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국인 살기 어려운 나라로 변화…2년새 31계단 ↓”
입력 2016.10.23 (17:32)
수정 2016.10.23 (1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외국인이 거주하기 어려운 국가로 변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HSBC가 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외국인이 살기 좋은 나라' 34위로 뽑혔다.
2014년 34개국 중 3위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2년 새 31계단 추락했다.
중국은 전 세계 외국인 거주자를 지원하는 단체 '인터네이션스(InterNations)'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57개국 가운데 48위를 기록, 61개국 중 38위였던 2014년보다 순위가 밀렸다고 SCMP가 전했다.
인터네이션스의 말테 지크 설립자는 중국의 순위 하락이 삶의 질과 가족생활 수준 하락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 도시의 생활비가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전문 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존 코프스테이크 전 세계 생활비 보고서 편집장은 중국 상하이(上海)의 생활비 부문 순위가 2011년 세계 102위에서 현재 11위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달부터 일부 지역의 외국인에게 적용된 취업비자에 경력과 언어 능력, 교육 등에 따라 A, B, C 등급을 표시하는 등 외국인에 대한 중국 당국의 처우도 악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9년간 거주한 뉴질랜드인 마르셀 오스틴-마틴 씨는 비자 정책 강화 등 움직임은 외국인의 삶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00년대 중반 중국에 온 미국인 기업 임원 밥 퍼나우 씨는 외국인 거주자의 황금시대가 갔다며 기업들이 경제 성장세 둔화로 경비 감축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거주자가 고위직을 차지할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HSBC가 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외국인이 살기 좋은 나라' 34위로 뽑혔다.
2014년 34개국 중 3위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2년 새 31계단 추락했다.
중국은 전 세계 외국인 거주자를 지원하는 단체 '인터네이션스(InterNations)'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57개국 가운데 48위를 기록, 61개국 중 38위였던 2014년보다 순위가 밀렸다고 SCMP가 전했다.
인터네이션스의 말테 지크 설립자는 중국의 순위 하락이 삶의 질과 가족생활 수준 하락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 도시의 생활비가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전문 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존 코프스테이크 전 세계 생활비 보고서 편집장은 중국 상하이(上海)의 생활비 부문 순위가 2011년 세계 102위에서 현재 11위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달부터 일부 지역의 외국인에게 적용된 취업비자에 경력과 언어 능력, 교육 등에 따라 A, B, C 등급을 표시하는 등 외국인에 대한 중국 당국의 처우도 악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9년간 거주한 뉴질랜드인 마르셀 오스틴-마틴 씨는 비자 정책 강화 등 움직임은 외국인의 삶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00년대 중반 중국에 온 미국인 기업 임원 밥 퍼나우 씨는 외국인 거주자의 황금시대가 갔다며 기업들이 경제 성장세 둔화로 경비 감축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거주자가 고위직을 차지할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외국인 살기 어려운 나라로 변화…2년새 31계단 ↓”
-
- 입력 2016-10-23 17:32:15
- 수정2016-10-23 17:54:44
중국이 외국인이 거주하기 어려운 국가로 변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HSBC가 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외국인이 살기 좋은 나라' 34위로 뽑혔다.
2014년 34개국 중 3위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2년 새 31계단 추락했다.
중국은 전 세계 외국인 거주자를 지원하는 단체 '인터네이션스(InterNations)'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57개국 가운데 48위를 기록, 61개국 중 38위였던 2014년보다 순위가 밀렸다고 SCMP가 전했다.
인터네이션스의 말테 지크 설립자는 중국의 순위 하락이 삶의 질과 가족생활 수준 하락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 도시의 생활비가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전문 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존 코프스테이크 전 세계 생활비 보고서 편집장은 중국 상하이(上海)의 생활비 부문 순위가 2011년 세계 102위에서 현재 11위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달부터 일부 지역의 외국인에게 적용된 취업비자에 경력과 언어 능력, 교육 등에 따라 A, B, C 등급을 표시하는 등 외국인에 대한 중국 당국의 처우도 악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9년간 거주한 뉴질랜드인 마르셀 오스틴-마틴 씨는 비자 정책 강화 등 움직임은 외국인의 삶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00년대 중반 중국에 온 미국인 기업 임원 밥 퍼나우 씨는 외국인 거주자의 황금시대가 갔다며 기업들이 경제 성장세 둔화로 경비 감축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거주자가 고위직을 차지할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2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HSBC가 45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외국인이 살기 좋은 나라' 34위로 뽑혔다.
2014년 34개국 중 3위를 차지했던 것에 비해 2년 새 31계단 추락했다.
중국은 전 세계 외국인 거주자를 지원하는 단체 '인터네이션스(InterNations)'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57개국 가운데 48위를 기록, 61개국 중 38위였던 2014년보다 순위가 밀렸다고 SCMP가 전했다.
인터네이션스의 말테 지크 설립자는 중국의 순위 하락이 삶의 질과 가족생활 수준 하락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 도시의 생활비가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전문 조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존 코프스테이크 전 세계 생활비 보고서 편집장은 중국 상하이(上海)의 생활비 부문 순위가 2011년 세계 102위에서 현재 11위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달부터 일부 지역의 외국인에게 적용된 취업비자에 경력과 언어 능력, 교육 등에 따라 A, B, C 등급을 표시하는 등 외국인에 대한 중국 당국의 처우도 악화되고 있다.
중국에서 9년간 거주한 뉴질랜드인 마르셀 오스틴-마틴 씨는 비자 정책 강화 등 움직임은 외국인의 삶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2000년대 중반 중국에 온 미국인 기업 임원 밥 퍼나우 씨는 외국인 거주자의 황금시대가 갔다며 기업들이 경제 성장세 둔화로 경비 감축을 추진하면서 외국인 거주자가 고위직을 차지할 기회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
-
양영은 기자 yeyang@kbs.co.kr
양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