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이후 지구촌 야생 척추동물 58% 감소”
입력 2016.10.27 (13:49)
수정 2016.10.27 (16: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유류, 새,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 지구촌 야생 척추동물이 심각한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는 보고서 '살아있는 지구'를 통해 야생 척추동물이 1970년 이후 종별로 평균적으로 58%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생태와 관련해 상당한 권위를 지닌 이들 단체는 이런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0년에는 3분의 2 정도나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서식지 손실과 야생동물 불법 교역, 오염, 기후 변화 등을 야생동물 감소의 원인으로 꼽았다.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은 호수와 강, 습지에 사는 동물들이다. 민물에 사는 동물은 무려 81%나 감소했다. 댐 건설 등으로 민물 시스템이 파괴됐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밀렵에 시달린 아프리카 코끼리와 남획되고 있는 상어도 많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동물이 매년 2%씩 감소하고 있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20년에는 1970년 대비 67%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27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는 보고서 '살아있는 지구'를 통해 야생 척추동물이 1970년 이후 종별로 평균적으로 58%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생태와 관련해 상당한 권위를 지닌 이들 단체는 이런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0년에는 3분의 2 정도나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서식지 손실과 야생동물 불법 교역, 오염, 기후 변화 등을 야생동물 감소의 원인으로 꼽았다.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은 호수와 강, 습지에 사는 동물들이다. 민물에 사는 동물은 무려 81%나 감소했다. 댐 건설 등으로 민물 시스템이 파괴됐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밀렵에 시달린 아프리카 코끼리와 남획되고 있는 상어도 많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동물이 매년 2%씩 감소하고 있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20년에는 1970년 대비 67%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970년 이후 지구촌 야생 척추동물 58% 감소”
-
- 입력 2016-10-27 13:49:39
- 수정2016-10-27 16:56:59
포유류, 새,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 지구촌 야생 척추동물이 심각한 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는 보고서 '살아있는 지구'를 통해 야생 척추동물이 1970년 이후 종별로 평균적으로 58%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생태와 관련해 상당한 권위를 지닌 이들 단체는 이런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0년에는 3분의 2 정도나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서식지 손실과 야생동물 불법 교역, 오염, 기후 변화 등을 야생동물 감소의 원인으로 꼽았다.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은 호수와 강, 습지에 사는 동물들이다. 민물에 사는 동물은 무려 81%나 감소했다. 댐 건설 등으로 민물 시스템이 파괴됐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밀렵에 시달린 아프리카 코끼리와 남획되고 있는 상어도 많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동물이 매년 2%씩 감소하고 있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20년에는 1970년 대비 67%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27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는 보고서 '살아있는 지구'를 통해 야생 척추동물이 1970년 이후 종별로 평균적으로 58%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 생태와 관련해 상당한 권위를 지닌 이들 단체는 이런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0년에는 3분의 2 정도나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서식지 손실과 야생동물 불법 교역, 오염, 기후 변화 등을 야생동물 감소의 원인으로 꼽았다.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은 호수와 강, 습지에 사는 동물들이다. 민물에 사는 동물은 무려 81%나 감소했다. 댐 건설 등으로 민물 시스템이 파괴됐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밀렵에 시달린 아프리카 코끼리와 남획되고 있는 상어도 많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동물이 매년 2%씩 감소하고 있으며,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20년에는 1970년 대비 67%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