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황새 습격 사망사…‘늑장 보고’ 도마 위

입력 2016.11.25 (19:21) 수정 2016.11.25 (1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0여 년 만에 인공 복원한 천연기념물, 황새가 야생 동물의 습격을 받아 잇따라 죽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자치단체가 문화재청에 즉각 알려야 하지만 보고는 제때 되지 않았고, 그만큼 대책도 지지부진합니다.

박미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둑해진 저녁, 사육장에 있던 천연기념물 황새가 갑자기 퍼덕입니다.

야생동물의 습격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긴 목을 물린 황새는 뿌리치지 못하고 금세 먹잇감이 됩니다.

CC-TV와 사체 흔적 등을 분석한 연구진은 멸종위기 2급인 삵이 습격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움푹 패인 철창 바닥 틈 사이로 삵이 침입했다는 겁니다.

<인터뷰> 남형규(충남 예산황새공원 선임연구원) : "삵이 침입해서 크게 피하지 못하고 당하지 않았나… (단독장이) 포유류에게 포식당할 때는 취약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고가 난 사육동에서 200m 떨어진 개방형 사육장입니다.

사고 이틀 전에도 이곳에서 황새 한 마리가 야생동물의 습격을 당해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천연기념물 황새가 잇따라 죽었지만, 충남 예산군은 발생 일주일이 지나도록 쉬쉬하다 KBS의 취재가 시작되자 문화재청에 신고했습니다.

관련법상 서면보고는 사고 발생 15일 안에 하도록 돼 있지만 사고 직후 즉각 알리지 않은 것은 상식 이하라고 문화재청은 지적했습니다.

<녹취> 이재순(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 "사실관계를 확인해서 관리 소홀이 있는지 확인하겠습니다."

늑장 보고 탓에 근본적인 피해 방지책 마련도 이제서야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연기념물 황새 습격 사망사…‘늑장 보고’ 도마 위
    • 입력 2016-11-25 19:22:57
    • 수정2016-11-25 19:29:44
    뉴스 7
<앵커 멘트>

20여 년 만에 인공 복원한 천연기념물, 황새가 야생 동물의 습격을 받아 잇따라 죽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자치단체가 문화재청에 즉각 알려야 하지만 보고는 제때 되지 않았고, 그만큼 대책도 지지부진합니다.

박미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둑해진 저녁, 사육장에 있던 천연기념물 황새가 갑자기 퍼덕입니다.

야생동물의 습격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긴 목을 물린 황새는 뿌리치지 못하고 금세 먹잇감이 됩니다.

CC-TV와 사체 흔적 등을 분석한 연구진은 멸종위기 2급인 삵이 습격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움푹 패인 철창 바닥 틈 사이로 삵이 침입했다는 겁니다.

<인터뷰> 남형규(충남 예산황새공원 선임연구원) : "삵이 침입해서 크게 피하지 못하고 당하지 않았나… (단독장이) 포유류에게 포식당할 때는 취약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고가 난 사육동에서 200m 떨어진 개방형 사육장입니다.

사고 이틀 전에도 이곳에서 황새 한 마리가 야생동물의 습격을 당해 죽은 채 발견됐습니다.

천연기념물 황새가 잇따라 죽었지만, 충남 예산군은 발생 일주일이 지나도록 쉬쉬하다 KBS의 취재가 시작되자 문화재청에 신고했습니다.

관련법상 서면보고는 사고 발생 15일 안에 하도록 돼 있지만 사고 직후 즉각 알리지 않은 것은 상식 이하라고 문화재청은 지적했습니다.

<녹취> 이재순(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 "사실관계를 확인해서 관리 소홀이 있는지 확인하겠습니다."

늑장 보고 탓에 근본적인 피해 방지책 마련도 이제서야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