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첫 위안부 소녀상…세계유산 등재 추진
입력 2016.10.23 (19:04)
수정 2016.10.23 (22: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에도 처음으로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이번 일을 성사시킨 한중 양국의 사회단체와 학계는 앞으로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장대비 속에 나란히 앉은 한국과 중국의 소녀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제막식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연신 소녀상의 빗물을 닦아냅니다.
<녹취>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중국 친구하고 있으니 얼마나 좋아. 외롭지 않겠어."
중국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로는 미국과 캐나다, 호주에 이어 네번째입니다.
중국의 첫 위안부 박물관도 문을 열었습니다.
각종 위안부 관련 사료와 피해자들의 유물 등을 모아둔 역사교육의 현장입니다.
<인터뷰>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교훈이 되고, 또 역사를 가르쳐서 반드시 (위안부)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양국 민간단체와 학계는 위안부 자료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분담금을 빌미로 등재 저지에 나선 일본 측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쑤즈량(교수/중국 위안부 권위자) : "내년 가을쯤에 유네스코 관련 위원회의 투표가 진행되도록 해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결정할 겁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첫 소녀상 건립에 즉각 유감과 우려의 뜻을 표명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중국에도 처음으로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이번 일을 성사시킨 한중 양국의 사회단체와 학계는 앞으로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장대비 속에 나란히 앉은 한국과 중국의 소녀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제막식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연신 소녀상의 빗물을 닦아냅니다.
<녹취>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중국 친구하고 있으니 얼마나 좋아. 외롭지 않겠어."
중국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로는 미국과 캐나다, 호주에 이어 네번째입니다.
중국의 첫 위안부 박물관도 문을 열었습니다.
각종 위안부 관련 사료와 피해자들의 유물 등을 모아둔 역사교육의 현장입니다.
<인터뷰>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교훈이 되고, 또 역사를 가르쳐서 반드시 (위안부)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양국 민간단체와 학계는 위안부 자료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분담금을 빌미로 등재 저지에 나선 일본 측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쑤즈량(교수/중국 위안부 권위자) : "내년 가을쯤에 유네스코 관련 위원회의 투표가 진행되도록 해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결정할 겁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첫 소녀상 건립에 즉각 유감과 우려의 뜻을 표명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에 첫 위안부 소녀상…세계유산 등재 추진
-
- 입력 2016-10-23 19:06:04
- 수정2016-10-23 22:31:07
<앵커 멘트>
중국에도 처음으로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이번 일을 성사시킨 한중 양국의 사회단체와 학계는 앞으로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장대비 속에 나란히 앉은 한국과 중국의 소녀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제막식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연신 소녀상의 빗물을 닦아냅니다.
<녹취>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중국 친구하고 있으니 얼마나 좋아. 외롭지 않겠어."
중국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로는 미국과 캐나다, 호주에 이어 네번째입니다.
중국의 첫 위안부 박물관도 문을 열었습니다.
각종 위안부 관련 사료와 피해자들의 유물 등을 모아둔 역사교육의 현장입니다.
<인터뷰>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교훈이 되고, 또 역사를 가르쳐서 반드시 (위안부)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양국 민간단체와 학계는 위안부 자료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분담금을 빌미로 등재 저지에 나선 일본 측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쑤즈량(교수/중국 위안부 권위자) : "내년 가을쯤에 유네스코 관련 위원회의 투표가 진행되도록 해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결정할 겁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첫 소녀상 건립에 즉각 유감과 우려의 뜻을 표명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중국에도 처음으로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이번 일을 성사시킨 한중 양국의 사회단체와 학계는 앞으로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상하이에서 김태욱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장대비 속에 나란히 앉은 한국과 중국의 소녀상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제막식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연신 소녀상의 빗물을 닦아냅니다.
<녹취>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중국 친구하고 있으니 얼마나 좋아. 외롭지 않겠어."
중국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로는 미국과 캐나다, 호주에 이어 네번째입니다.
중국의 첫 위안부 박물관도 문을 열었습니다.
각종 위안부 관련 사료와 피해자들의 유물 등을 모아둔 역사교육의 현장입니다.
<인터뷰> 이용수(할머니/위안부 피해자) : "교훈이 되고, 또 역사를 가르쳐서 반드시 (위안부)문제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양국 민간단체와 학계는 위안부 자료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분담금을 빌미로 등재 저지에 나선 일본 측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쑤즈량(교수/중국 위안부 권위자) : "내년 가을쯤에 유네스코 관련 위원회의 투표가 진행되도록 해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결정할 겁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첫 소녀상 건립에 즉각 유감과 우려의 뜻을 표명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
김태욱 기자 twkim@kbs.co.kr
김태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