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9월에 中서 쌀 대거 수입…김정은 집권 후 최대”
입력 2016.11.03 (09:01)
수정 2016.11.03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 9월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 월간 단위로는 가장 많은 양의 중국산 쌀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방송이 오늘(3일) 보도했다.
북한 농업 전문가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이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 9월에 수입한 중국산 곡물은 총 1만8천477톤에 달했다. 이는 전달 수입량 6천954톤보다 약 2.7배, 지난해 같은 기간의 3천158t에 비해 6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곡물 가운데 쌀은 지난 1∼8월 총 수입량 1만4천톤보다 많은 1만6천톤을 9월 한 달에만 수입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월간 중국산 쌀 수입액으로는 가장 많은 규모다.
북한의 이러한 조치는 작년 생산한 쌀 재고가 소진돼가는 상황에서 가격 안정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권태진 원장은 "지금은 쌀 수확 직전이자 쌀 재고가 가장 바닥일 때"라며 "여러 가지 형식을 통해 쌀 수급을 맞추려고 애를 쓰려고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 농업 전문가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이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 9월에 수입한 중국산 곡물은 총 1만8천477톤에 달했다. 이는 전달 수입량 6천954톤보다 약 2.7배, 지난해 같은 기간의 3천158t에 비해 6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곡물 가운데 쌀은 지난 1∼8월 총 수입량 1만4천톤보다 많은 1만6천톤을 9월 한 달에만 수입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월간 중국산 쌀 수입액으로는 가장 많은 규모다.
북한의 이러한 조치는 작년 생산한 쌀 재고가 소진돼가는 상황에서 가격 안정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권태진 원장은 "지금은 쌀 수확 직전이자 쌀 재고가 가장 바닥일 때"라며 "여러 가지 형식을 통해 쌀 수급을 맞추려고 애를 쓰려고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9월에 中서 쌀 대거 수입…김정은 집권 후 최대”
-
- 입력 2016-11-03 09:01:11
- 수정2016-11-03 09:19:07

북한이 지난 9월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 월간 단위로는 가장 많은 양의 중국산 쌀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방송이 오늘(3일) 보도했다.
북한 농업 전문가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이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 9월에 수입한 중국산 곡물은 총 1만8천477톤에 달했다. 이는 전달 수입량 6천954톤보다 약 2.7배, 지난해 같은 기간의 3천158t에 비해 6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곡물 가운데 쌀은 지난 1∼8월 총 수입량 1만4천톤보다 많은 1만6천톤을 9월 한 달에만 수입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월간 중국산 쌀 수입액으로는 가장 많은 규모다.
북한의 이러한 조치는 작년 생산한 쌀 재고가 소진돼가는 상황에서 가격 안정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권태진 원장은 "지금은 쌀 수확 직전이자 쌀 재고가 가장 바닥일 때"라며 "여러 가지 형식을 통해 쌀 수급을 맞추려고 애를 쓰려고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 농업 전문가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이 중국 해관총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 9월에 수입한 중국산 곡물은 총 1만8천477톤에 달했다. 이는 전달 수입량 6천954톤보다 약 2.7배, 지난해 같은 기간의 3천158t에 비해 6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곡물 가운데 쌀은 지난 1∼8월 총 수입량 1만4천톤보다 많은 1만6천톤을 9월 한 달에만 수입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월간 중국산 쌀 수입액으로는 가장 많은 규모다.
북한의 이러한 조치는 작년 생산한 쌀 재고가 소진돼가는 상황에서 가격 안정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권태진 원장은 "지금은 쌀 수확 직전이자 쌀 재고가 가장 바닥일 때"라며 "여러 가지 형식을 통해 쌀 수급을 맞추려고 애를 쓰려고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
고은희 기자 ginger@kbs.co.kr
고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