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토요일 건강검진 병원 늘어날 전망
입력 2016.11.29 (07:17)
수정 2016.11.29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년 1월부터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받기가 훨씬 수월해질 전망이다.
바쁜 생활 속에 시간 여유가 없어 평일에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병원에 진료비의 30%를 가산금으로 더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건강검진 실시기준' 일부 개정안을 행정 예고하고 12월 15일까지 의견을 받은 뒤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 공휴일뿐 아니라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에는 검진수가(건강검진 상담료 및 행정비용)에 30%의 공휴일 가산율을 적용해 가산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면서 특히 평일 시간을 낼 수 없었던 맞벌이 가정의 경우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기가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현재 수검자에게 우편으로만 건강검진 결과를 알려주던 방식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이메일이나 모바일 등으로도 통보할 수 있게 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보면, 작년 일반검진 대상자는 1천736만명이었고, 실제 검진 인원은 1천321만명으로 수검률은 76.1%였다.
작년 일반건강검진은 1차 검진에서 질환 의심(38.5%), 유질환(18.7%) 판정이 나온 비율은 57.2%에 달했다.
반면, 정상A(건강이 양호한 자) 판정은 7.9%, 정상B(건강에 이상이 없으나 자기관리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자)는 34.9%로 전체 정상 비율은 42.8%에 그쳤다.
바쁜 생활 속에 시간 여유가 없어 평일에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병원에 진료비의 30%를 가산금으로 더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건강검진 실시기준' 일부 개정안을 행정 예고하고 12월 15일까지 의견을 받은 뒤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 공휴일뿐 아니라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에는 검진수가(건강검진 상담료 및 행정비용)에 30%의 공휴일 가산율을 적용해 가산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면서 특히 평일 시간을 낼 수 없었던 맞벌이 가정의 경우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기가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현재 수검자에게 우편으로만 건강검진 결과를 알려주던 방식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이메일이나 모바일 등으로도 통보할 수 있게 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보면, 작년 일반검진 대상자는 1천736만명이었고, 실제 검진 인원은 1천321만명으로 수검률은 76.1%였다.
작년 일반건강검진은 1차 검진에서 질환 의심(38.5%), 유질환(18.7%) 판정이 나온 비율은 57.2%에 달했다.
반면, 정상A(건강이 양호한 자) 판정은 7.9%, 정상B(건강에 이상이 없으나 자기관리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자)는 34.9%로 전체 정상 비율은 42.8%에 그쳤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년부터 토요일 건강검진 병원 늘어날 전망
-
- 입력 2016-11-29 07:17:04
- 수정2016-11-29 08:00:29

내년 1월부터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받기가 훨씬 수월해질 전망이다.
바쁜 생활 속에 시간 여유가 없어 평일에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병원에 진료비의 30%를 가산금으로 더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건강검진 실시기준' 일부 개정안을 행정 예고하고 12월 15일까지 의견을 받은 뒤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 공휴일뿐 아니라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에는 검진수가(건강검진 상담료 및 행정비용)에 30%의 공휴일 가산율을 적용해 가산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면서 특히 평일 시간을 낼 수 없었던 맞벌이 가정의 경우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기가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현재 수검자에게 우편으로만 건강검진 결과를 알려주던 방식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이메일이나 모바일 등으로도 통보할 수 있게 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보면, 작년 일반검진 대상자는 1천736만명이었고, 실제 검진 인원은 1천321만명으로 수검률은 76.1%였다.
작년 일반건강검진은 1차 검진에서 질환 의심(38.5%), 유질환(18.7%) 판정이 나온 비율은 57.2%에 달했다.
반면, 정상A(건강이 양호한 자) 판정은 7.9%, 정상B(건강에 이상이 없으나 자기관리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자)는 34.9%로 전체 정상 비율은 42.8%에 그쳤다.
바쁜 생활 속에 시간 여유가 없어 평일에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병원에 진료비의 30%를 가산금으로 더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건강검진 실시기준' 일부 개정안을 행정 예고하고 12월 15일까지 의견을 받은 뒤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 공휴일뿐 아니라 토요일에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에는 검진수가(건강검진 상담료 및 행정비용)에 30%의 공휴일 가산율을 적용해 가산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토요일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이 늘면서 특히 평일 시간을 낼 수 없었던 맞벌이 가정의 경우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기가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현재 수검자에게 우편으로만 건강검진 결과를 알려주던 방식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이메일이나 모바일 등으로도 통보할 수 있게 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건강검진통계연보'를 보면, 작년 일반검진 대상자는 1천736만명이었고, 실제 검진 인원은 1천321만명으로 수검률은 76.1%였다.
작년 일반건강검진은 1차 검진에서 질환 의심(38.5%), 유질환(18.7%) 판정이 나온 비율은 57.2%에 달했다.
반면, 정상A(건강이 양호한 자) 판정은 7.9%, 정상B(건강에 이상이 없으나 자기관리나 예방조치가 필요한 자)는 34.9%로 전체 정상 비율은 42.8%에 그쳤다.
-
-
임종빈 기자 chef@kbs.co.kr
임종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