못했습니다.

<인터뷰> 최익수(울주경찰서장) : "유리창을 깨고 그쪽으로 사람들도 나가고 자기도 나갔다... 소화기를 들고 유리창을 깼다고..."

안전핀을 뽑고 호스를 잡은 뒤 손잡이를 움켜쥐는 간단한 순서지만 불이 나 당황하게 되면 단순한 작동법도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용성(부산소방본부 안전교관) :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 절대 안전핀이 뽑히지 않습니다. 항상 소화기를 바닥에 놓고 몸통을 잡은 뒤 안전핀을 강하게 잡아당기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차량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해선 반드시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평소에 사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