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정릉천고가 결함은 ‘강연선 부식’ 때문”
입력 2016.10.27 (10:03)
수정 2016.10.27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2월 중대결함이 발견돼 긴급 통제됐던 내부순환로 정릉천고가의 텐던(15개의 강연선이 묶인 하나의 케이블) 파손 원인은 '수분에 의한 강연선 부식' 때문이었고, 부식은 설계·시공·유지관리 등 여러 요인들이 한데 겹치며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정릉천고가에 대한 8개월간의 원인조사를 마무리하고, 이 같은 내용의 최종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시는 강연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관 안에 채워넣는 그라우트(물·시멘트·혼화제를 섞어서 만든 내부 충전재)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수 일부가 분리돼 표면에 뜨면서 노출된 강연선에 부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라우트를 주입할 때 만든 공기배출구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염화물을 함유한 외부의 물이 침투하면서 부식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이러한 결함이 설계와 시공, 유지 등 많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한꺼번에 겹쳐지면서 생겨났다고 밝혔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물이 스며들기 쉬운 완만한 경사로 만들어졌고, 시공할 때도 그라우트의 물과 시멘트 비율이 기준치보다 높아 충전재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그라우트의 품질에 관한 세부 규정도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정릉천고가는 준공 이후 9차례의 안전점검을 받았지만, 텐던에 대한 유지관리 지침이 없어 텐던 내부에 대한 조사와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릉천고가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교량과 달리, 하중이 발생할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리 텐던을 넣는 방식의 PSC 공법으로 지난 1999년 지어졌다. PSC 공법은 1990년대 초 국내에 도입됐는데,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PSC 교량의 텐던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겨 관련 연구를 시작한 상황이었다.
시는 서울 시내 PSC 공법으로 지어진 교량 14곳(홍제천고가, 올림픽대교, 원효대교 등)에 대한 특별 정밀점검 결과 중대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 안에 PSC 교량 안전점검 매뉴얼을 작성해 시행하고, 전문 관리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정릉천고가에 대한 8개월간의 원인조사를 마무리하고, 이 같은 내용의 최종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시는 강연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관 안에 채워넣는 그라우트(물·시멘트·혼화제를 섞어서 만든 내부 충전재)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수 일부가 분리돼 표면에 뜨면서 노출된 강연선에 부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라우트를 주입할 때 만든 공기배출구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염화물을 함유한 외부의 물이 침투하면서 부식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이러한 결함이 설계와 시공, 유지 등 많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한꺼번에 겹쳐지면서 생겨났다고 밝혔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물이 스며들기 쉬운 완만한 경사로 만들어졌고, 시공할 때도 그라우트의 물과 시멘트 비율이 기준치보다 높아 충전재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그라우트의 품질에 관한 세부 규정도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정릉천고가는 준공 이후 9차례의 안전점검을 받았지만, 텐던에 대한 유지관리 지침이 없어 텐던 내부에 대한 조사와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릉천고가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교량과 달리, 하중이 발생할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리 텐던을 넣는 방식의 PSC 공법으로 지난 1999년 지어졌다. PSC 공법은 1990년대 초 국내에 도입됐는데,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PSC 교량의 텐던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겨 관련 연구를 시작한 상황이었다.
시는 서울 시내 PSC 공법으로 지어진 교량 14곳(홍제천고가, 올림픽대교, 원효대교 등)에 대한 특별 정밀점검 결과 중대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 안에 PSC 교량 안전점검 매뉴얼을 작성해 시행하고, 전문 관리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정릉천고가 결함은 ‘강연선 부식’ 때문”
-
- 입력 2016-10-27 10:03:16
- 수정2016-10-27 10:34:56

올해 2월 중대결함이 발견돼 긴급 통제됐던 내부순환로 정릉천고가의 텐던(15개의 강연선이 묶인 하나의 케이블) 파손 원인은 '수분에 의한 강연선 부식' 때문이었고, 부식은 설계·시공·유지관리 등 여러 요인들이 한데 겹치며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정릉천고가에 대한 8개월간의 원인조사를 마무리하고, 이 같은 내용의 최종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시는 강연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관 안에 채워넣는 그라우트(물·시멘트·혼화제를 섞어서 만든 내부 충전재)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수 일부가 분리돼 표면에 뜨면서 노출된 강연선에 부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라우트를 주입할 때 만든 공기배출구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염화물을 함유한 외부의 물이 침투하면서 부식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이러한 결함이 설계와 시공, 유지 등 많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한꺼번에 겹쳐지면서 생겨났다고 밝혔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물이 스며들기 쉬운 완만한 경사로 만들어졌고, 시공할 때도 그라우트의 물과 시멘트 비율이 기준치보다 높아 충전재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그라우트의 품질에 관한 세부 규정도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정릉천고가는 준공 이후 9차례의 안전점검을 받았지만, 텐던에 대한 유지관리 지침이 없어 텐던 내부에 대한 조사와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릉천고가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교량과 달리, 하중이 발생할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리 텐던을 넣는 방식의 PSC 공법으로 지난 1999년 지어졌다. PSC 공법은 1990년대 초 국내에 도입됐는데,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PSC 교량의 텐던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겨 관련 연구를 시작한 상황이었다.
시는 서울 시내 PSC 공법으로 지어진 교량 14곳(홍제천고가, 올림픽대교, 원효대교 등)에 대한 특별 정밀점검 결과 중대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 안에 PSC 교량 안전점검 매뉴얼을 작성해 시행하고, 전문 관리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정릉천고가에 대한 8개월간의 원인조사를 마무리하고, 이 같은 내용의 최종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시는 강연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관 안에 채워넣는 그라우트(물·시멘트·혼화제를 섞어서 만든 내부 충전재) 충전이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합수 일부가 분리돼 표면에 뜨면서 노출된 강연선에 부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라우트를 주입할 때 만든 공기배출구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아, 염화물을 함유한 외부의 물이 침투하면서 부식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이러한 결함이 설계와 시공, 유지 등 많은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한꺼번에 겹쳐지면서 생겨났다고 밝혔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물이 스며들기 쉬운 완만한 경사로 만들어졌고, 시공할 때도 그라우트의 물과 시멘트 비율이 기준치보다 높아 충전재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그라우트의 품질에 관한 세부 규정도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정릉천고가는 준공 이후 9차례의 안전점검을 받았지만, 텐던에 대한 유지관리 지침이 없어 텐던 내부에 대한 조사와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릉천고가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하중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교량과 달리, 하중이 발생할 부위의 콘크리트에 미리 텐던을 넣는 방식의 PSC 공법으로 지난 1999년 지어졌다. PSC 공법은 1990년대 초 국내에 도입됐는데, 우리보다 앞서 도입한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PSC 교량의 텐던 부식으로 인한 문제점이 생겨 관련 연구를 시작한 상황이었다.
시는 서울 시내 PSC 공법으로 지어진 교량 14곳(홍제천고가, 올림픽대교, 원효대교 등)에 대한 특별 정밀점검 결과 중대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올해 안에 PSC 교량 안전점검 매뉴얼을 작성해 시행하고, 전문 관리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
-
김소영 기자 sos@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